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Behavior and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노인의 구강보건지식, 행위,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 Jung, Jae-Yeon (Dept. of Dental Hygiene, Hanyang Women's University) ;
  • Han, Su-Jin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정재연 (한양여자대학 치위생과) ;
  • 한수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9.07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derly people's oral health behaviors and education nee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5 senior citizens who were users of senior cultural centers and senior welfare agencies in Seoul and Inche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WIN 19.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Gender, academic credential and monthly mean income were identified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o impact on their oral health attitude. 2. The senior citizens who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had a better knowledge(p<0.05) and took a better attitude(p<0.01). 3. As for a time for toothbrushing, many brushed their teeth after breakfast(74.9%) and dinner(71.8%). Utilized Oral hygiene devices were interdental brushes(21.5%), dental floss(13.8%). As many as 62.5% felt they had a dry mouth, and the most prevalent way for them to cope with it was drinking water often(68.2%). 79.5% didn't get their teeth cleaned on a regular scaling. 4. The rate of regular scaling was higher in the elderly groups that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and whose knowledge scores was above the average(p<0.05). 5.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87.2% felt the need for that, and as many as 79.0% intended to receive that education. Their favorite period of education was 6months(41.0%), and the greatest group hoped to receive that education for an hour(55.4%). The largest group wanted to learn about prevention of oral diseases, followed by toothbrushing, denture management, dry mouth.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enior welfare centers and senior cultural centers should offer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to provide systematic and prolonged education for the elderly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care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보건행태 및 구강보건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서울 인천지역 노인문화센터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9.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며, 태도에 영향을 주는 특성은 성별과 학력, 월평균수입이었다. 여성의 구강보건태도가 높았으며(p<0.01), 무학인 군의 태도가 높았고(p<0.05), 월평균수입이 101-150만원인 군의 태도가 높았다(p<0.01). 2.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구강보건지식(p<0.05)과 구강보건태도(p<0.01)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잇솔질시기는 아침식사 후(74.9%)와 저녁식사 후(71.8%)가 높게 나타났고, 사용하는 구강관리용품으로는 치간솔(21.5%), 치실(13.8%)순이었다. 치과방문 시기로는 6개월-1년 미만 (28.7%), 6개월 미만(26.7%) 순이었으며, 방문이유로는 충치치료(34.4%), 잇몸치료(19.0%) 등의 순이었다. 구강건조증상을 느끼는 경우는 62.5%로 높게 나타났고, 대응활동으로는 물을 자주 마시기(68.2%), 사탕 카라멜 먹기(21.5%) 순이었고, 정기적인 스켈링은 79.5%가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보건교육경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는 주기적 스켈링에 대한 항목 이외의 구강보건행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군과 구강보건지식이 평균이상인 집단에서 주기적으로 스켈링을 받는 율이 높았다(p<0.05). 5.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고 응답한 율이 87.2%이었으며, 구강보건교육 참여의사도 79.0%로 높게 나타났다. 희망하는 교육주기는 6개월(41.0%), 교육시간은 1시간(55.4%), 교육내용은 구강병예방, 이닦기, 틀니관리, 구강건조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와 건강을 위해서는 노인복지관 및 노인문화센터 내에 평생교육차원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2007.
  2. 우석류: 지역사회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대구, 2010.
  3. 김남희: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2003.
  4. 원영순: 노인의 구강상태와 식습관 및 건강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원주, 2003.
  5. 노은미, 백종옥: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0(4): 233-239, 2010.
  6.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6.
  7. 신명숙 등: 한국 노인의 DMFS, DMFT 지수와 FS-T 지수의 비교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0(4): 251-257, 2010.
  8. 성정희: 노인의 구강보건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4.
  9. 이민영: 노인 구강보건지식, 행위, 상태, 태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05.
  10. 황지민: 노인의 구강보건인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1. 박인숙 등: 일부 노인의 구강보건지식.형태 및 실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0(2): 413-42, 2010.
  12. 신선미: 노인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실태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용인, 2010.
  13. 하귀염: 노인 보건교육이 지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분석: 서울시 일부 복지시설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14. 장기완 등: 구강보건교육학, 제4판. 고문사, 서울, pp. 19, 2007.
  15. 서인선: 노인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연구(I). 한국노년학 20(2): 1-28, 2000.
  16. 김남희: 지역사회 노인구강건강증진사업 기초모형개발[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7. 김지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7.
  18. 한상길: 성인 평생교육. 초판, 양서원, 서울, pp. 183, 2001.
  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복건복지부: 2004년도 전국 노인실태 및 복지 욕구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복건복지부, 2005.
  20. 노은미: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대구, 2010.
  21. 예방치학연구회: 현대예방치학. 2판, 군자출판사, 서울, pp. 12, 116, 2008.
  22. 조민정 등: 치면세마총론. 3판. 고문사, 서울, pp. 262, 2006.
  23. 임재은 등: 서울시 노인들의 대중매체 관심도 및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2(1): 3-21,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