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Resilienc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Age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of those in middle ag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y included a sample of 298 people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who live in or near Seoul. A detailed analysis of references was carried out, using SPSS12.0 Window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family stress,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sampled people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average. Second, the study into family stress,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ithin various groups showed great differences according to certain factors including whether they had partners or not, family relations and family income, which lead to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and relational elements as well as social and economical elements. Third, on the background factors and the influence of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family income and role stability, open emotional expression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fluenc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s final factors, the most powerful factor was an open attitude in emotional expression. To summaries the result of this study, even if family stress exists above a certain degree, if the family functions healthily with a high degree of resilience, this stress can be overcome, and thus family resilience is seen to be a powerful influential factor i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 인(198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구정화(2005). 한부모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지은(2003).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희(1998).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서울보호관찰소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고은(2005).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명자(1989). 중년기 연구. 서울: 교문사.
  7. 김명자(1991).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위기감. 대한가정학회지, 29(1), 203-216.
  8. 김미옥(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민정(2005).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안자(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애순(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영규(1980). 연령, 성, 사회계층별 일상생활상의 스트레스와 대응방법의 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영(2008). 치매노인부양가족의 가족탄력성과 지역사회자원 활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은정(2008). 가족레질리언스가 위탁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은지(2007). 정신분열 환자의 개인사회적 기능과 가족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화자(1998).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역기능적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남유리(1989).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스트레스 지각에 관한 비교연구 : 취업주부는 서울시내일부 여중고 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남정자, 조맹제, 최은진(1996). 한국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96-29.
  19. 박 경(2004). 부정적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265-283.
  20. 박소라(1998). 정신분열병 환자와 가족을 위한 문제해결훈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혜순(1991).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자아개념과 우울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배종열(1985). 가족의 일상생활과 스트레스 및 극복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성정현(2002). 이혼 후 적응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족복지학, 9, 31-53.
  24. 송영경(2006).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학교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신혜섭(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11, 84-90.
  26. 어은주(1996).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 자녀 교육적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엄태완․이기영(2004). 북한이탈 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5-35.
  28. 유상미(2008).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수희(2004).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여정(2001). 중년여성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경란(2006).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소영(2007). 아동의 사회적 지지․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평숙(1984).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임유미(2007).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 가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장보애(2003). 부모의 사회계층 및 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영자(2003).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전세경(1988).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자원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민자(1983). 부부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가족자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원길(2001).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최동숙(1989). 부부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 및 디스트레스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76, 165-179.
  41. 최연실(1996). 청소년 자녀기 가족의 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최은경(1993).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Beavers, W. R., & Hampson, R. B.(1990). Successful Familie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Norton.
  44. Bernard, J.(1976). Stress and the Family. Journal of Home Economics, 68(5), 6-10.
  45.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46. Boss, P. G., Gage, G., Greenberg, J., & McCall, D. P.(1985). The Management of Stress in Mid-Life Minnesota Families, St. Paul, Minnesota: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he University of Minnesota.
  47. Boss, P. G.(1987). Family stress: Perceptions and context. In M. B. Sussman & S. Steinmetz(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New York: Plenum, 695-723.
  48. Boss, P. G.(1988). Family Stress Management: Family Studies Text Series.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49. Burr, W. B.(1973). Theory Construction and the Sociology of the Famil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50. Cicchetti, D., & Rogosch, F. A.(1997). The Role of Self Organization in the Promotion of Resilience in Maltreatment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5, 629-647.
  51. Cicchetti, D. & Toth, S.L. (1998).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st, 53(2), 221-241.
  52. Danielson, C. B., Bissell, B. H., & Fry, P. W.(1993). Families, Health &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St. Louise: Mosby-year Book. Inc.
  53. Dixon, D. N., Heppner, P. P., Peterson, C. H., & Ronning, R. R.(1979). Problem-Solving Workshop Trai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6, 133-139.
  54. Dohrenwend, B. S.(1973). Social Status and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8(2), 225-235.
  55. D'Zurilla, T. J., & Goldfried, M. R.(1971). Problem-Solv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78, 107-126.
  56. D'Zurilla, T. J., & Nezu, A. M.(1982). Social Problem-Solving in Adults. in P. C. Kendall(Ed.),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Academic Press.
  57. D'Zurilla, T. J., & Nezu, A. M.(1990) .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Psychological Assessment, 2, 156-163.
  58. Gove, W. R. & Shin, H. C.(1989).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ivorced and widowed men and women: An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Family Issues, 10(1), 122-144. https://doi.org/10.1177/019251389010001007
  59. Hock, E., McKenry, P., Hock, M., Triole, S., & Stewart, L.(1980). Child's School Entry: A Stressful event in the Lives of fathers, Family Relations, 29(4), 467-472. https://doi.org/10.2307/584460
  60. Jalowiec, A. & Powers, M. J.(1981). Stress and coping in hypertensive and emergency room patients. Nursing research, 30(1), 10-15. https://doi.org/10.1097/00006199-198101000-00003
  61. McCubbin, H. I. & McCubbin, M. A.(1988).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37, 247-254. https://doi.org/10.2307/584557
  62. McCubbin, H. I., McCubbin, M. A. & Tompson, A. I.(1993). Resiliency in Families: the role of family schema and appraisal in family adaptation to crises(pp..153-177). In T. H. Brubaker(ed.), Family Relations: Challenges for the future,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63. McCubbin, H. I., Olson, D., Patterson, J., & Wilson, C.(1982).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In D. Olson(Ed.),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64. Nezu, A. M., Nezu, C. M., & Perri, M. G.(1989). Social problem-solving Therapy for Unipolar Depression: An initial dismantling investig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3).
  65. O'Connell-Higgins. R.(1983).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Capacity for Intimacy. Qualifying paper.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66.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 Larsen, A. S., Muxen, M. J., & Wilson, M. A.(1983). Families: What makes the work.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
  67. Olsen, S. F., Marshall, E. S., Mandleco, B. L., & Allred, K. W.(1999). Support, communication, and hardness in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5, 275-291. https://doi.org/10.1177/107484079900500303
  68. Spivack, G., Platt, J. J., & Shure, M.(1976). The Problem-Solving Approach to Adjust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69. Spivack, G., & Shure, M.(1974). Soci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 cognitive approach to real-life problems. Washington: Jossey-Bass.
  70. Uhlenhuth, E. H.(1974). Symptom intensity and life stress in the cit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1(6), 759-767. https://doi.org/10.1001/archpsyc.1974.01760180005001
  71. Walsh, F.(1998). Editorial: The Resilience of the Field of Family Therap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4, 269-271. https://doi.org/10.1111/j.1752-0606.1998.tb01084.x
  72. Walsh, F., & Olson, D. H.(1989). Utility of the Circumplex Model: systemetic assessment ad treatment of families. New York: Haworth Press.
  73. Weiss, R. S.(1993). Loss and recovery. ed. by M. S. Strobe, W. Strobe, & R. O. Hansson, In Handbook of bereavemen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1-284.
  74. Wise, G. W., & Murry, V. M.(1987). The empty nest: the silent invasion on two fronts, Journal of Home Economics, 79(1), 4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