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Advertisement Effect in Smart Phone Environment : The Comparison of Users with Providers of Commercial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광고효과 분석 : 광고 사용자와 광고 제공자의 인식차이 비교

  • 하성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오준석 (연세대학교 방송통신정책연구소) ;
  • 이봉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1.08.19
  • Accepted : 2011.09.30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Various applications are developed with the extension of the smart phone market. This affects the change of contents and market for mobile advertisement. Mobile advertisement has been changed from the text type in feature phone environment to banner type which are added on the applications and branded app which are application itself for commercials. This research shows the difference in views between users and professions for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acceptance of mobile advertisement in smart phone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present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ws for the users' acceptances of mobile advertisement. This research provides the important factors which need to be considers in creating mobile commercials. It also suggests that professions in advertisement field have to consider the aspects of smart phone users when they create advertisements in smart phone environment.

스마트폰 시장의 확장과 함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모바일광고의 형태 및 시장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의 모바일광고는 문자 기반의 푸쉬형 광고였지만 스마트폰 환경의 모바일광고는 애플리케이션에 덧붙여지는 배너형태 또는 광고 자체를 위하여 개발된 브랜디드앱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모바일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광고업계 종사자들과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모바일광고 사용자와 광고업계 종사자들 간에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확연히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환경의 광고 제작 시 주로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제시하며 광고업계 종사자들이 광고제작 시 사용자의 입장을 충분하게 고려하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철, "모바일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 Ducoffe(1996)의 웹광고 효과 모델 확장 적용", 광고연구, 제75호, pp. 35-59, 2007.
  2. 김요한, "DMB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권, 제3호, pp. 46-79, 2007.
  3. 박철우, 김은진, 안중호, 장정주, "정보가치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광고 가치의 설명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8권, 제2호, pp. 29-47, 2006.
  4. 심민우, "스마트폰 상황인지기반 광고의 특성이 광고수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1.
  5. 양병화, "모바일광고의 태도효과 모델연구", 광고연구, 제69권, pp. 139-163, 2005.
  6. 유상진, 김효정, "모바일광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제9권, 제1호, pp. 1-21, 2007.
  7. 이경렬, "SMS 기반의 모바일광고의 정보처리과정에 관한 규범적 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6호, pp. 183-203, 2009.
  8. 이두희, "광고론-통합적 광고", 박영사, 2009.
  9. 이상호, 양선규, 유정민, 이슬아, "스마트폰 광고의 기술융합에 따른 유형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제4권, 제1호, pp. 51-72, 2011.
  10. 임성철, "모바일광고,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제일기획, 2010.
  11. 정홍균, "컴퓨터 잡지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독자층과 광고담당자 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2. Baron, M. and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13. Brackett, L. K. and Carr, B. N. Jr., "Cyberspace advertising vs. other media : consumer vs mature student attitud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41, No. 5, pp. 23-32, 2001.
  14. Bruner, II, G. C. and Kumar, A., "Web Commercials and Advertising Hierarchy of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40, No. 1-2, pp. 35-44, 2000.
  15. Ducoffe, R. H., "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36 : 5), pp. 21-35, 1996.
  16. Eighmey, J. and McCord L., "Adding value in the information age : Uses and gratifications of sites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41, No. 3, pp. 187-194, 1998. https://doi.org/10.1016/S0148-2963(97)00061-1

Cited by

  1. A Study on Method for User Gender Prediction Using Multi-Modal Smart Device Log Data vol.21, pp.1, 2016, https://doi.org/10.7838/jsebs.2016.21.1.147
  2.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vol.14, pp.9,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