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Sports, Health Oriented Behavior and Well-dying of the Elderly in the Home

재가 노인의 운동실천과 건강지향행동 및 웰다잉의 관계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sports, health oriented behavior and well-dying of the elderly in the home. Using a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738(622 participants, 116 none participants) the elder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women have more health oriented behavior and social role activity than men. But, men ar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women. And the higher scholarship and the better economic state and perceived health state, the higher health oriented behavior, social rol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exercise participants has more health oriented behavior, social rol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none participants. Third,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health oriented behavior is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role ac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ell-dying of the elderly. Fourth, the primary factor affecting well-dying of the elderly in the home is health oriented behavior. Also,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and health oriented behavior has significantly indirect influence on well-dying of the elderly through social rol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이 연구는 재가 노인의 운동실천 정도와 건강지향행동, 사회적 역할활동, 심리적 복지감 및 웰다잉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유층집락표집 방법을 통해 운동참가 노인 622명, 운동 비참가 노인 116명 등 총 738명을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건강지향 행동과 사회적 역할활동을 더 많이 하는 반면, 심리적 복지감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다. 학력이 높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인지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지향행동과 사회적 역할활동, 심리적 복지감이 높다. 둘째, 운동을 실천하는 노인이 비실천 노인에 비해 건강지향행동과 사회적 역할활동을 더 많이 하고, 심리적 복지감도 높다. 셋째, 재가 노인의 운동실천 정도와 건강지향행동은 노인의 사회적 역할활동과 심리적 복지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건강지향행동은 노인의 웰다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재가 노인의 웰다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지향행동이었다. 또한 노인의 운동실천과 건강지향행동은 사회적 역할활동과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쳐 웰다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민, 한경혜(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2. 김경식(2004).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7(1), 17-31.
  3. 김경식(2005).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사.
  4. 김동배(1992). 지역사회 노인복지 서비스의 개선방안. 한국노년학, 12(1), 119-131.
  5. 김미혜, 권금주, 임연옥(2004). 노인이 인지하는 '좋은 죽음' 의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2), 195-213.
  6. 김순기, 유영주(1999). 여성노인의 가정내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논집, 3(1), 1-14.
  7. 김양호(2005). 중년남성의 건강과 사회관계망 특성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103-126.
  8. 김정순(1989). 노인의 가정내 역할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9. 김정희, 한종숙(2002). 지역사회 노인의 죽음태도 및 관련요인. 노인간호학회지, 4(1), 93-103.
  10. 김지현, 민경환(2005). 청년집단의 죽음 공포와 죽음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4(2), 11-36.
  11. 김태현, 김양호(2003). 중년남성의 남성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자, 8(1), 73-94.
  12. 김태현, 손양숙(1984).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연구. 한국노년학, 4, 3-19.
  13. 김현숙(2006).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생활체육프로그램 참가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14. 박정숙(2004). 노인 건강증진대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7), 1194-1204.
  15. 박준동(2006. 11월 7일). 웰빙의 마침표 '웰다잉'. 위클리 조선. http://www.chosun.com.
  16. 백경숙, 권용신(2007).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노인복지연구, 35(봄)호, 87-106.
  17. 서병숙, 오경숙(1990). 활동을 중심으로 한 노후 적응. 한국노년학, 10, 125-145.
  18. 서진교(2000).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망, 사회적 지지 및 건강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3(1), 59-72.
  19. 서혜경(1988). 한미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연구. 한국노년학, 7, 39-60.
  20. 신기영, 옥선화(1991). 중년기 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 계망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161-178.
  21. 안황란(1999).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과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정신간호학회지, 8(1), 44-68.
  22. 양영순(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26.
  23. 양혜정(1991).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논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4. 연합뉴스(2007. 10월 10일). 잘 살아야 잘 죽을 수 있다. 연합뉴스.
  25. 오경환(2007).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6. 오진숙(2007). 중년여성의 생활무용 참가만족과 죽음 수용태도의 인과모형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7. 원형중(1994). 여가활동참여가 수도권 거주 노인의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4(2), 97-116.
  28. 유석재(2006. 6월 20일). '웰빙'을 넘어 '웰다잉'을 논하다. 조선일보.
  29. 윤순덕(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30. 이성철(1996).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31. 이정화, 한경혜(2003).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3(1), 209-238.
  32. 이지현(2008. 2월 3일). 미리 생각해보는 죽음... 삶이 더 아름다워진다.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
  33. 이춘희, 옥선화(1994). 남자노인의 역할활동과 생활만족도. 한국가족학회지, 6, 69-101.
  34. 전미양, 최명애(1996). 율동적 동작 훈련이 노년기 여성의 생리,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6(4), 833-852.
  35. 전제균, 문미숙(2001).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변수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1), 107-114.
  36. 정영미, 김주희(2002).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행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4(3), 327-336.
  37. 조계화, 이현지, 이윤주(2005).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죽음태도 유형 - Q 방법론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35(5), 829-841.
  38. 최선하(1997).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이 경로당이용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39. 최영희, 김순이(1997).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 사정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7(3), 601-613.
  40. 통계청(2005). 총 조사인구 총괄.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41. 한경혜, 이정화, 옥선화, Ryff, C. & Marks, N. (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42. 한국의 체육지표(2007). 한국의 체육지표.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체육과학연구원.
  43. 한혜원(2000). 노년기 여가참여와 삶의 질 인지와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44. 현승권(2004). 노인의 건강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45. Allport, G. W. (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46. Becker, E. (1973). The denial of death, New York: The Free Press.
  47. Bell, B. D., & Batterson, C. T. (1979). The death attitudes of older adults. A path analytical exploration. Omega, 10(1), 59-76.
  48. Bugen, L. A. (1980-81). Copin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mega, 11(2), 175-183.
  49. Branch, L. G., & Jette, A. M. (1984). Personal health practices among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17, 1126-1129.
  50. Bryant, F. B., & Veroff, J. (1982).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 sociohistor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4), 653-673.
  51. Butler, R. N. (1975). Why survive?: being old in America. New York: Harper and Row Co.
  52. Christ, A. E. (1961). Attitude toward death among a group of acute geriatric psychiatric patients. Journal of Gerontology, 16, 56-59. https://doi.org/10.1093/geronj/16.1.56
  53. Durlak, J. A. (1972). Measurements of the fear of dea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4), 545-547. https://doi.org/10.1002/1097-4679(197210)28:4<545::AID-JCLP2270280429>3.0.CO;2-X
  54. Given, J. E., & Range, L. M. (1990).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in elderly nursing home and public housing residents. Th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9(2), 224-229. https://doi.org/10.1177/073346489000900208
  55. Greenberg, J., Pyszczynski, T., Solomon, S., Rosenblatt, A., Veeder, M., Kirkland, S., & Lyon, D. (1990). Evidence for terror management theory II : the effects of mortality salience on reactions to those who threaten or bolster the cultural worldview.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2), 308-318.
  56. Havighurst, R. J., & Albrecht, J. (1953).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57. Hoyle, E. (1972). The role of the teacher. London: Rout Ledge and Kegan Paul.
  58. Jenkins, K. R., Pienta, A. M. & Horgas, A. L. (2002).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Research on Aging, 24(1), 124-149. https://doi.org/10.1177/0164027503024001008
  59. Kastenbaum, R. (2001). Death, Society, and Human Experience. 7th edition. Boston: Allyn & Bacon.
  60. Kelly, J. (1987). Later life satisfaction: does leisure contribute. Leisure Sciences, 9(3), 189-200.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59
  61. Leary, M. R. (1990). Responses to social exclusion: social anxiety, jealousy, loneliness,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 221-229. https://doi.org/10.1521/jscp.1990.9.2.221
  62. Lee, G. R. & Ishii-kunts, M. (1987). Social interaction, loneliness, and emotion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Research on Aging, 9(4), 459-482. https://doi.org/10.1177/0164027587094001
  63. Liang, J. (1982). Sex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37(1), 100-108. https://doi.org/10.1093/geronj/37.1.100
  64. Marshall, V. (1980). Last chapters: a sociology of aging and dying. Pacific Grove, CA: Brooks/Cole.
  65. Maslow, A. H. (1955).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and Row.
  66. McIntosh, B. R., & Danigelis, N. L. (1995). Race, gender and the relevance of productive activity for elders' affect. Journal of Gerontology, 50(4), 229-239.
  67. Moss, M. S., & Moss, S. Z. (1995). Death and bereavement. In R. Blieszner & V. H. Bedford(Eds.), Handbook of aging and the family(pp. 422-439).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68. Pastorino, C. A., & Dickey, T. (1990).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ssues and programming planing. Orthopedic Nursing, 9(6), 36-42. https://doi.org/10.1097/00006416-199011000-00007
  69. Pender, N. J., & Pender, A. 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mg practice. (2nd ed.). Norwalk, CT: Appletone and Lange.
  70. Perkins, H. W., & Harris, L. B.(1990). Familial bereavement and health in adult life course perspectiv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233-241. https://doi.org/10.2307/352853
  71. Pinquart, M., & Sorensen, S. (2000). Influence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and competence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15(2), 187-224.
  72. Preston, E. M. (1987). Factors affecting nursing home residents' loneliness,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73.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74. Rosow, I. (1976). Status and role change through the life span. In R. H. Binstock and E. Shanas(ed.).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 (pp. 457-482). New York: D. Van Nostrand.
  7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76. Secord, P. E. (1964). Social Psychology. McGraw Hill Book Co.
  77. Swenson, W. M. (1961). Attitudes toward death in an aged popula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49-52. https://doi.org/10.1093/geronj/16.1.49
  78. Templer, D. I. (1971). Death anxiety as related to depression and health of retired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26(4), 521-523. https://doi.org/10.1093/geronj/26.4.521
  7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76-81.
  80. WHO(2001). Healthy 2010.
  81. Wong, P. T. P., Recker, G. T., & Gesser, G. (1994).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s toward death. In R. G. Neimeyer(ed.). Death anxiety handbook, (pp. 121-148).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