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Trends of U-City Theses in Korea and Oversea

국내.외 U-City 논문의 연구동향

  • 김걸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 천정윤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 신동빈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 임시영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Received : 2011.02.10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and elicit future research themes of U-City and future city by identifying the research trends of U-City theses. For this, meta-keywords were elicited based on the theses of U-City and future city published from mid 1990s to 2010. Centered on the meta-keywords, temporal keyword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search trends of U-City and future city theses in Korea and oversea.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U-City and future theses in Korea and oversea mainly dealt with technology. U-City theses in Korea have a tendency to research technology, methodology, service, planning and management in order from the early beginning. However, the U-City and future theses in oversea have a tendency to continuously study U-City applications to city through the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nd methodology. Therefore, the U-City research in Korea should focus on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urban scale, and so on. That is to say, the research in near future is required to apply the U-City to various urban themes.

본 연구는 U-City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미래도시나 U-City 연구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외 U-City 및 미래도시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키워드를 추출하고, 시계열적 키워드 분석을 통해 국내 외 논문의 연구경향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논문과 해외 논문 모두 기술에 관련된 연구가 많았지만 국내에서는 기술과 방법론, 서비스, 계획 및 관리 분야가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된 반면 해외 논문은 기술 및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 후 모델을 통해 도시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어지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에서는 도시재생이나 도시의 공간적 스케일을 고려한 다양한 주제별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U-City가 도시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옥, 2009,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11권, 제2호, pp.170-176.
  2. 강영옥, 피민희, 조아라, 이주연, 2010,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12권, 제1호, pp.85-93.
  3. 김복환, 구지희, 곽인영, 2009, "지속가능한U-City 운영을 위한 선순환 U-City 모델의 개발방향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11권, 제1호, pp.145-156.
  4. 김지현, 김호기, 정창무, 2010, "기술진화 계통도를 이용한 U-City 기술의 분류",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5권, 제1호, pp.223-236.
  5. 안종욱, 신동빈, 김정훈, 2010, "효율적 정보관리를 위한 U-City 정보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8권 제1호, pp.119-127.
  6. 임시영, 조춘만, 박주희, 2008, "기반시설 관점에서의 u-City 기술 분류에 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IT서비스학회, pp.482-485.
  7. 한현배, 전인성, 2005, "KT의 부산 U-City 및 인천 IFEZ U-City 구축 사례분석", 한국통신학회지 "정보통신", 한국통신학회, 제22권, 제7호, pp.49-66.
  8. Li Qi, Liu Chunbo and Cheng Jicheng, 2003, "A study on some theories and practices of digital city", 地理與地理信息科學(Geography and geo-information science), v.19, no.1, pp.32-36.
  9. Nnyaladzi Batisani and Brent Yarnal, 2011, "Elasticity of capital-land substitution in housing construction, Gaborone, Botswana: Implications for smart growth policy and affordable housing",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99, no.2, pp.77-8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10.08.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