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및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296 nursing college students by a convenience sample method were studie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to May 9, 2011 and analysed using SPSS/PC Win 12.0 program.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school record and monthly income, the self-esteem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school record, religion, mother'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e depress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and monthly income, the employment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school record, father's education, mother'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Depression and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ployment stress were depression, grade, monthly income, and self-esteem. When developing programs to relieve employment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depression, self-esteem as well as monthly income, and grad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취업스트레스의 정도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는 성별, 성적과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자존감은 성별, 성적, 종교,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의 우울은 성별, 학년,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성적,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월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우울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았으며, 우울과 취업스트레스는 낮았다. 자존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취업스트레스는 낮았고 우울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높았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우울, 학년, 가정의 월소득, 자존감으로서 39.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간호대학생의 경우 입학시기부터 우울과 자존감의 정도를 측정하고 특히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자아성장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가급적 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숙 (2007). 대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직업선택시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유리 (2006).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희숙, 이진헌 (2009).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지각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1(2), 43-58.
  4. 권승빈 (2009). 20대 대학생의 신체만족도.신체관리태도와 피부미용태도와의 관련성 연구,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복숙, 민윤기 (2008).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행동 특성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5B), 2559-2570.
  6. 김영선 (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우울,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B), 1907-1921.
  7. 김은경 (2005). 아동의 외모만족도,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부적응간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선미, 허형 (2008). 명상 및 음악치료가 고등학생의 정서적 불안정성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4B), 2005-2022.
  9. 박영례, 손연정 (2009). 성인여성의 생애주기별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6(3), 353-361.
  10.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200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4), 621-631.
  11. 서윤경 (2003). 청소년의 외모 만족도와 자존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현균, 장재윤 (2003).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22(4), 815-827.
  13. 이인숙 (2011). 전문대학 졸업반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2B), 745-758.
  14. 장은주 (2006). 대학생의 영성, 감성, 우울과의 상관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기여, 황윤정 (2007). 외모관심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따른 미용성형행동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논문집, 8-9.
  16. 최정아 (1996). 자의식과 자존감이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황선희, 왕성근, 신윤호 (1998). 청소년기 비만 여학생들의 체형만족도와 적응기능, 신경정신의학, 37, 952-953.
  18. 황성원 (199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Paquette, M. C., Raine, K. (2004). Sociocultural context of women's body image, Social Science & Medicine, 59(5), 1047-1058.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3.12.016
  20.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Secord, P. F.,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 cathexis: body cathexis and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343-347. https://doi.org/10.1037/h0060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