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es of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Mother's Conversation Pattern, Maternal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Esteem

아동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 및 정서적지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 Jung, Hyun-Jung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 Moon, Hyuk-Jun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정현정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
  • Received : 2011.07.15
  • Accepted : 2011.09.07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Conversation Patterns, Maternal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esteem and motivation to achiev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2 children's in the 5th and 6th grade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femal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children. Second, the mother's conversation patterns, maternal emotional support and children's self-esteem were related to th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he child's self-esteem and mother's open communication had an effect on the child's achievement motivation. This high level of self-esteem and motivation to act positively led to high achievement motivation.

Keywords

References

  1. 공태수(1998).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창의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혜진(1993). 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간한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기현주(2004). 아동용 성취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옥(1992).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생의 정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원(199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희(199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사이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만겸(2002).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보경(2001). 이혼가정의 학교-가정 관계, 아동의 성취동기 및 학교생활적응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진․이신숙․신효식(1995). 아버지 역할 수행과 아동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7(1), 47-55.
  10. 김성숙(2000). TIMSS-R 배경변인 국제비교 결과와 해석.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과학 성취결과, 국제수준은 어떠한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11. 김순혜(2003). 아동의 기질 및 양육태도와 정서지능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4), 1-12.
  12. 김애리나(1980). 자기존중감에 관한 연구 : 성취기대와 지속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영애(1990). 모-자녀 간 커뮤니케이션 형태가 청소년의 사회성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인희(1993). 어머니-자녀의 의사소통과 자녀의 성격특성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정희(1987). 어머니와 자녀간의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자녀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주년(1994).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주영 (2005). 아동의 성취동기에 대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내적 성공귀인의 경로모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진숙(1980). 어머니와 청년기 자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충희(1995). 해외 귀국 청소년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김혜인(1989). 어머니의 취업유무가 아동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희수(200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3(3), 63-88.
  22. 민혜영(1990). Circumplex Model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청소년 자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성주(1986). 韓國靑少年의 成就動機에 關한 一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성혜(1994).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에 있어서 연령과 성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영신․김의철(2003). 한국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26. 박정선(1986). 모의 직업 및 지각된 양육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연구-청소년기 남학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춘성(2005).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성적우수학생과 성적부진학생의 특성.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현진(2003).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백승미(2003). 부모자녀의사소통과 다중의 지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성영혜(1993). 부모의 사회적 지지체계가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성태동(2003). 성취동기, 성적과 학습압력 유형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송인섭(1989).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양서원.
  34. 수 정(200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서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신수정(1994).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사춘기자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위영미(2003).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양연숙(2009).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성취압력에 따른 성취동기와 성차에 관한 비교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3). 197-220.
  38. 이경님(2006). 개인변인과 부모변인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61-174.
  39. 이경주․신효식(1997).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원 및 지지유형 수준에 따른 부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15-26.
  40. 이금․박옥임․이경주(1994).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6-25.
  41. 이만종(1983). 고아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동기 및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미숙(1994). 내-외 통제성과 성취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상수(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수준, 반발심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선희․도현심(2007).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5), 269-284.
  45. 이용남(1988). 학교학습의 심리적 결정변인, 학교 학습탐구: 울산 이용걸 교수님 정년기념논문집. 서울: 교육과학사.
  46. 이운경(2005).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기대 및 정서적 지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윤우(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은진(2007).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정우․김규원(1987).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및 만족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3).
  50. 이정환(2002). 가족환경, 과외, 성적. 한국사회학, 36(6), 195-213.
  51. 이종민(2008).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 귀인양식과 아동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5(4), 37-50.
  52. 이진용(1990). 어머니-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현주(1999). 여중생의 진로태도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모녀의 심리배경요인과 관계요인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7(3), 279-321.
  54. 장인숙(2001). 자녀양육에 대한 죄책감, 격리불안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정갑순(2002). 부모-자녀 관계와 자기 효능감, 성취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정원식(2000). 인간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57. 정원식(2001). 인간의 동기. 서울: 교육과학사.
  58. 정태인․유홍준(2002). 주부의 취업이 청소년 자녀의 인성, 학업과 교유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 13(1), 269-297.
  59. 정태희(1995).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원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전찬열(2008). 영재집단과 일반집단의 학습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41-159.
  61. 조영란(1993). 부부갈등과 자녀학업성취도와의 상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주윤응(2000).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지능 및 성취동기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차상희(1998). 위계적 자아개념 모형과 성취동기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채현수(1999). 중고등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과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최경순․정현희(1998).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성취도기 및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5(2), 149-163.
  66. 최규련(1998). 가족체계유형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심리적 복지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120-142.
  67. 하상길(2007). 아동의 외향성 수준에 따른 성취동기의 차이.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한수연(2006). 부모기대 및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한순미(2004).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1), 329-350
  70. 한승미(2005).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홍성흔(2002).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홍성흔․도현심(2002).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2), 145-157.
  73. 황정규(1987).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74. 황혜연(2006). 교사 효능감 및 부모자녀관계 변인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Barber, B. K., & Thomas, D. L.(1986). Dimensions of fathers' and mothers' supportive behavior: The case for physical affe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4), 783-794. https://doi.org/10.2307/352571
  76. Barnes, H. & Olson, D. 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Olson, D. H. Mc Cubbin, H. L., Larsen, A., Muxen, M., & Wilson, M.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M. N: Univ. of Minnesta.
  77. Barnes, H. L., & Olson, D. 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78. Bloom, B. S.(198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lerning. N.Y.: Mc Grawhill.
  79. Burhans, K. K., & Dweck, C. S.(1995). Helplessness in early childhood: The roll of contingent worth. Child Development, 67, 606-620.
  80. Cartwrigt, R. D., & Lerner, B.(1963). Empathy, need to change, and improvement with psychotherapy. Journal of Consultion Psychology, 27(2), 138-114.
  81.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200-314.
  82. Cohen, S., & Hoberman, H. M.(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83. Connel, J. P., Spencer, M. B. & Aber, J. C.(1994). Educational risk andresilience in Africa-American youth: Context, self, action, andoutcomes school. Child Development, 65(2), 493-506. https://doi.org/10.2307/1131398
  84. Culler, R. E. & Holahan, C. J.(1980). Testanwiety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effects of study-related behavior. Journal of Eucational Psychology, 72, 16-20.
  85. Glasgow, K. L., Dornbusch, S. M., Troyer, I., Steinberg, I., & Ritter, P. L.(1997). Parenting style, adolescents' attributions, and educational outcomes in nine heterogenous high schools. Child Development, 68(3), 507-529. https://doi.org/10.2307/1131675
  86. Hermans, H. J.(1970). A questionnaire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4(4), 353-363.
  87. Mc Clleland, D., Atkinson, J., Clark, R., & Lowell, E.(1953). The achievement motive. N.Y. : Appleton- Century- Crofts.
  88. ParkY. S.(2001). Adolescent achieve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vited speaking at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Scientific Advances in Indigenous Psychologies: Empirical, Philosophical, and Cultural Contributions. pp. 1-35. October, 29-November, 1. Institute of Ethnology, Academia Sinica, Taipei, Taiwan.
  89. Raynor, J. O., & Entin, E. E.(1982). Motivation, career striving and aging. N.Y.: Hemisphere.
  90. Rosen, B. C.(1956). The Achievement syndrome; a psycho cultural dimension of social stratification, American Social, Review, 21, 203-211. https://doi.org/10.2307/2088523
  91. Rosen, B. C., & D' Andrade, R.(1959). The Psychological origin of achievement motivation, Sociometry, 22, 185-218. https://doi.org/10.2307/2785664
  92. Rosenberg, F. R., & Rosenberg, M.(1978).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 279-294. https://doi.org/10.1007/BF01537978
  93. Sidney(1977).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N.Y. : MacGraw-Hill Co.
  94. Sigall, H., & Glould, R.(1977). The effects of self esteem and evaluator demandingness on effort expendi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12-20.
  95. Truax, C, B.(1966). The rapist empathy, genuineness, and warmth and patient therapeutic out com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5), 390-401.
  96. Winterbottom, M.(1953). The relation of need for achievement in learning experiences to independence and mastery. J. W. Atkinson(ed.), op. cit., 453-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