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owth of Vicia tetrasperma and V. hirsuta as Affected by Seeding Condition and Estimated N Production

피복식물용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의 생장에 미치는 파종조건과 질소공급량 추정

  • Cho, Jung-Lai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Choi, Hyun-Sug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Lee, Youn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Kim, Chang-Seok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Lee, In-Yo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조정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 안전성부 유기농업과) ;
  • 최현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 안전성부 유기농업과) ;
  • 이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 안전성부 유기농업과) ;
  • 김창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작물보호과) ;
  • 이인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작물보호과)
  • Received : 2011.03.10
  • Accepted : 2011.03.2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ing depth and seeding time on the emergence, growth, and N production of Vicia tetrasperma and V. hirsuta in 2007 and 2008. All seeds of both species were gathered from Dangjin, Chungnam in late June of 2005 and stored for two year at room temperature. Both V. species began to germinate at the end of June, passed the winter with the seedling stage, rapidly increased their height in April and May, were in full bloom in May, and then withered after entering mid-June. V. hirsuta had higher emergence rate and growth compared to those of V. tetrasperma. The optimum seeding time and seeding depth for a cover cropping was from late August to early September and from 1 to 5 cm, respectively. V. tetrasperma and V. hirsuta had a satisfactory growth and provided 43.8 and $55.4kg\;ha^{-1}$of N, respectively.

나비나물속 주요 잡초인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의 출현과 생장량 그리고 질소공급량에 대해서 파종깊이와 파종시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기 위해서 2007년과 2008년에 수행되었다. 두 초종 모두 2005년 6월에 충청남도 당진군에서 채종되어 2년 이상 상온에서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얼치기완두와 새완두는 6월 하순 이후에 발생하여 유묘 상태로 월동한 후에 기온이 상승하는 4~5월에 크게 신장하여 5월에 개화하고 6월 중순 이후에 고사하였다. 새완두는 얼치기완두에 비해서 대체적으로 높은 출현율과 생육량을 나타내었다. 피복식물로 파종할때의 적기는 8월 하순~9월 상순이고 파종심도는 1~5cm이었다.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의 생육성기 지상부의 질소공급량은 각각 43.8과 $55.4kg\;ha^{-1}$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10 친환경농업 보도자료.
  2.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 문성사, 수원, 한국. p. 19.
  3. 이상민, 성좌경, 이용환, 지형진, 이병모, 최두회, 김영호. 2005. 밭토양에서 유기농 업을 위한 윤작체계 확립시험.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연구. pp. 87-118.
  4. 서종호. 2000. 헤어리베치 녹비시용에 따른 토양질소 증진 및 후작옥수수의 질소 비료절감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전남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2010a. 자연순환 농업을 위한 양분관리 매뉴얼. 심미안, 한국. p.43.
  6. 전남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2010b. 자연순환 농업을 위한 양분관리 매뉴얼. 심미안, 한국. pp.87-94.
  7. 조정래, 김창석, 강충길, 문병철, 박재읍. 2009. 나비 나물속 잡초의 분포, 생태 및 잡초발생 억제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9:62-67.
  8. 조정래, 최현석, 이연, 김창석, 이인용. 2011. 얼치기 완두와 새완두의 발아율에 보관일수와 온도 및 광이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31권 인쇄 중.
  9. SAS Institute. 2001. SAS/STAT user's guide. Release 8.2. SAS Institute, Cary, U.S.A.
  10. Seo, J. H., and H. J. Lee. 2005. Effect of hairy vetch green manure on nitrogen enrichment in soil and corn plant. Kor. J. Soil Sci. Fert. 38: 211-217.

Cited by

  1. Effect of Tillage and No-tillage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on Yield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House vol.1, pp.4, 2012, https://doi.org/10.5660/WTS.2012.1.4.018
  2. Rate of Ground Cover and Weed Occurrence in Pepper Cultivation as Affected by Seeding of Ground Covers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660/KJWS.2011.31.4.355
  3. The Influence of Cover-crop (Vicia tetrasperma) Cultivation on the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Pepper, Capsicum annum vol.32, pp.1, 2013, https://doi.org/10.5338/KJEA.2013.3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