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 in WEEclass

숲치유 프로그램이 WEEclass 중학생 우울에 미치는 영향

Kim, Youn Soo;Shin, Won Sop;Yeoun, Poung Sik;Hee, Jeong Hee
김윤수;신원섭;연평식;이정희

  • Published : 20110300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into how much the forest healing program can affect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guring out what effect the healing element of the forest bring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while their depression is getting more serious nowaday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80 students of the special class in the middle school of WEEclass located in Suwon-si.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r an experimenting group and a comparing group. The study was performed by us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ing process. After analyzing the research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 depression level of subject students in the experimenting group was lower than the depression level of students in control group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본 연구는 숲치유 프로그램이 WEEclass 중학생 우울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날로 심각해지는 중학생의 우울 상태에 대해서 숲이 가지고 있는 치유인자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수원에 위치한 중학교 WEEclass 라는 특별 반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두 집단은 사전-사후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숲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우울 수준이 숲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 2010. 주요 우울증 환자에서 시행하는 인지행동 치료가 생리적 변화 및 우울에 관해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2. 마이클 코헨, 2007. 자연에 말걸기, 이원규역, 서울 : HERE-NOW.
  3. 송정희, 2009. 숲치유가 미혼모의 우울 및 불안 심리 감소와 자아 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4. 숲으로부터의 건강 심포지움, 2007. 산림청.
  5. 신원섭, 2005. 치유의 숲, 서울 : 지성사.
  6. 신원섭, 2007. 숲으로 떠나는 건강여행, 서울 : 지성사
  7.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김시경, 주진순, 2007. 산림경험이 참여자의 불안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11(1);27-32.
  8. 우신애, 2009.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또래 갈등, 우울 및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9. 유한킴벌리, 2007. 통합의학으로서 산림의 치유기능연구, 유한 킴벌리(주).
  10. 윤영, 2009. 우울-비행청소년의 역기능적 인지 도식, 비합리적 신념 분노표현양식의 특성. 석사학위논문
  11. 이상익, 신원섭, 권영문, 권헌교, 2003. 산림 방향 물질이 불안감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7(4);25-29.
  12. 이정희, 2009.산림의 시각요소가 인체의 심리 생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13.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07. 통합의학으로서의 산림의 치유기능연구.
  14. 충북대학교, 2003. 농 산림의 건강 편익 메커니즘 구명과 이를 이용한 임상치료법의 개발, 농림부
  15. 한국녹색문화재단, 2006. 숲 체험을 통한 참가자의 정서적 치유효과의 평가 연구.
  16. Back A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17. Keith C. Russell, 1999. Theoretical Basis, Process, and Reported Outcomes of Wilderness Therapy as an Intervention and Treatment for Problem Behavior in Adolescents.
  18. Keith C. Russell & John C. Hendee, 2000. University of Idaho-Wilderness Research Center의 Technical Report 26호
  19. Keith C. Russell, 2001. University of Idaho-Wilderness Research Center의 Technical Report 27 Outdoor Behavioral Healthcare
  20. Lynn L. What is the therapeutic value of camping for emotionally disturbed girls? Women Ther (1994), Outdoor Behavioral Healthcare
  21. Nilson K., 2006. Forest, trees and human health and wellbeing. Urban For Urban Green 5: 109-11. https://doi.org/10.1016/j.ufug.2006.07.002
  22. Pryor A, Capenter C, Townsend M., 2005. Outdoor education and bush adventure therapy: A socioecological approach to health and wellbeing. Aust J Outdoor Edu.
  23. Rosenberg, M., 1965. Self-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3). J. Suls & A. G. Greenwald. Hillsdale, N. J.: Erlbaum.
  24. Shin, Won Sop, 1992. Wilderness Campers'Attitudes and Their Self-actualization Based on a Study in Three Ontario Provincial Park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25. Townsend M., 2006. Feel blue? Touch green! Participation in forest/woodland management as a treatment for depression. Urban For Urban Green 5:111-20 https://doi.org/10.1016/j.ufug.2006.02.001
  26. Tsunetsugu Y, Park BJ, Ishii H, HIran H, Kagawa T, Miyazaki Y., 2007. Physiological Effects of shinrin-yoku (Taking in the Atomosphere of the Forest) in an Old- Grouth Broadleaf Forest in Yamagata Prefecture, Japan. J Physiol Anthropol 26:135-42 https://doi.org/10.2114/jpa2.26.135
  27. Wilson, E. O., 1984. Biophilia. Cambridge :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