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Scheme for Aids to Navigation & the Related Marine English

항로표지와 관련해사영어의 표준화 방안

  • Received : 2010.01.04
  • Accepted : 2011.02.23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With today's continuous increase of both seaborne trade and foreign crew boarding ship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tandardization of Marine English with respect to Aids to Navigation(AtoN) for the safety of ships. After reviewing the organization of the standard council of the equipment and article of AtoN, the standardization of various types of AtoN was not capable of meeting by the only existing council's activities. For on-the-job progress, it was necessary for the subcommittee to be composed by types of AtoN. It is thus desirable to the integrated approach to the combination of the civil, the public, academic circles and research institutes, which harmonized the council's flexibility and professionalism in the composition of the members. Subjects, levels and targets in each course were presented from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scheme of Marine English related to AtoN. The ET steps were classified by the difficult degree to which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were applied.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scheme that was firstly establish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udiovisual English ET due to the lack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existing marine affairs by presenting the standardization scheme of Marine English prior to the institutional reform related to AtoN.

오늘날 해상교역과 국제 혼승선박의 지속적인 증가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항로표지와 관련하여 우선 해사영어의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항로표지장비 및 용품 표준규격심의회 조직의 검토결과 현행 심의회의 활동만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항로표지의 표준화를 충족시킬 수 없었고 실무적 진행을 위해서는 실무위원회가 항로표지의 종류별로 구성될 필요가 있기에, 조직원의 구성에 있어서는 표준규격 심의회의 유연성과 전문성을 조화시킨 민 관 학 연의 통합적 접근이 바람직하다. 항로표지와 관련해사영어의 표준화 방안의 연구결과에서 각과정마다 대상, 등급 및 학습목표가 제시 되었으며, 이 모든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교육/훈련단계는 통역/커뮤니케이션의 근본원리를 적용한 난이도에 따라 구분되었다. 본 논문의 기여는 항로표지와 관련한 제도정비의 근본이 되는 관련해사영어의 우선적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여 현재 해사분야에서 실무전문성이 결여된 시청각 영어교육훈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초의 방안구축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해양조사원(2010), http://www.nori.go.kr
  2. 국토해양부(2008a), 고시 제2008-417호(2008.8.7), 항로표지장비.용품검사기준
  3. 국토해양부(2008b), 고시 제2008-418호(2008.8.7),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의 표준화 규정
  4. 국토해양부(2009a), 고시 제2009-216호(2009.5.5), 항로표지 기능 및 규격에 관한 기준
  5. 토해양부(2009b), 훈령 제215호(2009.5.13), 표준형 부표 제작 및 품질관리 기준에 관한 규정
  6. 국토해양부(2010), http://www.mltm.go.kr
  7. 국토해양부 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2010), http://www.gicoms.go.kr
  8. 군산지방해양항만청(2010), http://gunsan.mltm.go.kr
  9. 김용욱(2007), “한국 등대법 100년사,” 법학연구 제47권 제2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pp.131-161
  10. 김종욱(2006), “항로표지장비용품의 성능검사,”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0권 제2호,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495-499
  11. 김진구(1998). 통역실무 I & 통역실무 II, LSE INSTITUTE, Seoul, Korea
  12. 김진구(2008), Global Logistics English, 도서출판 LSE, Seoul, Korea
  13. 김진구, 이종인(2004), “국제물류전략에 있어서 ASEAN과 한국의 컨테이너 항만 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해지 제28권 제3호, pp.185-191
  14. 동해지방해양항만청(2010), http://donghae.mltm.go.kr/index.do
  15. 물품관리법 시행규칙(2009), 기획재정부령 제113호 (2009.12.29)
  16. 박성우, 김성곤, 김종운(2010), “관제교신 효율향상에 대한 고찰,”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4권 제2호,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51-253
  17. 박인환, 이서정, 황승욱(2010), “AIS 기반의 항로표지 통신망 서비스 설계 및 실험,”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5호, pp.337-342 https://doi.org/10.5394/KINPR.2010.34.5.337
  18. 부산지방해양항만청(2010), http://www.portbusan.go.kr
  19. 산업표준화법(2009), 법률 제9535호(2009.3.25)
  20. 석영국(2006), “e-NAV를 대비한 항로표지 발전방안,”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0권 제1호,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455-458
  21. 설운붕, 정재용, 김진수(2006), “대련항의 항로표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호 논문집, pp.31-36
  22. 안종렬(2006), “항로표지 주요 정책계획,”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0권 제1호,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191-202
  23. 윤병원(2007), “항로표지에 관한 실무적 고찰,”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1권 제2호,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365-372
  24. 임남동(2006), “항로표지용품의 개발과 국제경쟁력강화를 위한 제안,”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0권 제2호,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189-190
  25. 임종근, 송길복, 박정남, 조태균(2009), “항로표지 집약관리를 위한 AtoN AIS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해양산업의 녹색성장을 위한 선도전략,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425-431
  26. 전기통신100년사(2010),
  27. 전중성, 오진석(2009), “CDMA 통신을 이용한 항로표지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3권 제8호, pp.1254-1260 https://doi.org/10.5916/jkosme.2009.33.8.1254
  28. 정병우, 박종익(2010), “관제영어 특성 및 교육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4권 제2호,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41-244
  29. 정정묘, 박상준, 정기남(2010), “항해자 대상 VHF Communication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제34권 제2호,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66-268
  30. 정재훈, 김종국, 김종욱, 이희준, 김훈(2005), “항로표지용 전원공급시스템 실태조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137-140
  31.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2010), http://www.komeri.re.kr
  32. 한국표준협회(2005), 미래사회와 표준
  33. 한국해양연구원(2010), http://www.kordi.re.kr
  34. 항로표지법(2010), 법률 제10272호(2010.4.15)
  35. 항로표지법 시행령(2010), 대통령령 제22281호(2010.7.15)
  36. 항로표지법 시행규칙(2009), 국토해양부령 제108호(2009.3.23)
  37. 한국항로표지기술협회(2010), http://www.kaan.or.kr
  38. 행정자치부(1998), 행정조직변천사

Cited by

  1. A Research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Program to Displaying External Factors of Marine Buoy using Quest3D vol.36, pp.8, 2012, https://doi.org/10.5394/KINPR.2012.36.8.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