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Stress,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Adults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생활만족도

  • 정영미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life stress,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424 middle-aged residents of Daegu city,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4 to 30, 2010,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OVA, Scheff$\grave{e}$,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8.0. Life stress,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middle-aged adults. Moreover, life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coping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ere life stress, coping behavior, gender, economic status and volunteering, which explained about 59.1% of total variance. These results recommend that a support program that considers general characteristics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adults.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고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중년층을 위한 건강증진의 전략과 방향을 설정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표집추출방법에 의해 선정된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40-59세에 해당되는 중년기 성인, 총 424명이며, 2010년 10월 4일부터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생활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생활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는 대처행동 및 생활만족도와 역상관관계를, 대처행동은 생활만족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은 생활스트레스, 대처행동, 성별, 경제상태, 자원봉사활동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생활만족도 설명력은 59.1%였다. 결론적으로 중년층의 생활만족도 향상과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스트레스관리 및 다양한 대처방안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보건소, 복지관 및 주민센터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시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민, 한경혜 (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2. 김명자 (1998). 중년기발달, 서울: 고문사.
  3. 김성은 (2009).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8, 153-180.
  4. 김순안 (2010). 갱년기 여성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양호 (2005). 중년남성의 건강과 사회관계망 특성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103-126.
  6. 김양희, 김진희, 박정윤 (2001). 중년기 남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원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57-172.
  7. 김태현, 전길양 (1996).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상황과 적응자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145-160.
  8. 노민옥 (2006). 중년기 직장남성의 생활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류은정, 최소영, 강윤식 (2006). 직장여성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5), 1793-1806.
  10. 박영례 (2010). 중년여성의 D유형 성격과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67-2578.
  11. 변영인 (2011). 자아분화가 중년부부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1B), 183-192.
  12. 석지혜, 홍상욱, 배옥현 (1997).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자아개념과 우울과의 관계, 새마을지역개발연구, 24, 99-117.
  13. 오명자, 김병욱, 김미례 (2008).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8(13), 499-520.
  14. 이명주, 신혜섭 (2006). 중년남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생활과학연구, 11, 75-83.
  15.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은숙, 김종임, 배정이, 이선미 (2009).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서울: 수문사
  16. 임현자 (2001). 일 지역 중년여성의 요실금, 갱년기 증상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2), 157-168.
  17. 전겸구, 김교헌 (2003). 스트레스와 대처의 다차원적 관계분석; 대학생 집단, 한국심리학회지, 13(1), 136-158.
  18. 최소영, 류은정, 강영실, 전은미, 오진경, 임민경, 김지영 (2007). 일부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4), 1677-1692.
  19. 통계청 (2010). 국가인구자료, 대전: 통계청.
  20. 한금선, 이평숙, 이용미 (2000).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0(6), 1427-1435.
  21. Berko, R. M., Rosenfeld, L. B., Samovar, L. A. (1997). Connecting: A culture sensitive approach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2nd Ed.) Orlando: Harcourt Brace & Company.
  22. Campbell, A., Converse, P.,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 Sage.
  23. Fiori, K. L., Brown, E. E., Cortina, K. S., Antonucci, T. C. (2006). Locus of control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life satisfaction: Age, race, and gender differences,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 9(3), 239-263. https://doi.org/10.1080/13694670600615482
  24. Ho, M. Y., Cheung, F. M., Cheung, S. F. (2010). The role of meaning in life and optimism in promoting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8, 658-663. https://doi.org/10.1016/j.paid.2010.01.008
  25. Keyes, C. L. M., Ryff, C. D. (1999).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In S. L. Willis & J. D. Reid (Ed.), Middle aging: Development in the third quarter of life (pp. 161-180), Orlando, FL: Academic Press.
  26. Park, N., Park, M., Peterson, C. (2010). When is the search for meaning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Being, 2(1), 1-13. https://doi.org/10.1111/j.1758-0854.2009.01024.x
  27. Pines, A., Aronson, E. (1988).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Free Press.
  28. Schnell, T., Becker, P. (2006). Personality and meaning in lif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 117-129. https://doi.org/10.1016/j.paid.2005.11.030
  29. Shin, K. R., Kong, E. S., Kim, G. B., Kim, N. C., Kim, C. K., Kim, H. K., Ro, Y. J., Song, M. S., Ahn, S. Y., Lee, K. J., Lee, Y. W., Chang, S. O., Chon, S. J., Cho, N. O., Cho, M. O., Choi, K. S. (2002). Lived experience with aging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2(6), 878-887. https://doi.org/10.4040/jkan.2002.32.6.878
  30. Skrabski, A., Kopp, M., Rozsa, S. Rethelyi, J., Rahe, R. H. (2005). Life meaning: An important correlate of health in the Hungari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2(2), 78-85. https://doi.org/10.1207/s15327558ijbm1202_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