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ve Research on Team-Based Learning Model in a Technical High School Class

공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모형 적용에 관한 형성적 연구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ity and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 model in a technical high school,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a teacher. Team-Based Learning model seems to be an effective way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groups as well as the individualized learning and team interaction. We applied a formative research method and identified the strengths of the model including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s, learner-centered learning, self-efficacy through learning in advance, and concept acquisition from the repetitive learning process. However, we also found the weakness of the model including impracticality of instructional design, a lack of field-oriented problem banks, and needs for identifying learner characteristics and role in instruction. Finally, we analyzed the implications for the Team-Based Learning in the technical high schools in light of team formation, discussion types, active participation, and learners' prior knowledge and attitude, and pre-determined instructional design.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학습모형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한 공업계 고등학교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형성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모형의 강점, 약점,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형의 타당성과 통용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팀 기반학습모형은 문제 상황 속에서 학습자 개인의 선행학습과 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과 팀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화된 교육방법이다. 이 모형의 개선과 보완을 위해 형성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분석결과, 모형의 강점으로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 유발,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교육 가능, 선행학습을 통한 자신감향상, 반복학습을 통한 개념 이해 등을 파악하였다. 한편 모형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실적인 교과내용과 방법 편성에 있어서의 한계 극복, 현장감을 높이는 문제은행 확보 필요, 실습 기자재 확충 필요,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경험을 고려한 토론 주제 발굴, 구체적인 팀별 활동과 역할 부여 필요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점으로는 합리적인 팀 구성, 발표 기회의 공정성, 적극적인 참여 독려, 학습자의 선수지식과 태도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 계획, 주요한 개념 사전 안내 및 토론 주제선별 등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적용 가능한 팀 기반 학습모형과 운영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강민영 (2003). 고등학교 기초전자이론에 대한 웹 기반 학습시스템의 개발 및 연구.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계숙(2008).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자들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모형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 교육대학원.
  3. 김민경 (2008).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학습지도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선정 (2008). 직관적 연상기법을 통한 색채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공업계 고등학교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선태 외 (2010). 직업교육훈련 교수-학습 방법 우수사례 발굴 . 보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김선태, 유병로 (2003).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 공업교육학회지, 28(2), 12-45.
  7. 김선회 (2007) 스케폴딩 교수전략을 적용한 정보기술기초교과의 웹코스웨어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현규 (2007). 공업계고 자동차기관 과목에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인숙 (2009). 치면세마 교육의 팀기반학습 (Team-Based learning)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태환(2005). ICT를 활용한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수 . 학습 과정 안 개발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손미(1996).원리학습용 컴퓨터 시뮬레이션 설계이론에 관한 형성적 연구. 교육공학연구, 12(2), 171-188.
  12. 송정행 (2006). WBI 기반 기초전자회로 실습시스댐의 설계 및 구현 : 저항, 콘센서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신순인, 김진수(2003). 공업고 "전기회로" 교과목의 ICT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효과 검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1), 1-12.
  14. 이영민, 배동윤 (2008). 공업 기술적 창의력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137-153.
  15. 이은경 (2003) . ICT활용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공업계 고등학교 멀티미디어 교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임철일 (1994). 개념적 이해를 위한 수업이론의 형성적 연구. 교육공학연구, 10(1), 45-64.
  17. 임철일 (2001). 제시용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적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의 형성적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7(1), 29-57.
  18. 임철일, 연은경 (2007) 절차적 시뮬레이션 설계원리에 관한 형성적 연구,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13(4), 127-154.
  19. 전성회 (2009). 공업계 고등학교 유체기기 과목의 PHLAB을 활용한 학습방법연구 : 공압기기와 회로 단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정재삼(1997). 결정지향적 교육공학 연구방법론: 개발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3(2), 339-359.
  21. 정충기 (2004). 공업계 고등학교 제조 화학 교과의 전기화학 공업 단원에 대한 Web 기반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조성만(2005). ICT를 활용한 소집단 협력학습 효과 연구. 운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조아라(2010). 의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팀바탕학습 운영 방안 및 기대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4. 조형정, 이영민 (2008).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 6(2). 27-42.
  25. 최미영 (2002). 협동학습과 보상에 따른 학습집단간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의 차이.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최승우(2008). 공업계열 고등학교 조합논리회로 단원에서 시뮬레이션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하지은(2007). 공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관련 교과에서 e-Learning의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교육 교육방법 우수사례 발굴 . 보급. 정책자료2008-8.
  29. Michaelsen, L., Knight, A., & Fink, L. D.(2004).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Sterling, V A: Stylus Publishing.
  30. Reigeluth, C. M., & Frick, T. W. (1999).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improving design theories.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 II (pp. 633-651).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 Sibley, J.(2008). Team-based learning alternative to lecturiηg in large class setting. http:// www.teambasedlearning.apsc.ubc.ca/wp-content/uproads / teambased learning_intro_2008.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