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Relative Value Scales of Nursing Activities in wards of General Hospitals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업무량 상대가치 도출

  • Yoon, Ho-Soon (Ilsan Hospital) ;
  • Kim, Jin-Hyun (College of Nurs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호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
  •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velop the relative value scales of nursing services provided in general wards of general hospitals. The magnitude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relative value scales that were calculated by the weighted average of nursing skills,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orts, and mental stress. Intravenous drip injection was assumed as the baseline service of the 385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wards of 2 general hospitals and 4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48 standard nursing activities defined by the Hospital Nurses Association were compared to the baseline service and was able to deduce 45 standard nursing activ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value and work experience of subjects mostly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Nine activities including blood collecting proced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negative correlation. The relative values of seven activities including body weight measuremen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hospital departments. Between the two classes of hospitals, tertiary hospital obtained higher relative value scales in 20 nursing activities including body weight measurement.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준 상대가치 산출모형을 적용하여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서비스 생산에 소비되는 자원 추정을 위해 병원간호사회에서 제시한 48개의 기준간호행위에 대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병동근무 간호사 385명에게 정맥내 점적주사 행위를 기준행위로 설정하여 간호기술 및 육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스트레스 등의 주관적 간호업무량을 상대적 강도 추정법(magnitude estimation)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된 간호업무량 상대점수에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표준간호시간을 반영하여 45개의 간호행위에 대한 상대가치를 도출하였다. 대상자의 경력과 상대가치의 관계는 대부분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채혈 등 10개 행위였다. 근무 부서별 상대가치 비교결과 체중측정 등 7개의 행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병원종별 상대가치의 평균은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에 비해 체중측정 등 20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 (1999). 활동기준원가(ABC)을 이용한 간호활동 분석 및 간호서비스 원가분석: 일 산부인과 간호단위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5(2), 389-400.
  2. 강정희 (1993). 일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원가 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6). 상대가치점수 개정연구보고서.
  4. 김문실, 문선영, 김정아, 심옥수, 김지현 (2003). 상대가치를 이용한 혈액 투석실 간호수가 선정: 중등도 대상자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9(2), 205-216.
  5. 김인숙, 부은희, 강경화, 윤수진 (2006). 자원기준 상대가치를 이용한 다빈도 건강보험 요양급여 항목의 간호서비스 상대가치 측정, 임상간호연구, 11(2), 193-204.
  6. 김은경, 권영대, 김윤 (2000). 자원기준 상대가치를 이용한 정신과의 간호활동 비용산정, 대한간호학회지, 30(6), 1580-1599.
  7. 김은경, 김윤미, 김명애 (2010).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서비스의 소요시간별 방문당 원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0(3), 349-358.
  8. 김진현, 김명애, 김미원, 김경숙, 유정숙, 이은희 (2009). 전문간호사의 간호행위 유형과 수가개발, 대한간호협회.
  9. 김진현, 김명애, 김미원, 김경숙, 유정숙, 이은희 (2010). 응급전문간호사의 전문가적 실무수행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B), 781-796.
  10. 김진현, 정유미 (2009). 조산원의 분만간호서비스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산출방법과 적용방안, 대한간호학회지, 39(4), 574-583.
  11. 남기성 (2004). 사회과학에서 통계분석 방법의 선택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2), 1255-1265.
  12. 대한간호협회 (2007). 간호통계연보.
  13. 박경연 (2009). 2차병원 간호사의 측위와 하지혈압 측정실태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3B), 1415-1427.
  14. 박정호 (1988). 한국형 진단명 기준환자군 분류를 이용한 입원환자의 간호원가 산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정호, 김명애, 성영희, 송경자, 송미숙, 심원희, 이영선 (2003). 간호인력등급별, 환자분류군별 간호원가 산정연구, 임상간호사회.
  16. 박정호, 송미숙, 성영희, 조정숙, 심원희 (1999). 상대가치를 이용한 간호행위별 간호원가산정, 간호행정학회지, 5(2), 253-280.
  17. 박정호, 황보수자, 이은숙 (1992). 간호수가 산정을 위한 간호행위의 규명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2(2), 185-206.
  18. 병원간호사회 (2006). 간호행위별 표준간호시간에 관한 연구, 특별위원회 정책과제보고서.
  19. 병원간호사회 (2009). 병원 간호인력 배치현환실태조사연구, 법제위원회 정책과제보고서.
  20. 성영희, 송미숙, 박정호 (2007). 중환자 간호단위의 환자분류군별 간호원가 산정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2), 373-380.
  21. 유호신, 정기선, 임지영 (2006). 가정간호수가 적정성 검증 및 수가체계 개선 방안, 한국간호과학회지, 36(3), 503-513.
  22. 이태화, 박정숙, 김인숙 (2000). 가정간호행위별 업무량의 상대적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0(6), 1543-1555.
  23. 이수정 (2003). 활동원가기준계산을 적용한 가정간호원가분석,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4. 임지영 (2007). 우리나라 간호원가연구의 동향분석과 실증적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2003). 상대가치에 기초한 건강보험수가의 적정성 평가, 보건복지부.
  26. 장금성 (2000).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장정복 (2004). 활동원가기준을 적용한 응급실 간호활동원가 산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홍훈식, 최봉호, 신명철 (2009). 지방통계청의 적정조사인력 산출 연구: 표준업무량 산정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3B), 1411-1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