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Intimacy on Parent-Child Relation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과 부부 친밀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장선웅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 정혜정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 이주연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variables and marital intimacies on the parent-child relation. Variables related to family-of-origin experiences were family-of-origin health,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s' care, parents' overprote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 method by internet survey agency with 480 married men an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married men and women perceived the level of parents' care lower than of child's care and parents' overprotection higher than of child's overprote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parents' overprotection, marital intimacies, child's overprotection across sex. Secon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dicates of Child care was influenced by family-of-origin health, parents' care, and marital intimacies. An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dicates of Child overprotection was influenced by parents' overprotection, and marital intimacies.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자(2007).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및 자아분화와 부부갈등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정란(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 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희완(1997). 부부관계의 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35-70.
  4. 김경자(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재희. 주은선(2002). 지각된 양육태도의 세대간 연구와 부적응 청소년 집단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1-18.
  6. 김현정(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활란(1995). 중, 노년기 부부의 사랑과 자녀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효은(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의 갈등과 부모자녀관계 및 친구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희주(1997).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문혁준(2000). 부모 훈육방법에 세대간 전이. 대한가정학회지, 38(5), 107-119.
  11. 문희선(1995).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과 자녀양육태도의 관계 -Bowen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송지영(1992).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검증. 신경정신의학, 31(5), 979-992.
  13. 우진영(1998). 아동의 심리적 적응과 부부갈등, 부모-자녀관계 사이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유은희. 전춘애(1995). 모의 자아분화수준과 모자간의 갈등이 청소년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치료학회지, 3, 137-153.
  15. 이경희(1998). 부인의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이수정. 이은진(2002).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지표상 성차이와 부모-자녀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2), 75-92
  17. 이승희(2003) 부부갈등 및 부모자녀 관계와 아동의 행동문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유숙(1998). 한국의 전통적 가족주의와 부부관의 사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은경(1995). 지각된 부모-자녀 관계가 자녀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종원(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진선, 정문자(2007).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부모역할 만족도 및 배우자의 부모 역할지지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녀 양육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5). 84-94.
  22. 이혜승(2001). 부모의 아동기 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장혜자 (2000). 세대를 통하여 전이되는 조모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조모의 양육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전주혜(2009).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 효능감 및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전춘애. 박성연(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2(4), 117-133.
  26. 전현진. 박성연(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69.
  27. 정문자. 최난경(2004).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5(3), 87-99.
  28. 정문자. 전연진. 김진이(2004). 부모의 원가족 경험과 자녀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2), 133-150.
  29. 정진숙(2004). 아동의 부모-자녀관계와 색채선호 및 색채연상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정현숙(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 35(1), 191-204.
  31. 정혜승(2000). 어머니 자신의 부모 애착 및 양육행동과 자녀 애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조소희. 정혜정(2008). 기혼남녀의 원가족경험과 자기분화가 핵가족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지, 17(5), 873-889.
  33. 천상호(2000).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와 심리사회 성숙도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최난경(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 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최선남. 최인선(1995). 가족환경변인 및 아동기 부모-자녀 결합 형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전가정학회지, 33(3), 31-42.
  36. 최현미(1997). 원가족 척도 연구: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최혜경. 강진경. 신수진(1999).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이론의 한국 부부에의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47-59.
  38. 하상희. 정혜정(2000). 신혼기 부부의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3(2), 27-38.
  39. 하상희(2007).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전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0. 홍은영(2010). 결혼만족과 부모-자녀만족의 관계: 청소년 자녀를 둔 학부모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Ainsworth, M. D. S., & Bleher, M. C., Waters,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Hillsdale. NJ: Erlbaum.
  42. Ainsworth, M. D. (1985). Patterns of infant-mother attachment. Bulletio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61(9), 771-791.
  43. Bagarozzi, D. A., & Anderson. S. A. (1989). Personal, Martial family myths. Theoretical formations and clinical strategies. New York: Guilford Press.
  44. Belsky. J., & Isablla. R. (1985). Marti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to the family of origin and marital change following the birth of a baby: A retrospective analysis. Child Development, 56. 342-349. https://doi.org/10.2307/1129724
  45.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46. Belsky, J., & Vondra J. (1993). Development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 T. Luster, & L. Okagaki(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pp.227-25). Hillsdale: Lawrence Erlbaum.
  47. Benoit, D., & Parker, K. C. H.(1994). Stability and transmission of attachment across threee generations. Child Development, 65, 1444-1456. https://doi.org/10.2307/1131510
  48. Bowen, M. (1972).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 D. Jackson(Ed.). In family interaction: A dialogue between family researchers and family therapist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49.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 J.(Ed.). Family Therapy. New York: Gardner Press
  50.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 London: Jason Aronson, Inc.
  51. Bowlby, J. (1984). Caring for the Young: Influences of Development, In R, S, Cohen, B. J, Cohler & S. H. Weissman(Eds.) Parenthood: A Psychodynamic Perspective. 263-269. NY: Guilford Press.
  52. Bowlby, J.(1973). Attachment and loss. Vol2: Separation. New York: Basic Book.
  53. Bretherton, I. (1987). New Perspectives on attachment relation: Security, communication and internal working models, In J. D. Osofsky(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ly & Sins, Inc.
  54. Buehler, C., & Gerard, J. M.(2002). Martial conflict, ineffective parenting, and children and adolescent' mal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78-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078.x
  55.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644-663.
  56. Cox, M. J., Owen, M. T., Lewis, J. M., & Henderson, V. K. (1989). Marriage. Child Development, 60, 1015-1024. https://doi.org/10.2307/1130775
  57. Crowell, J. A., & Feldman, S. S. (1991). Mother's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mother and chile behavior during separation and reunion. Development Psychology, 27(4), 597-605.
  58. Davis, P. T., &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59. Eastebrooks, M. A., & Emade, R. N, (1990).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R. A. Hinde & J. Steven-Hinde (Eds). Relationships Within Families. Oxford, England: Oxford. 83-103.
  60. Glenn, N. D., & Kramer, K. B. (1987). The marriages and divorces of the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 11-25.
  61. Hovestadt, A. J., Anderson, W. T., Piercy, F. P,, Cochran. S. W., & Fine. M. (1985). A Family-of 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3), 287-297.
  62. Koski, K. J., & Steinberg, L. (1990). Parenting satisfaction of mothers during midlif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 465-474. https://doi.org/10.1007/BF01537475
  63. Kretchmar, M, D., & Jacovitz, D. B. (2002). Observing Mother-child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Boundary Patterns. Attachment, and the Transmission of Caregiving. Family Process, 41(3), 351-374.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2.41306.x
  64. Olweus. D. (1980). Familial and temperamental determinants of aggressive behavior in adolescent boys: A caus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16, 644-660.
  65. Parker, G., Tupling, H., & Brown, L. B. (1979).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52, 1-10. https://doi.org/10.1111/j.2044-8341.1979.tb02487.x
  66. Stair, B. (1988). The new peoplemaking. Mountain View,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67. Siegelman, M. (1965). College student personality correlates of early parent-child relationship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6), 558-564.
  68. Sroufle, L. A., Jacobvitz, D., Mangelsdorj, S., DeAngelo, E., & Ward, M. J. (1985). Generational boundary dissolution between mother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a relationship systems approach. Child Development, 56, 317-325. https://doi.org/10.2307/1129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