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Advanced Synthetic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Improvement of Tunnel Shotcrete Performance

터널 숏크리트 성능 향상을 위한 고기능성 합성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물성 평가

  • 전찬기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도시건설공학과) ;
  • 전중규 (코오롱건설(주) 기술연구센터)
  • Received : 2011.03.11
  • Accepted : 2011.03.2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Application of Steel Fiber Shotcrete in tunneling construction has become part of tunneling practice at least since the 1970s because of its high bending and tensile properties. Over the past 3 decades, researcher from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significantly developing the associated technologies for improved performance of SFRS. But still it has some major drawbacks in terms of durability, damage of pumping hose, wastage due to rebound concrete, corrosion and it costs high. To overcome this situation researcher has to look for some alternative material. Therefore, this part study deals with the three types of fiber in order to find good alternative for steel fiber. Polyamide and Polypropylene fiber were used in this study with 0.6, 0.5% mixing ratio. To evaluate its fresh and harden properties air content, slump, compressive, split tensile and bending strength were measured.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all three typ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its different mixing proportion this study propose that polyamide fiber with addition ratio of 0.6 % for field use.

숏크리트의 보강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강섬유는 강성이 크고 중량이 무거워 압송호스의 마모손상 및 파열 등 안전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강섬유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높은 반발률 등이 개선사항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2009년 개정된 규정에 의해 강섬유 외의 재료보강이 가능해짐에 따라 숏크리트 보강 재료로서 강섬유 이외의 다양한 섬유의 적용성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강섬유는 기타섬유에 비해 강성이 크고, 섬유의 형상에 따라 부착성능이 개선되지만, 유기섬유의 경우 강섬유에 비해 일반적으로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가 낮고 섬유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숏크리트에서 재료보강으로 시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직경 $20{\mu}m$의 미세섬유를 다발형 단일 개체로서 공기압출성형을 통해 부착 비표면적을 크게 하여 역학적 성능을 고려하고, 섬유의 표면을 계면 활성제로 개질하여 분상성을 향상시킨 폴리아미드섬유와 강섬유, PP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비교하여 현장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일, 박동순, 서치호 (2005). "강섬유 흔입량 증가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재료특성의 변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o1.21, No.2, pp.95-101.
  2. 건설교통부 (2007), 터널설계기준.
  3. 마상준, 최재석 (2008). "강섬유보강 솟크리트의 품질기준 및 시험방법 KS규격 표준화." 대한토목학회 학회지, Vo1.16, No.I-3, pp.217-226.
  4. 백신원, 한일영, 권지훈 (2001). "폴리프로필엔 섬유보강 숏크리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1.21 , No.6-C, pp.605-611.
  5. 원종필, 박찬기 (1999).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수축균열 및 내구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1.19, No.1-5, pp.783-790.
  6. 오병환 (1996).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전망 및 필요성"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1.8, No.4, pp.5-13.
  7. 장필성, 최희섭, 김동민, 남관우 (2009). "휨인성 특성을 통해 구조용 합성섬유를 사용한 레디믹스트 숏크리트의 적정 혼입량 도출"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pp.3651-3654.
  8. 최승환, 김재욱, 김남욱, 배주성 (2000). "강섬유와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이용한 섬유보강콘크리트의 하이브리드 조합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435-438.
  9. 한국도로공사 (2009).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시공 및 품질관리 지침.
  10. 한국고속철도공단 (2007).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공사시방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