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Among Mid-life Crisi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중년기 위기감과 건강증진행위 및 생활만족의 관계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id-life crisi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To process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mode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17.0 program and AMOS 7.0 program. Total of 290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urr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mid-life crisis of mid-life adults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Second,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of mid-life adults. Third, mid-life crisis of mid-life adults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nd theory.

본 연구는 건강운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과 건강증진행위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건강운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성인 29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SPSS 17.0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분석, 신뢰도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년기 위기감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접적으로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자아실현, 대인관계, 운동, 건강책임, 식습관 순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는 생활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운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성인의 위기감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기 위기감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나타난 연구결과에 대해서 다양한 선행연구 및 이론을 토대로 논의를 기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화(2004). 여가활동 참여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학교생활만족간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741-751.
  2. 강현욱, 김지태(2009). 노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57-68.
  3. 곽선행(2010). 중년 여성의 스포츠참가와 LOHAS성향,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삶의 질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1(3), 1368-1383.
  4. 권경희(2004). 중년기 남성의 위기감 관련 변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대구.
  5. 김애순(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6. 김영미, 현선희, 송형삼(2008).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33-46.
  7. 김영호, 양재근, 이종훈(2007). 신체활동 변화단계를 예측하기 위한 자결성이론의 적용. 체육과학연구, 18(4), 208-217.
  8. 김효정, 박영숙(2003). 재가 뇌졸중환자의 생활양식과 일상생활기능수행, 우울 및 건강상태 지각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연구, 29(2), 127-139.
  9. 고기숙(2003).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10. 고효정, 오명옥, 김혜영(2000).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질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4), 619-631.
  11. 문태영(2009). 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6, 1099-1109.
  12. 박인실, 김영환(2011). 라인댄스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127-139.
  13. 박주영, 안주미(2005). 중년 여성의 지속적인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4, 397-410.
  14. 신미경(2008).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5. 이동현, 김승철(2003). 중년 여성의 여가스포츠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 127-148.
  16. 이석인, 오은택(2010). 중장년 여가운동 참여자의 건강 신념이 건강실천 운동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217-231.
  17. 이승범(2003).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8. 이은아, 정혜정(2007).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301-329.
  19. 이재원(2002). 중년기 남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서울.
  20. 이학식, 임지훈(2007).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AMOS 6.0. 서울: 법문사.
  21. 이한구(2011). 중년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대구.
  22. 임낙철(2008). 지체장애선수의 정서, 열정, 생활만족, 시합전략.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기.
  23. 오은택(2011). 건강운동 참여가 체력수준과 건강위기감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24. 우원미(1994). 중년남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5. 조흥중, 전병운, 오숙현(2009). 특수교사의 근무환경,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52(2), 59-74.
  26. 최보나, 김성훈, 육동원(2009). 댄스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와 삶의 질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0(3). 517-530.
  27. 최연희, 백경신(2002).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3), 1-11.
  28. 한금선(2000). 미국 이민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증상,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0(3), 606-618.
  29. Coleman, D., & Iso-Ahola, S. E. (1993). Leisure and health: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5, 111-128.
  30. Diener, E., Emmons, R., Larsen, R.,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31. Duffy, M. E. (1988). Determinant of health promotion in women. Nursing Research, 37(6), 358-362.
  32. Erikson, E. H. (197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a reissue. New York: W. W. Norton & Co.
  33. Evandrou, M., Glaser, K., Henz, U. (2002). Multiple role occupancy in mid-life: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in Britain. Gerontologist, 42, 781-789. https://doi.org/10.1093/geront/42.6.781
  34. Frankel, J. E., Bean, J. F., & Frontera, W. R. (2006). Exercise in the elderl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Clinical Geriatric Medicine, 22, 239-256 https://doi.org/10.1016/j.cger.2005.12.002
  35. Huyck, M. H., & Hoyer, W. J. (1982). Adult development and aging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6. Jaques, E. (1965). Death and the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 502-514.
  37.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Levinson, M. H., & McKee, B. (1978). The season of a man's lfie. NY: Knopf.
  38. Levinson, D. J. (1996). The seasons of a man's life. 김애선 역(1996). 남자가 겪는 인생의 4계절. 서울: 세종연구원.
  39. Luthans, F. (1985). Organizational behavior. MacGrow Hill.
  40. Lytle, M. E., Vander, B. J., Pandav, R. S., Dodge, H. H., & Ganguli, M. (2004). Exercise level and cognitive decline: The movies project.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18(2), 57-64. https://doi.org/10.1097/01.wad.0000126614.87955.79
  41. MeChanic, D., & Clearly, P. D. (1980).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positive health behavior. Preventive Medicine, 9, 805-814. https://doi.org/10.1016/0091-7435(80)90023-7
  42. Miriam, C., & Morey, C. (2002). Exercise adherence and 10-year mortality in chronically older adul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50, 1920-1933.
  43. O'Donnell, M. (1986). Definition of health promo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 4-5.
  44. Pender, N. J. (198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 & Lange.
  45. Pender, N. J., & Pender, A. R. (1987). A proposed model for health-promoting behavior. In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on-Crofts.
  46. Pender, N. J., & Sechrist, C. G.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 & Lange.
  47. Riddick, C. C., & Daniel, S. N. (1984).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isure activities and other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woma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6(2), 136-148.
  48. Roth, C. L. (2005). How to protect the aging work force. Occupational Hazards February, 52-54.
  49. Smith, M. C. (1992). Nursing unique focus on health promotion. Nursing Science Quarterly, 5(2), 105-106.
  50. Sonstroem, R. T. (1978). Physical estimation and attraction scale. Rational and Research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10, 97-102.
  51. Suchman, E. A. (1970). Health attitudes and behavior.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20(1), 105-109. https://doi.org/10.1080/00039896.1970.10665551
  52.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