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Theory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단전주선(丹田住禪)에 나타난 심신수행론

  • Kim, Su-In (Institute of the Mind Humanities, Won-Kwang University)
  • 김수인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 연구소)
  • Received : 2011.11.25
  • Accepted : 2011.12.20
  • Published : 2011.12.27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from the point of views of Taoism, Buddhism, and Oriental medicine. Methods : An ideolog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Dan-Jeon-Ju-Seon was first examined. Then, the definition of, other descriptions of, and various locations of, Dan-Jeo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theory of Qi movement of Shui Sheng Huo Jiang (ascent of water Chi and descent of fire Chi) in Dan-Jeon-Ju-Seon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from perspectives on the thought of Taoist Nei Dan (internal alchemy) and Oriental medicine.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mind and body practice in Dan-Jeon-Ju-Seon. Results & Conclusions : Dan-Jeon in Dan-Jeon-Ju-Seon consists of three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Dan-Jeon, which is related to Jing (sperm, essence) Qi (breath, eneregy) Shen (spirit, intellect) of our body. Jing Qi Shen is a crucial part in our mind and body, mind and body are connected by energy, and the energy flow is possible by ascent of water Chi and descent of fire Chi. Ultimately, Dan-Jeon-Ju-Seon is a method of practice to keep one's mind and body healthy, and its purpose is to do timeless meditation in our daily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Keywords

References

  1. 葛洪. 抱朴子. 正統道藏.
  2. 葛玄 註. 老子節解.
  3. 難經. 正統道藏.
  4. 梁丘子. 黃庭內經玉經註. 正統道藏.
  5. 黃帝內經.素問. 正統道藏.
  6. 少太山. 修養硏究要論. 익산 : 佛法硏究會. 1927.
  7. 少太山. 佛敎正典. 익산 : 佛法硏究會. 1943.
  8. 鍾離權.呂洞賓. 鍾呂傳道記. 正統道藏. 臺灣 : 新文豊出版公司印行. 1977.
  9. 鄭思肖. 太極祭鍊內法. 正統道藏. 臺灣 : 新文豊出版公司印行. 1976.
  10. 鼎山. 修心正經. 圓佛敎敎古叢刊. 익산 : 圓佛敎正化社. 1973.
  11. 參同直指. 臧外道書.
  12. 許浚. 東醫寶鑑. 대전 : 南山堂. 1966.
  13. 滑壽. 難經本義. 鈂定四庫全書, 醫家類. 대전 : 大成文化社. 1995.
  14. 砂山稔. 隋唐道敎思想史硏究. 동경 : 東京平河出版社. 1990.
  15. 김완희. 한의학원론. 성보사. 1995.
  16. 大學.中庸 附諺解. 대전 : 學民文化社. 2000.
  17. 만탁치아, 마니완치아, 이여명 역. 장기 氣마사지. 서울 : 힐링타오. 1993.
  18. 陽靑藜, 金仙學會 譯. 大成捷經. 서울 : 驪江出版社. 1995.
  19. 楊繼洲. 鍼灸大成. 서울 : 대성문화사. 1990.
  20. 伍守陽, 昔原台 譯. 仙佛合宗. 서울: 서림문화사. 1994.
  21. 柳華陽, 柳正植 譯. 金仙證論. 서울 : 驪江出版社. 1992.
  22. 柳華陽, 李允熙 譯. 慧命經, 서울 : 驪江出版社. 1992.
  23. 李炳國. 經穴圖(下). 서울 : 현대침구원. 1988.
  24. 李時珍. 奇經八脈考. 鈂定四庫全書. 醫家類. 서울 : 大成文化社. 1995.
  25. 이정호. 정역. 서울 : 아세아문화사. 1990.
  26. 원불교 전서. 익산 : 원불교출판사. 2000.
  27. 呂洞賓, 李允熙.高聖勳 譯. 太乙金華宗旨. 서울 : 驪江出版社. 1992.
  28. 張文江, 常近 編著. 中國傳統氣功學詞典. 中國 : 山西人民出版社. 1989.
  29. 김낙필. 내단사상과 원불교 단전주선법. 원불교 사상연구원.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005 ; 30 : 85-112.
  30. 김낙필. 유일명 내단사상에서의 음양개념. 도교문화연구. 2006 ; 24 : 135-90.
  31. 김수인. 한국 신종교의 선가적 요소, 한국종교학회. 종교연구. 2009 ; 57 : 275-310.
  32. 김수인. 소남 정사초의 태극제련내법 수행론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2011.
  33. 김수인. 단전호흡이 심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2000.
  34. 박병수. 圓佛敎 敎義에 수용된 道敎思想의 硏究.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1996.
  35. 박병수. 원불교 단전에 관한 연구. 원불교학. 1996 ; 1 : 131-57.
  36. 박병수. 교리형성과정에서 본 단전주선의 위상. 원불교사상의 구조와 전개. 2006 : 2.
  37. 박병수. 송정산의 수심정경 연구. 원불교사상연 구원. 원불교사상. 1997 ; 21 : 423-5.
  38. 백남귀. 갈홍의 신선사상연구.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2005
  39. 신광균. 단전호흡의 사적고찰. 제주대하교 석사논문. 1980 ; 12.
  40. 신진식. 내단학의 성명쌍수 사상의 현대적 의의. 도교문화연구. 경기도 : 동과서. 2007 ; 27 : 123-50.
  41. 이종보. 단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2003.
  42. 정병희. 수승화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2008.
  43. 황준식. 단전의 위치에 관한 고찰. 한국정신과학학회. 제2회 한국 정신과학학술대회 논문집. 1995 : 57-70.
  44. 김낙필. 도교수행에서의 덕행 실천의 문제. 마음인문학연구소 국제학술대회. 2011. 10. 13.
  45. 하정남. 미국사회의 불교와 원불교. 제9회 마음인문학 콜로키움. 2011. 5. 26.
  46. 한내창. 몸과 마음 사회 그리고 마음인문학의 과제. 마음인문학연구소.한국종교사회학회 공동학술대회. 2011.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