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on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social self-efficacy of children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on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social self-efficacy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12(8 boys and 4 girls) and the control group of 12 children(1st~3th gr) in Y elementary schoo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ress level and social self-efficacy were tested in both groups by questionnaires. The gather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Wilcoxon test, Mann-Whitney U test and a researcher investigate the qualitative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on reducing stress such as school and peer relationship stress of school children. Second, the psychomotoric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 self-efficacy of children.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4명이고 이를 12명은 실험집단, 12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의 아동에게 매회 70분씩 10회기에 걸쳐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자료 분석은 각 집단별 사전-사후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비모수 검증의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 검증을 실시하였다.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 아동의 전체 스트레스 수준과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 스트레스 수준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사회적 자기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통제집단은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마리아, 송호준(2007). 아동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자발성에 미치는 사례연구. 재활심리연구, 14(1), 43-56.
  2. 구제언(2004). 초등학교 아동의 신체활동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4), 1165-1178.
  3. 김성재(2011).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61-387.
  4. 김숙현(2009). 자기표현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대인관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5. 김영주(2009). 집단미술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용수, 박현주(2008).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분석. 아동교육, 17(4), 63-76.
  7. 김유경, 박정환, 전순영(2006).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3(1), 73-93.
  8. 김윤태(2009). 지적장애아 조기중재를 위한 심리운동적 접근방법. 지적장애연구, 11(4), 305-318.
  9. 김인수(2008). 초등학생의 방과 후 신체활동에 따른 스트레스요인 비교.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4(2), 43-53.
  10. 김춘경, 유지영(2010).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4(1), 51-65.
  11. 김학래(2003). 집단게임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적응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12. 김현주(2007). 놀이중심의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행동 및 자기효능감 개선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재활과학연구, 25(2), 11-26.
  13. 손명희, 박세정(200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창지사.
  14. 송영혜, 손명희(2004). 놀이 활동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0(3), 367-387.
  15. 송진희(1994).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이 아동의 주장행동과 사회적 자기효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6. 심재순(2006).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7. 심해미(2009).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영재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 신체화 증상 및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8. 양기순(2008). 요가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스트레스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양미애, 안이환(2010). 요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9(2), 175-193.
  20. 엄미연, 강문희(2004). 집단 놀이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심리치료, 4(1), 21-40.
  21. 엄태완(2008).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 36-66.
  22. 오진아(2011). 학령기 후기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5(2), 132-140.
  23. 윤신기(2004). 초.중등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법간의 관계. 아동교육, 13(2), 239-251.
  24. 이상주(2011).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초등교육연구, 24(2), 89-113.
  25. 이정희(2004). 초등학생용 학교 스트레스 척도의 요인구조 확인.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6. 장영화(2000). 유아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7. 정춘옥(2002).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대학원.
  28. 주연경(2005). 집단놀이 활동이 정신지체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9. 최창호(1993). 아동기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30. 한지혜, 이병인(2011). 심리운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능력 및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6(2), 239-261.
  31. 황매향, 여태철(2006). 초등학생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교육, 15(3), 165-185.
  32. Compas, B.(2001).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scence: Problems, Progress, and potential in theory and research. Pscychol Bulletin, 127, 87-127.
  33. Ginott, H.(1975). Group psychotherapy with children. Journal of Projective Techniques, 26(1), 3-10.
  34. Hughes, Fergus(1999).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김광웅외 역(2003).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35. Kaduson, H. G., & Schaefer, C. E.(1997). 101 favorite play therapy techniques. 김광웅 역(2003). 101 가지 놀이치료 기법. 중앙적성출판사.
  36. Kiphard, E. J.(1989). Psychomotorik in Praxis und Theorie. Gutesloh.
  37. Latham & Locke(1991). Gitlin-Weiner. A, Sandgrand, & C, Schaefer (Eds.), Play diagnosis and assessment(pp.544-562).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8. Mederios, D. C., Poter, B. J., & Welch, I. D. (1983). Childrenunder stress. New Jersey: Prentice-Hall.
  39. O'Connor, K. J.(1991). The play therapy primer: An ntegration of theories and techniques. New York: Wiley Interscience Publication.
  40. Pica, R.(1997). Beyond physical development: Why young children need to move. Young Child, 52(6), 4-11.
  41. Rutter, M.(2006). Implication of resilience concepts for scientific understanding. Annals of the New York Acad Science, 1096, 1-12.
  42. Ryan-Wenger, N., Sharrer, V., & Campbell, K.(2005). Changes in children's stressors over the past 30 years. Pediatr Nurs, 31(4), 282-291.
  43. Seewald, J.(1992). Vorlaufiges zu einer verstehendenmotologie. In Motorik, 15, 204-221.
  44. Segal, M., Montie, J., & Iverson, T. J.(2000). Observation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ocial interaction styles of preschool children.
  45.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1982). The self-efficacy scald;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46. Wheeler, V. A., & Ladd, G. W.(1982). Assessment of children's self-efficacy for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Development Psychology, 18, 795-805.
  47. Wolfgang B., Rudolf, L., & Hans, J. Enjoyable play for me and my child. 조혜경, 황혜련 역(2002). 나와 아이들을 즐겁게 하는 놀이.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48. Zimmer, R.(1994). Psychomotorik therapie-eine kindzentrierte methode der forderung entwicklungs-und verhaltensauffalliger kinder. 16-26.
  49. Zimmer, R.(2005a). Psychomotorik. Seoul: Seoul Communiry Rehabilitation Center.
  50. Zimmer, R.(2005b). A point of view child-centered on psychomotorik. Ins Psychomotorik in Korea, 5-35.
  51. Zimmer, R.(2005c). Bewegung und Entspannung. 김문주 역(2007). 아동의 심리운동을 위한 움직임과 이완.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