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화산암의 광역적 수리지질과 지하수 분포 특성

Features of Regional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Distribution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 김봉상 ((주)진산) ;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이충모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옥순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차은지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고영실 ((주)진산)
  • Kim, Bong-Sang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Hamm, Se-Yeong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Choong-Mo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Ok, Soon-Il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a, Eun-Jee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o, Young-Sil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발행 : 2011.06.30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전역에 굴착된 지하수공의 시추자료와 지하수위 자료를 근거로 제주도 화산암의 수리지질과 지하수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농업용 관정, 광역상수도 관정, 해수침투감시관측공, 국가지하수관측공, 한라산 고지대 조사시추공, 제주 삼다수 관측공, 골프장, 개인 지하수 관정, 천연광천수 조사시추공 등 제주도 전역의 총 203개 지하수공을 이용하였다. 또한, 수리지질과 지하수 분포 특성은 동부지역(구좌, 성산, 표선 유역), 서부지역(한림, 한경, 대정, 안덕 유역), 남부지역(서서귀, 중서귀, 동서귀, 남원 유역), 북부지역(애월, 서제주, 중제주, 동제주, 조천 유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수층은 주로 장석감람석현무암, 침상장석감람석현무암, 장석휘석감람석현무암, 휘석감람석현무암, 비현정질 현무암, 조면암질안산암, 조면암질현무암, 장석휘석현무암, 장석현무암내 존재하는 클링커층 및 절리대 그리고 서귀포층 내에 발달되는 유리질쇄설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수 형태는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서는 기저지하수와 하부 준기저지하수,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는 준기저지하수와 상위지하수가 주로 나타난다. 또한 저투수층 출현고도와 지하수위의 상관성은 남부지역에서 가장 높고, 북부지역, 동부지역, 서부지역 순으로 낮아진다.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distribution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based on drill data and groundwater levels of wells all over the island. In this study, core and water level data were obtained from total 203 wells which were drilled for the purpose of agricultural use, regional water works, saltwater intrusion monitoring,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high-land groundwater survey, mineral water monitoring, and use for golf resorts. Hydrogeological and groundwate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eastern area (Gujwa, Seongsan, and Pyoseon watersheds), the western area (Hallim, Hangyeong, Daejeong, and Andeok watersheds), the southern area (West Seogwi, Middle Seogwi, East Seogwi, and Namwon watersheds), and the northern area (Aeweol, West Jeju, Middle Jeju, East Jeju, and Jocheon watersheds). Main aquifers have been identified as clinker and fracture zones existing in feldspar olivine basalt (FOB), acicular feldspar olivine basalt (AFOB), feldspar augite olivine basalt (FAOB), augite olivine basalt (AOB), aphanitic basalt (APB), trachyandesite (TA), trachybasalt (TB), feldspar augite basalt (FAB), feldspar basalt (FB) as well as hyaloclastite being located within Seogwipo Formation. Basal and lower para-basal groundwater appears in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Para-basal groundwater and upper groundwater take place in the southern area and northern are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elevation of low permeability layer and the groundwater level is positively strongest in the southern area and became weak to the northern, eastern, and western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기원, 1997, 제주도의 지하수 부존특성과 서귀포층의 수문지질학적 관련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5 p.
  2. 고기원, 윤선, 윤정수, 박원배, 한정상, 김남종, 정구원, 1993, 제주도의 지하수 산출특성. 대한지질학회 제4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초록), 광주 전남대학교, 10월 29-30일, 48 p.
  3. 고동찬, 전수현, 박기화, 2007, 수리지구화학적 인자와 환경 추적자의 주기적 관측에 의한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과 함양 특성 분석. 지하수토양환경, 12, 4, 57-68.
  4. 박기화, 손영관, 황상구, 고기원, 정창식, 2004, 제주도의 화산암과 화산활동. 대한지질학회 춘계학술답사 가이드북.
  5. 옥순일, 함세영, 김봉상, 정재열, 우남칠, 이수형, 고기원, 박윤석, 2010, 제주도 서반부의 대수층 체계와 지진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특성. 자원환경지질, 43, 4, 359-369.
  6. 원종호, 2004, 제주도 지하수자원에 대한 수리지질학적 평가 및 물수지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8 p.
  7. 정차연, 2002, 제주도 서부해안지역의 지질과 지하수.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7 p.
  8. 제주도, 2001,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I). 378 p.
  9.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2003,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III). 425 p.
  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도, 2004, 미래 제주도 청정지하수 안정적 공급 시스템 구축 사업보고서. 214 p.
  11. 한정상, 김창길, 김남종, 한규상, 1994, 제주도 지하수자원의 최적 개발가능량 선정에 관한 수리지질학적 연구. 지하수자원의 환경학적 보전과 개발이용에 관한 심포지엄, 184-215.
  12. Hamm, S.-Y., Cheong, J.-Y., Jang, S., Jung, C.-Y., Kim, B.-S., 2005, Relationship between transmissivity and specific capacity in the volcanic aquifers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Hydrology, 310, 111-121.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12.006
  13. Won, J.-H., Lee, J.-Y., Kim, J.-W. and Koh, G-.W., 2006, Groundwater occurrence on Jeju Island, Korea. Hydrogeology Journal, 14, 532-547. https://doi.org/10.1007/s10040-005-04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