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National Framework Data for the Disaster GIS

소방방재 GIS를 위한 국가 기본공간정보의 현황 분석

  • 박홍기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12.06
  • Accepted : 2011.12.2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absence of present accurate geospatial information can cause us to undergo severe problems in controlling the complicate and multiplicate disaster. Our country is trying to build the Disaster Spatial Data Infrastructure (DSDI), and the key information is the national framework dat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patial data,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national framework data, and suggest the way to improve for the GIS applic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a wide range of services through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integration system, the data management authority should be established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quality and data accuracy of the entir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addition, the step-by-step update plan of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should be determined by means of the framework data. And the basic data (lowest common denominator) should be formulated to maintain the data consistency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현재의 정확한 지형공간정보가 없으면 복잡하고 복합적인 재해를 다스리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우리나라는 소방방재 공간정보기반(DSDI)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국가 기본공간정보가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방방재 공간정보의 특성을 조사하고 기본공간정보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GIS활용체계를 위한 기본공간정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를 통해 다양한 활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체 국가공간정보기반 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책임관리기관이 정립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서로 연계된 국가공간정보기반 데이터들의 단계별 갱신방안이 구축되어야 하며, 국가공간정보기반 데이터들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공통분모인 기초정보에 대한 정립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0a),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기본계획 (2010∼2015),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42호.
  2. 국토해양부 (2010b), 3D 사이버국토 실현 추진계획(안), 의안보고 제58호
  3. 김형복 (2010), 국토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의 현재와미래, 한국토지주택공사 발표자료 56쪽.
  4. 노경범, 김종일 (2010), 홍수위험지도 제작 및 활용 방안, 리전인포 제218호, pp. 1-28.
  5. 류동현, 이호근, 김규형 (2010), u-방재 서비스 및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4호, pp. 142-153.
  6. 문수정, 편무욱, 박홍기, 지장훈, 조준호(2010)", 지형공간 정보취득기술과 토목BIM을 활용한 부지선정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8권제6호, pp. 579-586.
  7. 이석민, 유호선, 김미영 (2011), "국토모니터링 자료취득 및 공동활용 개선을 위한 요구도 분석 -국토모니터링 관련 전문가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3호, pp. 185-201
  8. 조은진, 박홍기(2002)," 국가공간정보기반과 기본지리정보",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pp. 67-72.
  9. 조은진, 박홍기 (2003), "NGIS를 위한 국가기본지리정보 유지관리 방안",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443-450.
  1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11), 기본지리정보 분류 절차 기술보고서.
  11. WMO (2008), Urban Flood Risk Management, WMO/GWP Associated Programme on Flood Management, pp. 1-38.
  12. 國土地理院(2011), 基盤地圖情報サイト, http://www.gsi.go.jp/kiban/

Cited by

  1. System Implementation Plan for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to Road Occupation Permit Administrative Works vol.16, pp.6,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6.4208
  2. The Establishment of BPR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vol.22, pp.4,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4.081
  3.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확대발전방안 수립 vol.17, pp.1,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6.17.1.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