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the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on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 Types

소비가치와 경험적 제품평가가 희소성 메시지 효과에 미치는 영향

  • Kim, In-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Yeo-Sun (Dept. of Fashion Design, Duksung Women's University) ;
  • Choi, Mi-Young (Dept. of Fashion Design, Duksung Women's University)
  • Received : 2011.02.09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at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towar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on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 types collaboration using limited edition in global SPA brand.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it shows that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are co-related to the intention of purchase, especially, brand familiarity and reputation influenced scarcity valuation in the affirmative and both emo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influenced the intention of purchase under scarcity messag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however, turns out to be not significant although its effect is directionally supported that is purchase intention was high when scarcity message is shown. Moreover, emotional epistemic group was influenced by scarcity message so we found that consumers value is changed to emotional with subjective. This result indicates that we need the scarcity message typ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to increase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장, 캐쥬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한국마케팅 과학연구 14집.
  2. 김미숙, 한희정 (2001). "소비가치와 의복구매 전 의사결정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김유경 (2000).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49권.
  4. 김진병, 도성실 (1999). "카탈로그에서 활용되는 희소성 메시지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3권.
  5. 김희선 (2008). "양면적 의류 소비집단에 따른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소비가치."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미화 (2000). "청소년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권복희 (1999). "소비가치에 따른 제품지각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배진, 김시월 (1999). "한․일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가치, 브랜드동일시와 소비자: 브랜드 관계연구." 소비자학연구 17권 4호.
  9. 성영준 (1998). "제품의 소비가치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점포내 소비자 구매행동모형의 설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광호, 이견 (2006).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확장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 관리연구 11권 3호.
  11. 이민정 (2004). "의복 소비가치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류와 패션 선호도: 국내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유경 (2002).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준열 (2007).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일관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XU QI (2006). "브랜드 글로벌 명성이 소비자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성윤 (2005), "브랜드 명성과 ON-LINE구전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양영종 (2005). 광고기획 & 제작. 서울: 한경사.
  17. 양지연 (1998). "소비자의 희소성 인식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지연 (2009).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전성률, 허종호, 김헌동 (2004). "희소성 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 연구 19권 2호.
  20. 정훈실 (2007).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 (Collaboration)."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재수 (2008). "CSR에 대한 인식이 기업명성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혜정 (2009). "보상물로서의 가격할인 형태가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명성과 자아조절 초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하환호, 이영일 (2008). "상품구색 크기와 브랜드 명성이 상품구색에 대한 평가와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26권 3호.
  24. 홍윤서 (2008). "희소성 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충동구매의도 및 쇼핑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황희중 (2003). "브랜드 명성 및 제조국가 이미지를 고려한 품질보증 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Trading Up, Trading Down & Marketing. (2007. 5. 6). LG애드 웹진.
  27. 매일경제 (2009년 5월 [2009년 9월 25일]). "애니콜 브랜드 가치."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 http://economy.hankooki. com
  28. 매일경제 (2009년 6월 22일 [2009년 10월 3일]). "올상반기 소비 트렌드는 '가치소비'."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news.mk.co.kr
  29.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30. Aaker, D. A. and R. Jacobson (1994). "The Financial Information Content Perceived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1.
  31. Lynn, M. (1989). "Scarcity Effects on Value: Mediated by assumed Expensivenes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 10.
  32. Sheth, J. N., B. I. Newman and B. L. Gross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22.
  33. Sheth, J. N., B. I. Newman and B. L. Gross (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 Theory and Application. South-western Publishing Co.
  34. Sheth, J. N., B. I. Newman and B. L. Gross (1999). Cousumer Behavior: Consumer and Beyond. Forht worth. TX: Dryden Press. 백선영(2000)에서 재인용.
  35.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ei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9(D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