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ived Successful Aging and Consumer Needs of Older People in Korean Society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통한 한국 노인들의 소비자 욕구 탐색

  • 최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학과)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consumer needs of Korean older people derived from their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Subjects of this study are 625 older men and women who are 65 years old and ov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Older consumers expects 'wellness of everyday life', 'self efficacy' and 'social integration' as key elements of successful aging, which reflects safety needs, love and belonging needs, esteem and self-actualization needs repectively for their older life. (2) Older consumers are classified into 4 need groups based on how they perceive successful aging, and this result suggests that older consumers are not homogeneous, rather heterogeneous. (3) Older consumers across all the need groups show similar needs patterns in that they report highest level of safety needs while show lowest level of love and belonging needs. This result implies that older consumers may have higher needs for products and services to fulfill safety needs while showing lower needs for those to fulfill social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4) Socio-economic resources and the degree of Korean traditional values are found to differentiate needs for older life among older consumers. Older people who have more resources show higher levels of consumer needs for their lives compared to those who have less reousrces.

본 연구는 한국 노인소비자들의 욕구의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노인소비자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통해 이들의 노후 삶에 대한 욕구 유형을 도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총 652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요소들은 '일상적 안녕', '자기효능', '사회통합'으로서 노인소비자들이 자신의 노후 삶에 대해 안전, 소속감 및 애정, 존경 및 자아실현의 욕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소비자들을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최선지향형', '내부지향형', '과시지향형', '안전지향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노인소비자들은 모든 욕구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높고 상대적으로 사회관계와 활동을 가족범위에서 더 확장하려는 욕구는 부족해서, 안전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큰 반면 사회관계와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적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넷째, 현재 한국의 노인소비자들은 자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자 욕구가 달리 나타나는데,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풍족하고 자신의 노후 삶에 대한 욕구수준이 더 높은 노인 소비자 집단에서부터 자원이 부족하고 소비자 욕구가 적으며 공공정책이나 사회부조의 대상인 집단에 이르기까지 소비자욕구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현재 한국사회의 노인소비자들은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살아온 코호트로서 소비보다는 저축을 가치있게 여기고 자녀와 가족위주로 삶을 영위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풍족하고 자신의 노후 삶에 대한 욕구수준이 더 높은 노인소비자 집단에서 자원이 부족하고 소비자 욕구가 적으며 공공정책이나 사회부조의 대상인 집단까지 자원과 욕구수준에서 다양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 95-116.
  2. 김동기(1994). 노인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연구. 경영학연구, 23(2), 1-25.
  3.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2004).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4. 김영근(2009). 고령친화 용품의 소비와 관련된 노인 소비자 행태 특성, 한국노년학, 29(1), ?????
  5. 박경란, 이영숙(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6. 박명희. 이민표(1992). 노인소비자연구의 실태와 전망. 소비자학연구, 3(2), 16-41.
  7. 백지은, 최혜경(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8. 서봉철(2005). 한국 노년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분석. 流通硏究, 10(4)
  9.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최혜경(2006). 소비주체로서의 노인: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 사회학회와 경기문화재단 공동학술대회 발표집.
  11. 통계청(2002). 장래인구추계
  12. 황상민(1999). 세대의 계열과 인생주기를 통한 미래사회 성격의 예측. 현상과 인식, 23(4), 100-118.
  13. Abraham, J.D., & Hansson, R.O.(1995). Successful aging at work: an applied study of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through impression management.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0(2), 94-103.
  14. Baltes, P.B., & Baltes, M.M.(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B. Baltes & M.M.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Chaney, D(1995). Creating Memories: Some Images of Aging in Mass Tourism, in M. Featherstone & A. Wernick (Eds.), Images of Aging: Cultural Representations of Later Life, New York: Routledge, 209-224.
  16. Chou, K.L. & Chi, I.(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the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 (1), 1-14. https://doi.org/10.2190/9K7T-6KXM-C0C6-3D64
  17. Fishcer & Specht (1999). Successful aging and creativity in later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23(3), 26-38.
  18. Meeks, S., & Murrell, S.A.(2001).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mediated by negative affect.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3, 92-119. https://doi.org/10.1177/089826430101300105
  19. Moschis, G. P(2003). Marketing to older adults: an updated overview of present knowledge and practice.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0(6), 516-525. https://doi.org/10.1108/07363760310499093
  20. Peter, C.(2001). If you got everything, it's good enough : perspectives on aging successful in a Canadian Inuit community.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16(2), 127-155. https://doi.org/10.1023/A:1010698200870
  21. Robert B.T., Leedine, L., & Edward, C.(2003).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by Elderly Canadian Males: The Manitoba Follow-Up Study. The Gerontologist, 43, 735-744. https://doi.org/10.1093/geront/43.5.735
  22. Rowe, J., & Kahn, R.(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Book.
  23. Wolfe, D.B.(2004). The changing psychology of the older consumer: The myth of aging boomers' differences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s, 3, 132-143.
  24. Stern, P.C. & Carstensen, L.L.(2000). The Aging Mind: Opportunities in Cognitive Research. Washington: National Academy Press.
  25. Yaney, G.(2003), The impact of aging on consumer responses: what do we know?.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0(1), 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