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alues, Consumption Culture, and Clothing Attitudes of a Modern New Generation as the Primary Consumer of Modern Korean Culture: From the 1920's to the 1930's

한국 근대 문화 소비 주체로서 모던 신세대의 가치관, 소비문화, 의복 태도 특성: 1920년대~1930년대를 중심으로

  • 박혜원 (오산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1.09.19
  • Accepted : 2011.10.12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new women, modern girls and modern boy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as a modern new generation, the primary consumer of modern consumption culture, and to examine their values, lifestyles, consumption culture and clothing attitude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agazines and newspapers published from 1920's to 1930's and previous literatures, and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modern new generation meant the new women, modern girls, and modern boys seeking for the western looks and cultural tastes. The values of a new generation people were individualism, materialism, and modernism which was the same as Americanism. They enjoyed western lifestyles and sports and consumed new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eir clothing attitudes were fashion orientation, conformity, symbolism, conspicuous consumption, aesthetic value,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Keywords

References

  1. 금기숙, 김민자, 김영인, 김윤희, 박명희, 박민여 외(2002).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2. 김경일(2001). 1920-30년대 신여성의 신체와 근대성. 정신문화연구, 24(3), 185-207.
  3. 김경일(2004).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서울: 푸른 역사.
  4. 김규탁(1927. 12. 20). 깃도구두 한켜레=벼두섬, 용맹스러운아가씨. 별건곤, 10, 92.
  5. 김기림(1932. 9. 1). 단발과조선녀성, 미쓰. 코리아여 단발하시오. 동광, 37, 62.
  6. 김미선(2005). 1920-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 신여성. 여성학논집, 22(2), 145-182.
  7. 김주리(2005). 모던걸, 여우 목도리를 버려라. 파주: 살림.
  8. 김희정(2004). 별건곤을 중심으로 본 신여성의 복장에 관한연구. 복식문화연구, 12(2), 13-25.
  9. 남녀논평 여자단발이 가한가 부한가(1929. 1. 1). 별건곤, 18, 128-129.
  10. 남윤숙(1992). 한일 여성복의 양장화에 관한 비교연구. 복식,19, 41-51.
  11. 동아일보(1921. 9. 10). 부인 의복 개량에 관한 의견. p. 3.
  12. 동아일보(1921. 10. 1). 부인 의복 개량문제 (4). p. 3.
  13. 동아일보(1936. 2. 20). 여성과 직업. p. 3.
  14. 동아일보(1937. 6. 3). 유행게를 찾아서, 유행을 누가 지어내냐?. p. 4
  15. 두피디아 두산 백과(2010). 서울: 두산동아 출판사.
  16. 로아(1930. 11. 1). 가을거리의 남녀풍경, 새로운 경향의 여인점경. 별건곤, 34, 91.
  17. 박영은(1993). 한말에 있어서 신분제의 붕괴와 정치논리의갈등. 사회민속 연구실(편.), 한국의 사회와 문화, 20(pp. 139-176).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8. 박영희(1927. 12. 20). 유산자사회의소위 근대녀, 근대남의 특징, 모-던껄. 모-던뽀-이 대논평. 별건곤, 10,114-116.
  19. 박재흥(2001). 세대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 24(2), 47-78.
  20. 박팔양(1927. 12. 20). 모-던뽀이 촌감, 모-던껄.모-던뽀-이 대논평. 별건곤, 10, 116.
  21. 박혜선(1991). 의복 동조의 개념적 구조. 한국의류학회지,15(3), 63-70.
  22. 박희도(1928. 12. 1). 현하문제 명사의견, 생활개선안 제의. 별건곤, 16.17, 22-30.
  23. 서울시사편찬위원회(2002). 일제침략아래서의 서울. 서울:큰 기획.
  24. 서지영(2006). 식민지 조선의 모던걸: 1920-30년대 경성거리의 여성 산책자. 한국여성학, 22(3), 199-228.
  25. 석왕사 약수의 하기경과 니약이, 피서객도 가지가지(1927.10. 1). 별건곤, 9, 120-121.
  26. 성서인(1927. 12. 20). 현대적(모-던) 처녀, 모-던껄.모-던뽀-이 대논평. 별건곤, 10, 117.
  27. 손주리내, 백혜련, 이혜숙(1932. 5. 15). 인텔리 여성의 비극,그 여자는 여자 보고를 졸업하고 엇재서 기생과 여급이 되었나?. 삼천리, 4(5), 29-31.
  28. 숙녀비망첩(1933. 7). 신여성, 7(7), 76-77.
  29. 시대일보(1925. 11. 3). 만화로 본 경성. p. 2.
  30. 신명직(1993).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서울: 현실문화연구
  31. 신불출(1936. 2. 1). 신구여성좌담회풍경. 삼천리, 8(2), 105-111.
  32. 안석주(1924. 11). 미관상으로 보아서- 의복 문제. 신여성,2(11), 8-9.
  33. 안석주(1925. 8). 단발을 햇스면. 신여성, 3(8), 48-49.
  34. 양백화(1927. 12. 20). 여학생과 금시계, 수감수상, 요새 이때에 생각되는 일. 별건곤, 10, 79.
  35. 엄현섭(2009). 근대 대중 문예를 통해 본 모던세대론 연구.인문과학, 43, 5-28.
  36. 연구 공간 수유+너머 근대매체연구팀(2005). 신여성. 서울:한겨레신문사.
  37. 오석천(1931. 6. 1). 모더니즘 회론. 신민, 67, 29.
  38. 유수경(1990). 한국여성양장 변천사. 서울: 일지사.
  39. 유정이(2007). 한국과 일본의 신여성복식 비교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윤영옥(2005). 1920-193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신여성개념의 의미 변화와 사회문화적 의의-신여성을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40, 201-224.
  41. 이숙종(1938. 3). 부인과 의상. 여성, 3(3), 36-37.
  42. 이용설(1934. 9). 조선 여자와 사치. 신가정, 21, 90-91.
  43. 이유경, 김진구(1995). 우리나라 양복 수용 과정의 복식변천에 대한 연구. 복식, 26, 123-143.
  44. 이이화(2004). 한국사 이야기, 22. 서울: 한길사.
  45. 익명(1925. 7). 풍자화. 신여성, 2(6.7), 36.
  46. 일기자(1924. 12). 털실 사는 것과 가리는 법. 신여성, 2(12), 66.
  47. 일기자(1927. 10. 1). 전조선여자정구대회를 보고. 별건곤,9, 78-79.
  48. 임석진, 이정우, 윤용택, 황태연, 이성백, 한단석 외(2009).철학사전. 서울: 중원문화사.
  49. 임인생(1930. 1. 1). 모던이씀. 별건곤, 25, 136-137.
  50. 장석주(2011). 이상과 1930년대 경성의 모던뽀이들. 서울:현암사.
  51. 적라산인(1930. 7. 1). 모던 수제. 신민, 59, 126.
  52. 전대응(1976). 신여성과 그 문제점.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여성문제 연구, 5.6, 351-362.
  53. 정순애(1937. 2). 발. 여성, 2(2), 48.
  54. 정의순(1932. 12). 당세 여학생 기질. 신동아, 2(12), 93.
  55. 조선일보(1925. 3. 29). 새로 유행하는 양식 화장. p. 3.
  56. 조선일보(1927. 6. 1). 금년에 유행할 모던-껄의 부채는?. p. 3.
  57. 조선일보(1928. 2. 5). 모던-껄의 장신 운동, 가상소견(1). p. 3.
  58. 조선일보(1928. 2. 7). 모던-뽀이의 산보, 가상소견(2). p. 3.
  59. 조선일보(1928. 4. 15). 인연, 견연, 봄(7). p. 3.
  60. 조선일보(1929. 7. 27). 몽파리 나녀, 녀름 풍경(2). p. 3.
  61. 조선일보(1930. 1. 11). 여성선전시대가 오면(1). p. 5.
  62. 조선일보(1930. 1. 16). 여성선전시대가 오면(5). p. 5.
  63. 조선일보(1930. 1. 19). 여성선전시대가 오면(6). p. 5.
  64. 조선일보(1930. 4. 8). 어듸서 그 돈이 생길가, 일일일화(5). p. 5.
  65. 조선일보(1930. 11. 20). 1931년이 오면(2). p. 5.
  66. 조선일보(1931. 10. 5). 대도회의 구사자, 버스걸의 고스톱. p. 2.
  67. 조선일보(1931. 10. 11). 데파트껄의 비애: 점두의 능라주사가그의 것 아니고 남의 살림에 애교와 상품을 팔아. p. 2
  68. 조선일보(1932. 1. 20). 만화가가 예상한 1932 모던껄 제 3기- 1932년 모던껄 시위행렬. p. 4.
  69. 조선일보(1933. 2. 19). 이꼴저꼴(4). p. 4.
  70. 조선일보(1933. 2. 22). 봄의 전령 - 북행열차를 타고. p. 4.
  71. 조선일보(1933. 10. 20). 고물상 양복, 만추풍경(1). 부록, p. 2.
  72. 조선일보(1933. 10. 25). 호귀의 출몰, 만추풍경(5). p. 2.
  73. 조선일보(1934. 1. 3). 아스팔트의 딸(2), 경기구 탄 분혼군(2).p. 10.
  74. 조선일보(1934. 2. 9.). 도회점경(3). p. 3.
  75. 조선일보(1934. 4. 23). 꽃이 내게 무슨 상관? p. 3.
  76. 조선일보(1934. 5. 13). 푸른 기폭, 오십 전자리 넥타이, 오월의 스켓취(2). 부록, p. 2.
  77. 조선일보(1934. 7. 23). 양화공과 그 청공 (상), 인생 스켓취(4). 부록, p. 2.
  78. 조선일보(1935. 3. 17). 그 봄의 전리품. p. 2.
  79. 조선일보(1939. 7. 11). 무척 구경을 조하한다. p. 4.
  80. 조순영(1936. 7). 여성과 등산. 여성, 1(4), 39.
  81. 주세죽(1925. 8). 나는 단발을 주장합니다. 우리의 실생활에비추어 편리한 점으로. 신여성, 3(8), 37-51.
  82. 주요한(1931. 3). 처녀독본. 신여성, 5(2), 30.
  83. 주창윤(2008). 1920-1930년대 모던세대의 형성과정. 한국언론학보, 52(5), 187-206.
  84. 최학송(1927. 12. 20). 데카단의 상징, 모-던껄.모-던뽀-이대평론. 별건곤, 10, 118-120.
  85. 최혜실(2000).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서울: 생각의나무.
  86. 홍란(1925. 2). 평론, 첩으로 가는 신여성. 신여성, 3(2), 13.
  87. Belk, R. W.(1985). Materialism;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65-280. https://doi.org/10.1086/208515
  88. Laver, J.(1982). Costume & Fashion. N. Y.: Thames and Hudson.
  89. Mason, R. S.(1981). Conspicu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N. Y.: St. Martin's Press.
  90. Rogers, E. M.(1983). Diffusion of innovation(3rd ed). N. Y.: The Free Press.
  91. Veblen, T.(1994). The theory of leisure class. N. Y.: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