DOI QR코드

DOI QR Code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Test of Egg-Type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산란형 토종닭 실용계의 생산 및 산란 능력 검정

  • Kang, Bo-Seo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ong, Eui-Chu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Hak-Kyu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Chong-Dae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eo, Kang-Nyeong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o, Hyo-Jun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uh, Ok-Su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wangBo, Jong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종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허강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황보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Received : 2011.10.07
  • Accepted : 2011.11.2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duction and the performance test of egg-type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A total of 360 female layers were produced from CY${\times}$C (A), CL${\times}$C (B), CG${\times}$C (C) and CW${\times}$C (D) crossbreds kept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and breed during 20~64 weeks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d the performance. Layers were divided into 4 crossbreds (6 replications/crossbred, 15 heads/replication). Age and egg weight at first egg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rossbreds. Body weight (BW) at first egg of D crossbred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other crossbreds (P<0.05). Weekly BW of B crossbred was the highest at 20, 30 and 40 weeks of age, but BW of D crossbred was the lowest among crossbreds. Feed intake (FI) of B crossbred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crossbreds at 20~24, 32~44 and 52~60 weeks of age. FI of D crossbred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other crossbreds after the age of 44 weeks (P<0.05). Average egg weight of B crossbr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crossbreds at the age of 24~60 weeks (P<0.05). Egg production ratio (%) of C crossbred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crossbreds for whole test periods (P<0.05). Hen-housed egg production number at 64 weeks of age for A, B, C and D crossbreds resulted in 241.4, 235.6, 232.3 and 227.0, respectively. Feed conversion ratio of A and C crossbreds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crossbreds at the age of 20~24 weeks and C crossbred was the lowest among the crossbreds at the age of 60~64 weeks. These results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will be helpful to develope the new strains of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본 시험은 산란형 토종닭 실용계의 산란능력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생산된 종란을 인수하여 4가지 교배 조합으로 생산된 교잡종 360수로서, 20주령부터 64주령까지 사양 시험을 실시하면서 산란 능력을 조사하였다. 교배 조합은 A) C계통${\times}$Y계통${\times}$C계통, B) C계통${\times}$L계통${\times}$C계통, C) C계통${\times}$G계통${\times}$C계통, D) C계통${\times}$W계통${\times}$C계통으로 4교배 조합, 교배 조합당 6반복, 반복당 15수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시산 일령과 시산 난중은 교배 조합간 유의차는 없었다. 시산시의 체중은 D 교배종이 1,319 g으로 다른 교배종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주령별 체중은 B 교배종이 20, 30 및 40주령에서 가장 높았고, D 교배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사료 섭취량은 B교배종이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24주령, 32~44주령 및 52~60주령에서 높았다(P<0.05). 44주령 이후로는 D 교배종의평균사료섭취량이가장낮게나타났다(P<0.05). 24주령 이후부터60주령까지의평균난중은B 교배종이높았다(P<0.05). 산란율은 C 교배종이 시험기간 동안 다른 계통에 비해 높았다(P<0.05). 64주령까지의 산란수는 A, B, C, D 교배종이 각각 241.4, 235.6, 232.3 및 227.0개로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P<0.05), 28주령 이후부터는 교배 조합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24주령의 사료 요구율은 A와 C 교배종이 낮았다(P<0.05). 산란 말기인 60~64주령에서는 C 교배종의 사료 요구율이 가장 낮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유정란 생산용 및 관상용 산란형 토종닭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토종 실용계의 보급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bplanalp HH, Okamato, Dona Napolitano, Relph EL 1984 A syudy of heterosis and recombination loss in cross of inbred Leghorn lines derived from a common base population. Poultry Sci 53:234-239.
  2. Cheong IC, Chung SB 1985 Estimation of heterosis from strain crosses of single comb White Leghorns for certain economic traits. Kor J Anim Sci 27(3):135-142.
  3.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4. Ohh BK, Yeo JS 1979 A study on crossbreeding for egg production. Kor J Anim Sci 21(4):389-393.
  5. Ohh BK, Yeo JS, Lee JK, Lee MY 1980 Study on heterosis in layer chicken. Korean J Poult Sci 7(2):28-36.
  6. SAS 2002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7. 강보석 정일정 이상진 김상호 오봉국 최광수 1997 한국재래닭과 Rhode Island Red의 교잡에 의한 주요 경제형질과 잡종 강세 효과 추정. I. 한국재래닭과 Rhode Island Red 교잡종의 부화 및 육성능력. 한국가금학회지 24(3):117-126.
  8. 국립종축원 1993 재래계 순수계통조성. 사업보고서. pp. 175-181.
  9. 국립축산과학원 2008 토종닭 사육 및 인증기준 설정 연구. 가금수급안정위원회.
  10. 대한양계협회 1994 VII. 부모계통(P.S) 우량교배 조합 선발. 재래닭 고품질 육용화 연구사업보고서. pp. 119-131.
  11. 대한양계협회 1995 II. 재래닭의 계통육성 및 일반능력검정. 재래닭 고품질 육용화 연구사업보고서. pp. 17-32.
  12. 대한양계협회 1996 제29회 산란계 경제능력 검정 성적.
  13. 오홍균 김학규 전병순 한성윤 정행기 1994 재래계 순수계통 조성. 축산기술연구소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 123-131.
  14. 오홍균 전병순 김명운 박상문 1993 재래계의 특성유지 보존. 국립종축원 사업보고서. pp. 676-679.
  15. 이준헌 1995 한국재래계의 주요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력과 상관의 추정. 충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6. 정선부 정일정 박응우 1989 한국 재래닭의 유전적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축산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pp. 401-404.
  17. 축산시험장 1993 재래닭의 계통육성 및 경제능력구명연구. 시험연구보고서. pp. 501-512.
  18.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9. 한성욱 1992 채란계의 개량현황과 전망. 한국가금학회지 19(2): 77-95.
  20. 한성욱 이준헌 상병찬 1995 한국재래계의 주요 경제형질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추정. 한국가금학회지 22(2):67-75.

Cited by

  1. The Performance Test in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Lines vol.41, pp.1, 2014, https://doi.org/10.5536/KJPS.2014.41.1.39
  2. Analysis of Stress Response of Domestic Chicken Br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Synthetic Parent Stock vol.42, pp.2, 2015, https://doi.org/10.5536/KJPS.2015.42.2.157
  3. The Study on Productivity of Commercial Korea Chickens for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vol.40, pp.4, 2013, https://doi.org/10.5536/KJPS.2013.40.4.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