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istical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Korea

초·중·고생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통계 분석

  • Oh, Man-Suk (Department of Statistics,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Jin-Hee (Department of Statistics, Ewha Woman's University)
  • 오만숙 (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 김진희 (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Received : 20100800
  • Accepted : 2010120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Due to the great impac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on many areas including economics and politics,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is one of the key issues in Korea.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ata from a survey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in 2008. We study the effect of some demographic variables on two dependent variables, the expenses for out-of-school private education (Private) and the expenses for after-school programs (Afterschool), by us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residential area' and 'school level'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Private' increases in the order of small town, middle town, or metropolitan city, and Seoul, by about 7%. On the other hand, 'Afterschool' are about the same for all areas except for the small town. In terms of the effect of 'school level', 'Private' for high school students is about 17% larger than all other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s show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admission and private education, in Korea. 'Afterschool' is larger for high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creases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It seems that after-school programs are alternatives to expensive private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at high school students are attracted to after-school programs to get a good GPA, which is important for university admissions.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국민 생활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그 부작용이 심각하여 한국사회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수집한 2008년도 사교육비 실태조사 자료 중 일반사교육비 지출과 방과후 프로그램 참가비의 두변수에 대하여 지역, 초 중 고 등 학교급 구분, 가구소득, 학생 성적, 별, 사교육 참가시간 등의 인구동태적 변수들의 영향을 알아보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 사교육비 지출과 방과후 프로그램 참가비에 뚜렷한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지역과 학교급구분이고 나머지 변수들은 의미있는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일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지역의 영향을 보면, 서울지역>광역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순으로 지출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방과후 참가비에 대한 지역의 영향을 보면 서울지역, 광역시, 중소도시>읍면지역 의 순으로 지출이 많았는데 서울과 기타도시의 차이가 없다는 것이 일반 사교육비의 경우와 다른 특징이다. 학교급 구분에서는 일반사교육비의 경우 일반계 고교생에 대한 지출이 초 중생이나 전문계 고교생에 비하여 약 17% 지출이 더 많았다. 이는 대학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와 사교육 시장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방과후 학교 참가비의 경우 일반계고, 초등학교> 전문계고> 중학교 의 순서이다. 초등학생은 사교육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는 방과후 학교에서 내신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사교육비 및 사교육 의식 파악을 위한 학부모 여론 조사, (주)코리아리서치센터.
  2. 통계청 (2008). 사교육비조사 보고서(11-1240000-00511-10).
  3. 통계청 (2009). 사교육비조사 보고서.

Cited by

  1.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of the Reciprocal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vol.43, pp.3, 2016, https://doi.org/10.1177/0894845315598002
  2. An analysis of career maturity among Korean youth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vol.38, pp.4, 2017, https://doi.org/10.1177/0143034317709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