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oach for Suitable Site Selection and Analysis for Reforestation CDM using Satellite Image and Spatial Data in North Korea

위성영상과 공간자료를 이용한 북한 지역의 재조림 CDM 대상지 선정 및 적지분석 방안

  • 유성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승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정보과) ;
  • 이종렬 (고려대학교 환경GIS/RS Center)
  • Received : 2011.04.06
  • Accepted : 2011.05.1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ppropriate sites for reforestation CDM using satellite image and spatial data in North Korea. A suitable site for reforestation CDM can be defined as non-forest area since 1990. To detect land cover change between two different years and to delineate potential reforestation CDM site(unstocked forest, converted crop land, denuded bare land), Landsat TM satellite image which was scanned in 1988 and SPOT Pan-sharpened image which was scanned in 2007 were use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1,214 ha of forest area in 1989 had been converted to other land cover types in 2007. and 2,245 ha of the total study area was detected to be suitable for reforestation CDM. 79.2% of total potential CDM sites was converted crop land. Through topography and accessibility analysis for potential reforestation CDM sites detected by satellite image, suitability index was calculated and the potential reforestation area was reclassified into suitability grades.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영상과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재조림 CDM의 정의에 적합한 대상지 선정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재조림 CDM이 가능한 대상지는 1990년 이전부터 현재까지 산림이 아닌 지역으로 규정되어 있다. 연구대상지역은 북한 함흥 지역이며, 1988년 9월 27일 취득된 Landsat TM 영상과 2007년 9월 24일 취득된 SPOT Pan-sharpened 영상의 두시점 영상을 이용하였다. 두시점의 영상에 대해서 각각 영상분류를 실시하여 산림황폐지(무립목지, 개간산지, 산간나지)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두 영상분류 결과를 이용한 변화탐지 분석을 수행하여 잠재적인 재조림 CDM 대상지를 도출하였다. 영상분류 결과, 19년간 산림의 1,214 ha가 개간산지, 농경지 또는 산간나지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2,245 ha가 재조림 CDM의 정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잠재적 재조림 CDM 대상지 중 79.2%가 개간산지로 나타났다. 분석된 잠재적 재조림 CDM 대상지에 대하여 지형 및 접근성 분석을 통해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였고 대상지를 적합성에 따라 등급화하여 사업우선 순위의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숙, 이승호, 조현국, 2010, "북한 산림황폐지의 질감 특성을 고려한 분할영상 기반 토지피복분류".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26권, 5호, pp.477-487. https://doi.org/10.7780/kjrs.2010.26.5.477
  2. 김태민, 이우균, 손요환, 유성진, 김소라, 2009, "소나무 공간분포의 지형학적 분석", 한국임학회지, 제98권, 6 호, pp.764-771.
  3. 김태준, 이근상, 2006, "GIS 기반 AHP 기법을 이용한 작물재배 적지분석", 대한토목학회지, 제26권, 4호, pp.695-702.
  4. 농림부, 2002, "북한의 농업기반 특성과 정비방안 연구- 북한의 산림과 산지의 개간실태 및 복구방안", pp.273-337.
  5. 박경석, 이성연, 박소영, 2009, "1999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 산림관리 변화 연구", 통일문제연구 51호, pp.459-492.
  6. 배재수, 2006, "교토의정서 제1차 공약기간의 신규조림/ 재조림 CDM 사업의 이해", 산림경제연구, 제14권, 1 호, pp.59-76.
  7. 이규성, 정미령, 윤정숙, 1999, "북한 지역 산림면적 변화의 추이와 특성", 한국임학회지, 제88권, 3호, pp.352-363.
  8. 이동근, 오영출, 김재욱, 2007, "A/R CDM을 위한 북한 지역의 산림변화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10권, 2호, pp.97-104.
  9. 이승호, 2004, "북한 산림자원의 황폐화 현황과 남․북한 임업협력의 발전방향", 농업생명과학연구, 제38권, 3 호, pp.101-113.
  10. 정재서, 2003,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임상분류 및 구획기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p.13.
  11. 최수명, 김영주, 황한철, 1998,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시설 적정입지선정 모델",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4권, 1호, pp.98-107.
  12. 홍석영, 임상규, 이승호, 이정철, 김이현, 2008,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농업환경 분석 I.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지형과 토지피복분류", 한국환경농학회지, 제27권, 2호, pp.120-132.
  13. Erdas Leica Geosystems, 2003, "ERDAS Field Guide", Atlanta - Leica Geosystems, p.672.
  14. Hudson, W.D., Ramm, C.W., 1987, "Correct formulation of the Kappa Coefficient of Agreement".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53, no.4, pp.421-422.
  15. Jensen, J. R., 2005,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3rd edition)", Pearson Prentice Hall. p.383.
  16. Kim S.R., Lee W.K., Kwak D.A., Biging G., Gong P., Lee J.H., Cho H.K., 2011, "Forest cover classification by optimal segment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Sensors, doi:10.3390/s110201943, pp.1943-1958.
  17. Landis, J.R., Koch, G.G., 1977,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kappa-type statistics in the assessment of majority agreement among multiple observers", Biometrics, Vol.33 pp.363-374. https://doi.org/10.2307/2529786
  18. Hato, M., Tsu, H., Tachikawa, T., Abrams, M., Bailey, B., 2009, "The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 (GDEM)-for societal benefit", Proceedings of AGU 2009 Fall meeting, p.65
  19. Penman, J., Gytarsky, M., Hiraishi, T., Krug, T., Kruger, D., Pipatti, R., Buendia, L., Miwa, K., Ngara, T., Tanabe, K., Wagner, F.,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20. Saaty, R.W., 1987,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Mathematical Modeling, Vol.9, pp.161-176. https://doi.org/10.1016/0270-0255(87)90473-8
  21. Stow, D., Coulter, L., Kaiser, J., Hope, A., Service, D., Schutte, K. and Walters, A., 2003, "Irrigated vegetating Assessments for Urban Environment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69, No.4, pp.381-390. https://doi.org/10.14358/PERS.69.4.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