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Care on the Parenting Stres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arents

부모의 직장보육시설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서은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생활문화학과) ;
  • 이미숙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학과)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3.05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care on the parenting stres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arents. The questionnaires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85 parent-employees (97 fathers & 88 mothers) who use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in the province of Kyungk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care became higher,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became lower. And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care became higher, the level of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ecame higher. Among five components of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care,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for child-care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child-care facility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education programs that target employers need to raise employ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workplace child-care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to enhance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arent-employees.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직장보육시설의 양적 확충 및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직장보육시설 중 민간기업 6곳과 공공기관 4곳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373부를 배부하여 185부(부 97명, 모 88명)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부모들은 직장보육시설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며 양육스트레스는 대체로 낮았다.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은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직장보육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졌으며, 직장보육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이 높아졌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직장보육시설만족도의 5개 하위영역 중 보육환경에 대한 만족이 양육스트레스에 상대적으로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보육시설 운영에 대한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취업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고용주를 대상으로 직장보육시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가톨릭대학교

References

  1. 강혜련, 김태홍(2000). 가정영역의 책임이 근로자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사관리학회, 24(1), 347-369.
  2. 강희경, 조복희(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 41-55.
  3. 구혜진(2002). 맞벌이 부부의 역할갈등과 부부의사소통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민아(2002). 보육시설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륜(1998). 직장보육서비스가 취업부모의 다중역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미(2004). 기혼여성근로자의 가족친화적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교연(1994). 탁아서비스의 질이 취업모의 역할긴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기현(2000).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지, 9(1), 71-84.
  9. 김리진, 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10. 김문자(2008). 유형별보육서비스 만족도 비교분석: 경기도 파주시 국공립, 민간, 가정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민선(1991). 직장탁아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서현(2005). 전주시 취업여성의 직장보육 욕구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소영(2008).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숙(2006). 취업모의 직장보육 만족도와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주미(1996). 보육서비스가 취업모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지은(2004). 보육시설 이용 부모에 관한 만족도 연구: 서울시 성북구 국․공립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진호(2006).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직무 및 보육만족도. 안양과학대학교 연구논문집, 35, 767-776.
  18. 김현주(2004). 직장보육시설 이용 만족도가 취업모의 직무성과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김효민, 박정윤, 김양희(2006). 취업모의 보육서비스 이용만족도 및 개선에 대한 연구: 직장 보육시설과 비직장보육시설 이용자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4(6), 79-86.
  20. 박봉주(2006).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성연, 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8.
  22. 박소형(2007). 직장보육시설 설립주체 유형에 따른 유아부모의 만족도 및 보육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춘자(2006). 원주시 취업모 자녀의 보육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태익(2002). 취업모의 직장보육시설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희숙(2000). 영유아보육시설의 부모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보건복지가족부(2009). 보육통계.
  27. 서동희(2008).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8(2), 173-181.
  28.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29. 손지미(1991). 우리나라 직장탁아사업의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손지미(1999). 직장보육의 부모양육보충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신민경(1994). 직장탁아시설이 취업모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우수명(2007). 마우스로 잡는 SPSS 14.0. 서울: 인간과 복지
  33.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 의도, 직무성과. 가족과 문화, 19(2), 35-39.
  34. 이미자(2006). 교사-어머니 의사소통과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연희(2005).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한 정책이 직장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정아(2005). 여성공무원의 직장보육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전지현(2004). 취업모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가족지원 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직장보육시설지원센터(2010). 직장보육시설 설치와 운영. 근로복지공단.
  39. 최성일(2007). 기업의 출산․가족친화정책의 실태와 지표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최영숙(2010). 맞벌이가족의 보육시설 이용 특성이 자녀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하정희, 강병재(2000). 직장보육이 기혼 직업여성의 양육만족과 직무에 미치는 영향. 국제여성연구소 연구논총, 9(1), 297-313.
  42. 한효순(2007). 보육시설 유형별 취업모의 보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 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황혜경, 정미미(2008). 강원도 보육시설에 대한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이용실태, 만족도,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차이. 한국영유아보육학, 53, 199-218.
  44. Abidin, P.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19(4), 298-301.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904_1
  45. Bruck, C. S., Allen, T. D., & Spector, P. E. (2002).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finer-grained analysi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3), 336-353. https://doi.org/10.1006/jvbe.2001.1836
  46. Durst, S. L. (1999). Assessing the effect of family-friendly programs on public organization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19(3), 19-33. https://doi.org/10.1177/0734371X9901900302
  47. Elmuti, D., & Payne, S. L. (1991). Ar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programs worth the effort? Business Forum, 16(2), 22.
  48. Galinky, E., & Stein, P. (1990).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policies on employees. Journal of Family Issues, 11(4), 368-383. https://doi.org/10.1177/019251390011004002
  49. Kossek, E. E., & Nichol, V. (1992). The effects of on-site child care on employee attitudes and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45(3), 485-509.
  50.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51. Orthner, D. K., & Pittman, J. F. (1986). Family contribution to work commitment. Journal of Marriage & Family, 48(3), 573-581.
  52. Saltzstein, A. L., Ting, Y., & Saltzstein, G. H. (2001).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attitudes of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4), 452-467. https://doi.org/10.1111/0033-3352.00049
  53. Schandl, K. M. (1991). On-sit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and related employee work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llaudet University.
  54. Youngblood, S. A., & Chambers-Cook, K. (1984). Child care assistance can improve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 Personnel Administrator, February, 45-46, 9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