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xamination of Odor Substances Generated from the Painting, the Plating, the Casting, the Rubber Manufacturing, and the Used Oil Refining Facilities in Gwangju Hanam Industrial Complex

광주 하남산업단지 내 도장, 도금, 주물.주조, 고무제조 및 폐유정제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의 조사 연구

  • Kim, Nan-Hee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rk, Kang-Soo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Lee, Se-Haeng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rk, Seung-Yeol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Kim, Do-Sool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Kim, Dong-Soo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Lee, Kyung-Seog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Paik, Ke-Jin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 Moon, Yong-Woon (Air Quality Division,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Health and Environmental Institute of Gwangju)
  • 김난희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박강수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이세행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박승열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김도술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김동수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이경석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백계진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 문용운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환경연구부 대기과)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was analyzed substances that high contribute to odor strength degree which emitted from the painting, the plating, the casting, the rubber manufacturing, and the used oil refining facilities in Gwangju Hanam industrial complex. In order to this, we analyzed two types of nitrogen compounds, five types of sulfur compounds, thirteen types of the aldehyde, and ten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discharged from an outlet for antipollution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high contribution rate sustances to odor strenth was ordered butylaldehyde (73.8%) > acetaldehyde (17.7%) > propionaldehyde (4.9%) at painting facilities. At plat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Acetaldehyde (59.0%) > ammonia (19.1) > hydrogen sulfide (13.1%). At cast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Hydrogen sulfide (65.9%) > acetaldehyde (17.2%) > sulfur dioxide (5.2%). At rubber manufacturing facilities, it was ordered i-valeraldehyde (35.0%) > butylaldehyde (32.0%) > n-valeraldehyde (13.3%) and at used oil refinery facilities, it was ordered Acetaldehyde (36.8%) > butylaldehyde (33.6%) > sulfur dioxide (14.5%).

본 연구에서는 광주 하남산업단지 내 도장, 도금, 주물 주조, 고무제조, 폐유정제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장별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 악취기여도가 큰 물질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지시설 배출구에서 질소화합물 2종, 황화합물 5종, 알데하이드류 13종, 휘발성유기화합물 10종, 총30 항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악취기여도가 큰 물질은 도장사업장에서는 뷰틸알데하이드(73.8%) > 아세트알데하이드(17.7%) > 프로피온알데하이드(4.9%) 순으로 나타났고, 도금사업장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59%) > 암모니아(19.1%) > 황화수소(13.1%)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물 주조사업장에서는 황화수소(65.9%) > 아세트알데하이드(17.2%) > 이산화황(5.2%)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무제조사업장에서는 I-발레르알데하이드(35.0%) > 뷰틸알데하이드(32.0%) > n-발레르알 데하이드(13.3%)으로 나타났다. 폐유정제사업장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36.8%) > 뷰틸알데하이드(33.6%) > 이산화황(14.5%)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만호, "여수․광양산단 사업자 악취 배출특성 연구," 순천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1-2, 43-45 (2008).
  2. 안상영, "산업단지 악취관리를 위한 대기관리시스템 기반조성 및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 성서산업단지를 중심으로 -",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3 (2005).
  3. 법제처, "악취방지법", (2010).
  4. 김종보, "산업단지의 체감악취 특성 및 악취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3-4 (2009).
  5. 권우택, "VOCs 배출시설의 관리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시화․반월공단 지역을 중심으로 -", 최종연구보고서,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93-95 (2006).
  6. 국립환경과학원, "악취 측정기술 향상을 위한 workshop (3rd)", 3-4 (2007).
  7. 김덕현, "시화․반월공단 악취 중점 배출업소의 업종별 발생 악취오염물질 조사", 최종연구보고서,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3-4 (2006).
  8. 환경부(http://www.me.go.kr), "악취관리지역지정현황" (2009).
  9. 광주시, "2010년 악취취약사업장 관리계획", (2010).
  10. 이인화, "하남산업단지 악취관리지역 지정 타당성 연구", 최종연구보고서, 광주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3-5, 86-87 (2009).
  11. 김덕현, "시화공단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의 악취관리방안 연구", 최종연구보고서,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1-4 (2008).
  12. 이영우, "시화․반월공단 내 업종별 활성탄흡착탑의 효율성 평가연구", 최종연구보고서,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3-6 (2007).
  13. 국립환경과학원, "악취공정시험방법(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07-17호)", 57-161 (2007).
  14. 박귀환, "환경기초시설의 악취 배출 특성 및 관리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70-80 (2007).
  15. 이종국, "산업장별 악취발생 조사․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76-92 (2008).
  16. 환경부, "업종․시설별 악취관리", 23-62 (2003).
  17. 길인섭, "실시간 악취모니터링을 통한 악취발생원 추적 시스템 연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50-52 (2009).
  18. 환경부, "악취관리편람" (2007).
  19.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소규모 영세사업장에 대한 악취관리 편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