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Biomass Estimation Using Remotely Sensed Data: from Five Different Perspectives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국외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현황 및 비교분석: 다섯 가지 관점에서의 고찰

  • 조경훈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허준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정재훈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창재 (연세대학교 건설공학연구소) ;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Received : 2011.02.15
  • Accepted : 2011.03.17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Carbon emissions and storages that are strongly related to global warming has have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while many governments and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climate change and pollution. In this regards, forest biomass estimation is quite importance since forest biomass works as an important medium of the global carbon cycle between the atmosphere and soil. Forest biomass estimation through field survey needs lots of time and labors, and has accessibility issues. Hence,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forest biomass approaches based on remotely sensed data.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reviewed forty one international studies using remote sensing data according to five different categories (i.e., location of study area, size of study area, biome, used remote sensing data, and estimation technology).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suggesting domestic research directions; domestic research in this field is at the beginning stage in terms of level of technologies and useful materials. As results, 39% out of the reviewed studies used the areas located in North America. 59% out of the researches dealt with small size of the study areas (less than 3,600km2). In case of biome, around 30% of the studies focused on the boreal/taiga areas. Moreover, 35% and 16% of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Landsat series and Lidar data, respectively. Finally,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for forest biomass estimation by 71% out of 41 studies.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가 문제시 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의 배출 및 저장량 추정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산림 바이오매스는 대기와 토양 간 탄소 순환의 중요한 매개체로서 전 지구적인 탄소 순환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산림 바이오매스의 각종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정량화 하려는 노력이 각국에서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현장조사를 통한 추정은 시간 및 인력낭비가 심하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은 총 41개의 해외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연구를 다섯 가지 관점(연구대상지역; 연구대상면적; 생태군계; 원격탐사자료; 추정기법)에 따라 분류하고, 연구사례 및 기반 기술이 제한적인 국내 관련 분야의 기반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연구대상지역으로는 북미지역이 39%로 가장 많은 연구 사례가 존재하였으며, 연구대상면적에 대한 조사에 있어서는 지역크기를 대 중 소로 분류 시 소규모 지역(3,600km2)의 연구 수가 59%로 가장 많았다. 생태군계의 경우 북쪽 수림대/타이가 지역이 30%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고, 원격탐사자료 사용 빈도는 Landsat 시리즈와 LiDAR가 각각 35%, 16%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기법에 있어서는 회귀분석 방법이 71%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규찬, 2010, "항공디지털카메라와 레이저측량을 이용한 정사영상 제작 및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 김태근, 김광은, 조기성, 김환기, 1996,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한 호수수질 관측",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4권, 제2호, pp.22-33.
  3. 국립산림과학원, 2008, 산림부문 온실가스 흡수.배출계스 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pp.17-21.
  4. 국립산림과학원, 2009,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현지 조사 지침서 Version 1.3, pp.3-6.
  5. 노남진, 손요환, 김종성, 김래현, 서금영, 서경원, 구진우, 경지현, 박인협, 이영진, 손영모, 이경학, 2006, "가평지역 낙엽송림의 바이오매스와 영급별 줄기 밀도 및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추정 연구", 임산에너지, 제 25권, 제 1호, pp.1-8.
  6. 윤정호, 2004, 소나무림 공간 분포의 특성 및 변화 예측: 지형, 기상, 토양인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p.68-99.
  7. 임종수, 공지수, 김성호, 신만용, 2007, "kNN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의 산림 주제도 작성과 산림 통계량 추정", 한국임학회지, 제96권, 제3호, pp.259-268.
  8.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11-320. https://doi.org/10.7780/kjrs.2009.25.4.311
  9. 장안진, 김형태, 2008, "항공사진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바이오매스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16-173.
  10. 정상영, 임종수, 조현국,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a,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임학회지, 제98권, 제4호, pp. 409-416.
  11. 정상영, 임종수, 황주호, 조현국, 신만용, 2009b, "BioCLUST 기법을 이용한 무주군 산림 바이오매스의 추정 및 주제도 작성", 한국임학회 정기 학술연구발표회.
  12. 정재훈, 허준, 유수홍, 김경민, 이정빈, 2010, "kNN 알고리즘과 계절별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단양군 지역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추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 18권, 제 4호, pp.119-129.
  13. 황주호, 임종수,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 "위성영상과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소면적의 산림통계량 추정", 한국임학회 정기 학술연구발표회.
  14. Balzter, H., Rowland, C.S., Saich, P., 2007, "Forest canopy height and carbon estimation at Monks Wood national nature reserve, UK, using dual-wavelength SAR interferometry", Remote Sensing and Environment, Vol. 108, pp.224-239. https://doi.org/10.1016/j.rse.2006.11.014
  15. Boudreau, J., Nelson, R.F., Margolis, H.A., Beaudoin, A., Guindon, A., Kimes, D.S., 2008, "Regional aboveground forest biomass using airborne and spaceborne LiDAR in Quebec",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112, pp.3876-3890. https://doi.org/10.1016/j.rse.2008.06.003
  16. Franco-Lopez, H., Ek, A.P., Bauer, M.E., 2001, "Estimation and mapping of forest stand density, volume and cover type using the k-nearest neighbors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77, pp.251-274. https://doi.org/10.1016/S0034-4257(01)00209-7
  17. Fuchs, H., Magdon, P., Kleinn, C., Flessa, H., 2009, "Estimating aboveground 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113, pp.518-531. https://doi.org/10.1016/j.rse.2008.07.017
  18. Goetz, S.J., Baccini, A., Laporte, N.T., Johns, T., Walker, W., Kellndorfer, J., Houghton, R.A., Sun, M., 2009, "Mapping and monitoring carbon stocks with satellite observations: a comparison of methods", Carbon Balance and Management, 4:2. https://doi.org/10.1186/1750-0680-4-2
  19. Hall, R.J,. Skakun, R.S., Arsenault, E.J., Case, B.S., 2006, "Modeling forest stand structure attributes using Landsat ETM+ data: Application to mapping of aboveground biomass and stand volum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225, pp.378-390. https://doi.org/10.1016/j.foreco.2006.01.014
  20. Labrecque, S., Fournier, R.A., Luther, J.E., Piercey, D., 2006, "A comparison of four methods to map biomass from Landsat-TM and inventory data in western Newfound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226, pp.129-144. https://doi.org/10.1016/j.foreco.2006.01.030
  21. Lefsky. M.A., Harding. D., Cohen. W.B., Parker. G., Shugart. H.H., 1999, "Surface Lidar remote sensing of basal area and biomass in deciduous forests of Eastern Maryland, US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67, pp.83-98. https://doi.org/10.1016/S0034-4257(98)00071-6
  22. Lefsky. M.A., Cohen. W.B., Harding. D.J., Parker. G.G., Acker. S.A., Gower. T., 2002, "Lidar remote sensing of above-ground biomass in three biomes", Global Ecology & Biogeography, Vol.11, pp.393-399. https://doi.org/10.1046/j.1466-822x.2002.00303.x
  23. Mickler, R.A., Earnhardt, T.S., Moore, J.A., 2002, "Regional estimation of current and future forest biomass", Envionmental Pollution, Vol.116, pp. S7-S16. https://doi.org/10.1016/S0269-7491(01)00241-X
  24. Reese. H., Nilsson. M., Sandstrom, P., Olsson, H., 2002, "Applications using estimates of forest parameters derived from satellite and forest inventory data".,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37, pp.37-55. https://doi.org/10.1016/S0168-1699(02)00118-7
  25. Reese. H., Nilsson. M., Pahlen. T.G., Hagner. O., Joyce. S., Tingelof. U., Egberth. M., Olsson. H., 2003, "Countrywide Estimates of Forest Variables Using Satellite Data and Field Data from the Natinoal Forest Inventory",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03, Ambio Vol.32 No.8, pp.542-548. https://doi.org/10.1579/0044-7447-32.8.542
  26. Saatchi. S.S., Houghton. R.A., Dossantos Alvala. R.C., Soares. J., Yu, Y., 2007, "Distribution of aboveground live biomass in the Amazon basin", Global change biology, Vol.13, pp.816-837. https://doi.org/10.1111/j.1365-2486.2007.01323.x
  27. Sivanpillai, R., Smith, C.T., Srinivasan, R., Messina, M.G., and Wu, X.B., 2006, "Estimation of Managed Loblolly Pine Stand Age and Density with Landsat ETM+ Dat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3:247-254 https://doi.org/10.1016/j.foreco.2005.11.013
  28. Tucker, C.J., 1978b, "A Comparison of Satellite Sensor Bands for vegetation Monitor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44, No.3, pp.289-295.
  29. Tuominen. S., Eerikaiinen. K., Schibalski. A., Haakana. M., Lehtonen. A., 2010, "Mapping biomass variables with a Multi-Source Forest Inventory Technique", Silva Fennica, Vol.44, No.1, pp.109-119.
  30. Turner, D.P., Guzy, M., Lefsky, M.A., Ritts, W.D., Tuyl, S.V., Law, B.E., 2004, "Monitoring forest carbon sequestration with remote sensing and carbon cycle modeling", Environment Management, Vol.33, No.4, pp.457-466.
  31. Wulder, M. A., White, J. C., Fournier, R. A., Luther, J. E., Magnussen, S., 2008, "Spatially explicit large area biomass estimation: three approaches using forest inventory and remotely sensed imagery in a GIS", sensor, Vol.8, pp.529-560. https://doi.org/10.3390/s8010529
  32. WWF, 2008, Living planet report 2008, 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