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Larch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 Choi, Yong-Seok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
  • Oh, Se-Min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
  • Kim, Gyu-Hyeok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College of 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 최용석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 오세민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 김규혁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Received : 2011.06.21
  • Accepted : 2011.08.30
  • Published : 2011.11.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ssure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larch skin timber with ACQ-2, CUAZ-2 and CuHDO-1.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MC) on preservative treatability was investigated for Japanese red pine sapwood and Japanese larch heartwood,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CCA alternatives was also evaluated. Japanese red pine sapwood, which was dried below 30 percent MC, was fully penetrated with preservatives, and minimum requirement of preservative retention for the hazard class H3 was achieved. Through measuring preservative retention gradient in Japanese red pine sapwoo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tention gradient of CuHDO-1 was steeper than that of both ACQ-2 and CUAZ-2. In particular, it was intensified at a higher MCs of wood samples (25∼30%). Japanese larch heartwood did not meet the minimum requirement of penetration and retention for the hazard class H3 over the range of pretreatment MCs tested. With presteaming under $121^{\circ}C$ for 12 hours, the treatability of Japanese larch heartwood was enhanced to meet the minimum requirement for the hazard class H3. The fixation rate of copper was much more faster under drying condition compared with nondrying condition; more than 95% of copper were fixed in 3~6 days and 1 day under drying conditions in Japanese red pine sapwood and Japanese larch heartwood, respectively. After 3-week fixation period at ambient temperature, the amount of mobile copper in treated wood sample that remains available for leaching from treated wood was the highest in the wood samples treated with ACQ-2, followed by CuHDO-1 and CUAZ-2. It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opper in treating solution.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와 낙엽송 스킨팀버의 ACQ-2, CUAZ-2, CuHDO-1 가압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을 대상으로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이 방부제 처리도에 미치는 영향과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처리목재 내 정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나무 변재부는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 30%부터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흡수량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완벽한 방부제 침투가 가능한 소나무 변재부에서 깊이에 따른 방부제 흡수량 경사를 조사한 결과, 방부제 종류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CuHDO-1 처리 시험편에서 발생한 경사가 ACQ-2와 CUAZ-2 처리 시험편에서의 경사보다 심했는데, 특히 고함수율(25, 30%) 시험편에서 경사가 저함수율(15, 20%) 시험편에서보다 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난주입성인 낙엽송 심재부는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 조건 및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처리도 가 매우 불량하였다. 낙엽송 심재부의 처리도 개선을 위해 증기 전처리($121^{\circ}C$의 포화수증기 조건에서 12시간 처리)를 실시한 결과, 낙엽송 심재부의 침윤도와 흡수량 모두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 기준에 부합하게 처리도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 변재부와 낙엽송 심재부 시험편에서 공히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정착이 비건조 양생에 비하여 건조 양생에서 빨리 진행되었다. 소나무 변재부는 양생 초기 3~6일, 낙엽송 심재부는 양생 1일 이내에 3주간 정착된 구리 양의 95% 이상이 정착되었다. 양생 3주 후 처리목재 내에 미정착 상태로 남아있는 구리의 양은 ACQ-2, CuHDO-1, CUAZ-2 순으로 많았는데, 이는 처리용 작업액에 존재하는 구리의 양과 비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모, 김규혁, 백기현. 1995. 낙엽송 심재의 CCA와 CCFZ 처리 특성 및 자상처리에 의한 처리도 개선. 목재공학 23(4): 60-66.
  2. 강승모, 백기현, 김규혁. 1997. 증기 전처리에 의한 낙엽송 심재의 방부제 처리도 개선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25(1): 15-22.
  3. 국립산림과학원. 2006. 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국립산림과학원고시 제2006-04호).
  4. 국립산림과학원. 2009. 목재의 방부.방충처리 기준(국립산림과학원고시 제2009-07호).
  5. 김규혁, 김재진, 김형준. 2000a.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 문비나무 원주가공재의 CCA 처리. 목재공학 28(1): 42-47.
  6. 김규혁, 김재진, 이동흡. 2000b. 국내 주요 유통목재의 CCA 가압처리 특성. 200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pp. 123-126.
  7. 김규혁, 김형준, 김재진. 2001.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 비나무 변재부에서 CCA와 CCFZ의 정착특성. 목재공학 29(1): 52-59.
  8. 김영숙, 홍순일, 윤정희. 2006. 낙엽송 원주상 소경목의 원목성상과 방부 처리성. 목재공학 34(1): 52-60.
  9. 송윤상, 손동원, 이동흡, 김규혁. 2005. CCA 처리 소나무, 잣나무, 삼나무의 정착 특성. 2005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449-451.
  10. 환경부. 2007. 제조.수입 또는 사용 등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화학물질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환경부고시 제2007-152호).
  11. American Wood Protection Association. 2005. Standard methods for analysis of wood and wood treating solutions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metry. AWPA A20-03, AWPA, Grandbury, TX, U.S.A.
  12. Kim, G.-H. and J.-J. Kim. 2001.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treatability of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with chromated copper arsenate. Forest Products Journal 51(6): 64-66.
  13. Kim, J.-J., H.-J. Kim, J.-B. Ra, S.-K. Chun, and G.-H. Kim. 2003.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CA-and CCFZ-treated domestic softwood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1(6): 55-59.
  14. McNamara, W. S. 1989. CCA fixation experiments-Part 1. The International Research Group on Wood Preservation. Document No. IRG/ WP/3504. Stochholm, Sweden
  15. Ung, T. Y. and P. A. Cooper. 2005. Copper stabilization in ACQ-D treated wood: retention, temperature and species effects. Holz als Roh-und Werkstoff 63: 186-191. https://doi.org/10.1007/s00107-004-0555-1
  16. Ung, T. Y. and P. A. Cooper. 2006. Stabilization of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 wood preservatives. Wood Protection 2006. New Orelans, LA, USA.

Cited by

  1. Evaluation of Soil Contamination by Copper Depleted from ACQ-Treated Wood vol.43, pp.4,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4.504
  2.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Yellow Poplar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vol.43, pp.6,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6.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