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Relationship Among Social Intelligence, Vitality and Happy of Elderly Women Participating Recreation Program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참여 여성노인들의 사회지능, 활력 및 행복의 관계모형 분석

  • Published : 2011.07.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relationship among social intelligence, vitality and happy of elderly women participating recreation program. 256 elderly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structure model analysis using SPSS 17.0 and AMOS 6.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exercise participants less than 2 days as leisure activity in elderly women, exercise participants more than 3 days as leisure activity in elderly women showed high scores on vitality and happy. Second, vitality of elderly women participating recre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happy. Third, social intelligence of elderly women participating recre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happy.

본 연구는 신체활동 기반 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 256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지능, 활력 및 행복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SPSS 17.0 및 AMOS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기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의 일주일 평균 운동참여 횟수에 따른 사회지능, 활력, 행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지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활력과 행복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었다. 일주일에 평균 3일 이상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이 평균 2일 미만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들에 비해 활력과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기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사회지능, 활력 및 행복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지능은 활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력은 행복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능은 행복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 김석일(2009).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활력과 미래에 대한 낙관성 및 희망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1995-205.
  3. 김석일(2004). 여가스포츠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4. 김성문, 남정훈(2010). 요트/일반조종면허시험관의 감각추구성향과 활력 및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4), 167-178.
  5. 김양례(2009). 규칙적 생활체육 참가와 생활만족 및 삶의 기대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2), 115-129.
  6. 김은희, 이철영, 유승엽(2009). 사회지능과 감성지능이 광고 창의적 사고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0(1), 13-34.
  7. 김홍록, 이광욱(2008). 여성노인의 여가활동참가와 신체적 건강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 671-680.
  8. 구재선(2009).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65-179.
  9. 매일경제TV(2011.03.09). 노인 자살 20년 전보다 5배 증가.
  10. 박원준, 남행웅(2010). 노인의 게이트볼 참여정도가 여가유능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3(1), 103-119.
  11. 배병렬(2007). AMOS 7.0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12. 서은국, 구재선(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25(1), 95-113.
  13. 신민희, 구재선(2010).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24(3), 37-51.
  14. 이은석(2009). 고령화시대의 노인복지증진을 위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48(3), 113-130.
  15. 이종경, 이은주(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 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17-26.
  16. 임호남(2010). 노인의 여가참여형태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3), 27-38.
  17. 오현옥(2009). 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정서와 활력촉진에 미치는 구조모형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 1205-1215.
  18. 오현옥(2006).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행복한 삶의 인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 정용각, 김윤정(2005). 에어로빅스 참가자의 참여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6(1), 47-61.
  20. 정희재, 원영신(2010). 여가스포츠 참여 여성노인의 몰입경험이 여가정체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5), 85-98.
  21. 조흥식(2000). 여성복지학. 서울: 학지사.
  22. 천경민(2010).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 운동지능과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1), 309-319.
  23. 현정혁, 홍준희, 이현영(2010).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행복요인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9(6), 161-171.
  24. 한혜원(2008).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형태가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22(3), 47-58.
  25. Albrecht, K. (2006). Social intelligence: The science of success. San Francisco: Jossey-Bass.
  26. Alloy, L. B., & Abramson, L. Y. (1979). Judgement of contigenc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college students: Sadder but wiser?.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8, 441-487.
  27. Argyle, M. (1987). The psychology of happiness. London: Methuen.
  28.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9. Biddle, S. (1996). Embracing exercise in sport psychology. Journal of Sport Science, 14, 109-110. https://doi.org/10.1080/02640419608727692
  30. Cantor, N., & Kihlstrom, J. F. (1987). Personality and social intellig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1. Carr, A. (2004).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human strength. NY: Brunner-Routledge.
  32. Chartrand, T. L., & Bargh, J. A. (1999).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 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893-910.
  33. Cohen, S. (1988). Psychological models of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th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 269-297.
  34. Compton, W. C. (2005).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역(2007). 긍정심리학 입문. 서울: 박학사.
  35. DeNeve, K. M., & Cooper, H. (1998). The happy personality: A meta-analysis of 137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24(2), 197-229.
  36.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37. Diener, E., & Lucas, R. (1999).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enmann, M. E. Diener, &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 of hedonic psychology (pp. 213-229).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38.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9.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40.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NY: Basic Books.
  41. Glasser, W. (1998). The choice theory: A new psychology of personal freedom. NY: Harper & Row.
  42. Goleman, D. (2006). Social intelligence. NY: Brockman Inc.
  43. Hopkins, D. R., Murrah, B., Hoeger, W. W., & Rhodes, R. C. (1990). Effect of low-impact aerobic dance on the functional fitness of elderly women. Gerontologist, 30, 189-192. https://doi.org/10.1093/geront/30.2.189
  44. Keller, M., Leventhal, H., & Leventhal, E. (1991). Research on the health problems of aging and how people cope with them. University of Wisconsin.
  45. Kyung, J. Y., & Yoon, Y. J.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trends perceived by elderly women and their depression degree. The Korea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46. Mayer, J. D., & Mitchell, D. C. (1998). Intelligence as subsystem of personality. In W. Tomic, & J. Kingma(Eds.), Advances in cognition and educational practice(pp. 43-75), Greenwich, CT: JAI Press.
  47. McAuley, E., Shaffer, S. M., & Rudolph, D. (1995). Affective responses to acute exercise in elderly impaired mal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1, 13-27. https://doi.org/10.2190/KAK1-01XJ-CLBL-T1EJ
  48. Nussbaum, J. F., Pecchioni, L. L., Robinson, J. D., & Thompson, T. T. (2000). Communication and aging(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9. Perlmutter, M., & Hall, E. (1990). Adult development and development and ag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50. Peterson, C., & Seligman, M. E. (2004). Character strength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1. Riddick, C. C., & Daniel, S. N. (1984).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other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wo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6(2), 136-148.
  52.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53.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54. Sheldon, K. M., & King, L. (2001).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3), 216-217.
  55. Swewart, A. L., & King, A. C. (1991). Evaluation the efficacy of physical activity for influencing quality-of-life outcomes in olders adult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13, 108-116.
  56. Thayer, R. E. (2001). Calm ener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