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Design Principles for Engineering Mathematics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College

협력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공학수학 수업모형의 설계원리 개발

  • 정애경 (동서울대학 디지털방송미디어과) ;
  • 이상회 (동서울대학 디지털전자과) ;
  • 홍유나 (한국산업인력공단) ;
  • 김능연 (동서울대학 디지털전자과)
  • Received : 2010.10.03
  • Accepted : 2011.02.21
  • Published : 2011.03.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basic design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mathematics teaching model that supported college students to become collaborative problem solv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four design principles were drawn from the steps of systems approach, especially with consideration of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professors, curriculum and relevant research on mathematical education. As a result, the four design principles for the engineeering mathematics teaching model were drawn as follows: (1) Improve students' basic mathematical learning abilities through repetition and elaborative practice of the basic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2) Develop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through collaborative projects or learning activities with peers, (3) Facilitate students' reflection and provide teacher's monitoring and prompt feedback during their learning process, and (4) Build up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at enable students to become self-regulated learners.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수학 기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공학수학 수업모형의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첫째, D 대학 디지털전자과의 교수 학습환경 분석과 함께 산업체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요구분석 결과와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학수학 수강생들의 기초수학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모형의 기반 설계이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모형의 기반 설계이론으로는 (1) 수학 기본개념과 반복훈련을 통해서 수학 기초학습능력을 높이고, (2) 동료 학습자간 협력적 문제해결활동을 통해서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고, (3) 학습자의 성찰을 촉진하고 학습자의 수업활동에 대한 교수자의 체계적인 점검과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4)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환, 김병학, 김경석, 박은아,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정 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수학교육, 제23호, 제2권, 255-277쪽, 2009년
  2. 전재복,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 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제22권, 제4호, 399-416쪽, 2008년
  3. 송동주, "공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하여", 공학교육과 기술, 제10권 제3호, 85-92쪽, 2003년
  4. 김성옥, 안경모, 이종원, "공학전공자를 위한 대학수학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연구", 수학교육, 제23권, 제4호, 961-976쪽, 2009년
  5. 정애경, 맹민재, 이상회, 김능연, "전문대학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및 학습몰입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IE편, 제47권, 제2호, 73-81쪽, 2010년
  6. 이영민, "웹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적 문제 해결 학습 과정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1권, 제2호, 61-78쪽, 2005년
  7. 이상구, "능력별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력신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년
  8. 조성진, "소집단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고등학교 수학 방정식 단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년
  9. 정상철, "수학 학습부진아의 소수곱셈과 나눗셈 교수효과에 관한 연구(직접교수 방법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년.
  10. Mayer, R. E. (1992). Thinking, problem solving, cognition (2nd ed).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1. Johnson, D. W., & Johnson, R. T.,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individualistic learning (4thed.)", Boston: Allyn & Bacon, 1994.
  12. Buckholdt, David R., Ferritorv, Daniel E., Tucker, "The Effects of Different Reinforcement Systems on Cooperative", ED100497, pp. 40, 1974.
  13. 문용린, "학교학습이론이 한계와 새로운 동향", 한국교육, 제15권, 제2호, 1988년
  14.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1989.
  15. 김상철, "소집단 협력학습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공업계 고등학교 수학교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년
  16. Heppner, P. P., & Petersen, C. H.,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9, no. 1, pp. 66-75, 1982.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17. 김능연, 이상회, 정애경, 맹민재, 홍유나, "CQI 기반의 공학기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연구," 교육역량강화사업 정책과제, 동서울대학 산업기술연구소, 2010년
  18. Mezirow, J., "How critical reflection triggers transformative learning. In Mezirow and Associate(Eds.),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A guide to transformative and emancipatory learning", SF: Jossey-Bass Publishers, 1990.
  19. Dewey, J., "How we think", Dover Publications, Inc, 1997.
  20. 김석우, 김명선, 강태용, 정혜영, "수행평가의 본질과 현안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 교육연구, 제9권, 제1호, 101-116쪽, 2000년
  21.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양서원, 2002년
  22. 홍유나, 맹민재, 정애경, 이상회, 김능연, "전문대학 공학계열 수업에서의 성찰저널 적용 사례연구," 전자공학회 논문지, 제47권, IE편 제1호, 22-33쪽. 2010년
  23. Cole, P. G., & Chan, L. K. S., "Teaching principles and practice", New York: Prentice Hall, 1994.
  24. Jonassen, D. H., "Revisiting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In D. H. Jonassen & S. M. Land (Eds.),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Mahwah, NJ: LEA, 2000.
  25. Hanna, D. E., Glowacki-Dudka, M., & Conceicao-Runlee, S., "147practicaltips for teaching online groups: Essentials of web-based education", Madison, Wisconsin: Artwood Pub, 2000.
  26. Wang, S. L., & Lin, S., "The application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web-based learning through NetPor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8 no. 4, pp. 600-612, 2007.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6.00645.x
  27. Chang, Mei-Mei,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a web-based instruction- An investigation of motivation perception",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 18, no. 3, pp. 217-230, 2005. https://doi.org/10.1080/09588220500178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