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 Factors for Buying Decision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of Neo-Hanok in Korea

신한옥의 잠재적 수요계층 특성과 구매 결정요인 실증분석

  • 최상희 (LH 토지주택연구원 계획설계연구실) ;
  • 박신원 (LH 토지주택연구원 계획설계연구실) ;
  • 송기욱 (LH 토지주택연구원 계획설계연구실)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consumer characteristics affecting Buying Decision of Neo-Hanok, so called Korean traditional housing style. This study was examined about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for Neo-Hanok, through resident survey in capital region.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5.0. The main findings of research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o-Hanok was mostly popular and in high demand, among middle aged upper classes with housing affordability. Especially, latent demand for Neo-Hanok spatially concentrated in the suburbs of capital area. Secondly, 5 variabl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Buying Decision of Neo-Hanok. They were included property value, lot area, housing satisfaction, family income, site location(distance from CBD) and ranked from highest to lowest by influence. These facts show that residents wer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menity, accessibility, community, economic power, when purchasing Neo-Hanok. Therefore, the main results imply that these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devising housing policy, plan in the future. Also, it can be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and feature of potential consumer.

Keywords

References

  1. 강만호.주석중, 2007. "목조주택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계획계 , 23(1):21-28.
  2. 경기도시공사, 2008. 광교신도시 한옥마을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연구.
  3. 국가건축정책위원회, 2010. 국격향상을 위한 新한옥 플랜.
  4. 국토연구원. 2009. 주거다양성 제고를 위한 단독주택시장의 구조적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5. 국토해양부, 2008. 한옥건축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기반 구축기획 연구.
  6. 국토해양부, 2008. 한옥마을 조성방안 연구.
  7. 김인순.진정, 2007. "지속가능한 주거지로서 전주한옥마을의 거주성 확립에 관한 연구", 계획계, 9(3):89-96.
  8. 김지민, 2007. "지속가능한 한옥개발 및 보급을 위한 수요자 의식조사 연구", 계획계 , 23(2): 101-109.
  9. 김홍식, 2009. "21세기 한옥 활성화의 방향", 건축역사연구, 18(3):129-134.
  10. 권영상.백운혜, 2009. "한옥마을 단지조성을 위한 설계공모", 건축, 53(9):53-57.
  11. 권영상, 2010. "신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수요자 인식조사 연구", 계획계, 26(11):97-106.
  12. 문화재청, 2008. 고도보존정책에 대한 인식도 및 수요조사.
  13. 박진준, 2010. "한옥건축의 활성화 방안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법제처, http://www.moleg.go.kr/
  15. 백선영.안건혁, 2009. "서울시 한옥밀집지구의 가치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계획계, 25(5): 223-230.
  16. 손승광, 2008.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가능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9(3):71-81.
  17. 송지영, 2009. "지역특성을 고려한 한옥밀집지역의 활성화 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신영숙.조명은, 2010.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1):190-199.
  19. 양정필, 2010. 한옥마을 사업화와 공사 대응방안 연구, 경기도시공사.
  20. 이성경, 2010. "한옥의 특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소영.김영주, 2008. "북촌 지역의 한옥보존지원 정책에 따른 지가변동 추이 분석",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9(2): 11-18.
  22. 이영미, 2008. "전통주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의식도 조사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0(1):35-42.
  23. 이완건, 2009. "현대건축에 나타난 신한옥 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8(3):20-28.
  24. 이진승, 2010. "주택의 단기수요 결정요인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창재.최일, 2010. "농촌한옥의 정주성 평가 및 한옥에 대한 인식도 비교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2(2):77-84.
  26. 이학식.임지훈, 2008. SPSS 14.0매뉴얼, 법문사
  27. 임남기.허재원.박철우, 2010. "국내의 건축용 목재연구 및 산업현황과 첨단 목재료 개발동향", 건축시공, 10(6):6-20.
  28. 원경호, 2007. "전원주택의 수요특성분석을 통한 수요추진방안",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전병혜.이명훈.이지은, 2010. "주민의식에 기초한 서울시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5(1):49-63.
  30. 전병혜.이명훈.최유란, 2008. "한옥주거지의 보전가치 평가구조 연구", 국토계획, 43(7):69-80.
  31. 전봉희, 2009. "신한옥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 현황과 과제", 건축역사연구, 18(5):151-159.
  32. 정 석, 2006. 서울시 한옥주거지 실태조사 및 보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3. 정현재, 2002. "한옥양식의 현대적 공간접근 계획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조영민, 2008. "신한옥의 단위공간 모듈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한국토지주택공사, 2009. 신한옥마을 시범사업 시행방향 및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
  36. 한국토지주택공사, 2010. 신한옥주거단지 도입 및 사업모델 제안 연구.
  37. 한스타일, http://www.han-style.com/
  38. 한재수, 2009. "신한옥 활성화 전략과 건축역사교육", 건축, 53(3):52-56.
  39. 한필원, 2009. "한옥-마을체계: 한옥에 관한 본질적 인식과 실천의 틀", 건축 53(9):49-52.
  40. 허혜림, 2004.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