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diction of Suspended Solid Budget in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역의 부유사 물질수지예측

  • Ryu, Sung-Hoon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Hoi (Department of Socia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Hiroshima University) ;
  • Lee, In-Cheol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류성훈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김경회 (일본히로시마대학교 공학연구과) ;
  • 이인철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Received : 2011.08.08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o predict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material budget of Suspended Solid(SS) was investigated with the amount of Nakdong river discharge being set as dry season and flood season. The results of material budged of SS in dry season and flood season were 60,708 kg/day(inflow) and 306,892 kg/day(outflow), respectively.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지형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하천유량의 변화에 따른 부유사의 물질수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낙동강 하구역의 부유사 물질수지는 갈수기시 60,708 kg/day가 유입하고, 홍수기는 306,892 kg/day가 외해를 통하여 유출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낙동강 하구역은 전반적으로 갈수기 및 평수기에 부유사의 유입, 홍수기에 부유사의 유출이 반복 되지만, 사주지형 주변에서는 부유사의 유입과 유출 거동이 복잡하게 나타나 장기 지형변동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호, 신승호, 양상용, 이중우(2003), 낙동강 하구 사주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3), pp. 26-36.
  2. 김석윤, 하정수(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3), pp. 268-278.
  3. 김재중, 김기철, 이정만(1995),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19(1), pp. 120-131.
  4. 노재영, 이경훈, 윤한삼, 류청로, 김영표(2004), 낙동강 하천유출특성에 따른 Plume 영향해역 예측 수치모의,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76-184.
  5. 부산광역시(1999), 신호지방공업단지 개발사업 사후환경관리 99년 종합보고서. pp. 138-188.
  6. 부산광역시 강서구청(2004), 낙동강 하구 오염해역 및 소형선 통항로 확보 준설연구용역 보고서, pp. 101-130.
  7. 신현석, 강두기, 갈병석(2007), SWAT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부유사량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pp. 2006-2009.
  8. 유창일, 윤한삼, 류청로, 이인철(2006), 해도분석을 통한낙동강 하구 사주 면적의 시.공간 변화, 한국해양공학회지, 20(6), pp. 54-60.
  9. 윤은찬(2009), STA기법과 지형변화 예측모형에 의한 낙동강 하구역 토사이동해석,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4-195
  10. 윤한삼, 이인철, 류청로(2005), 낙동강 하구역내 사주간의단면유량플럭스 수치모의,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8(4),pp. 186-192.
  11. 이인철(2001), Tank모델에 의한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의계절변동 예측,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6(3), pp. 63-71.
  12. 이인철, 임성필, 윤한삼, 김헌태(2008), 낙동강 하구역 사주지형변동과 부유사(SS) 수송량 산정, 한국해양공학회지, 11(2), pp. 70-77.
  13. 추효상(2002), 하계 한국 남해의 해황 변동과 멸치초기생활기 분포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5(1), pp. 77-85.
  14. 한국수자원공사(1989), 낙동강 수계 다목적댐 연계운영방안 연구(1차보고서). pp. 150-160.
  15. Deloffre, J., R. Lafite, P. Lesueur, S. Lesourd, Verney R. and Guezennec L.(2005), Sedimentary processes on an interdidal mudflat in the upper macrotidal Seine estuary, Franc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4(4), pp. 710-720. https://doi.org/10.1016/j.ecss.2005.04.004
  16. Leendertse, J. J.(1971),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for well-mixed estuaries and coastal sea, Rand Corporation, pp. 1-20.
  17. Yanagi, T., T. Hagita and T. Saino(1994), Episodic Outflow of Suspended Sediments from the Kii Channel to the Pacific Ocean in Winter, Journal of Oceanography, 50, pp. 99-108. https://doi.org/10.1007/BF02233859

Cited by

  1. 위성영상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면적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 분석 vol.33, pp.2, 2017, https://doi.org/10.7780/kjrs.2017.33.2.8
  2. 낙동강하구 을숙도 갯벌에서 새섬매자기의 생육 특성 vol.53, pp.4, 2011, https://doi.org/10.11614/ksl.2020.53.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