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Measures for reducing Drunk Driving exploi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eterate Drunk Drivers

상습 음주운전자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음주운전 대책에 관한 실증적 연구

  • Received : 2011.05.20
  • Accepted : 2011.08.0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According to statistics, drunk drivers who repeatedly violate the DUI (Driving under influence) regulation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and now the habitual drunk drivers become a societal problem. Employing a confirmative factorial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si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ual drunk drivers and also seek countermeasures, this study identify the difference among three different groups of drivers: 1) sober drivers, 2) drivers with a DUI violation record, and 3) drivers with more than two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medies and educational contents to rectify drunk driver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drunk driving records. Second, using defense mechanism (e.g., rationalization, projection, sublimation), drunk driving psychology (such e.g., sense of guilt, shame, embarrassment) and self-esteem (e.g., affirmation, denial) as theory variables, a Structural Equation is constructed to repres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unk driving according to records on drunk driv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del, measures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drunk driving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group are also suggested. Forth, drunk driving measures based on drinking individuality are complemented by concurrence analysis on records of drunk driving records and National Alcoholism Screening Test (NAST) score. Also, two or more times recorded drunk drivers are classified as inveterate drunk drivers.

최근 음주운전자 중 과거 음주운전 전력이 2회 이상인 경우가 많아 음주운전을 상습적으로 하는 운전자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적 음주운전자들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특성 및 대책을 모색하고자 비음주운전자들과 1~2회 이상 음주운전자들 집단 간 차이를 구조방정식의 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알아보고 대책마련을 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음주운전 단속 전력별로 운전자들의 희망 치료 방식 및 교육내용을 파악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방어기제(합리화, 투사, 승화)와 음주운전 심리(죄의식, 수치심, 곤혹감), 자존감(긍정, 부정)을 이론변수로 사용하여 음주운전 전력별 음주운전 심리특성 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음주운전 심리특성 모형의 분석 결과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음주운전 예방 및 저감대책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음주운전 단속 전력과 한국형 알코올 중독자 선별 검사 점수를 대응분석하여 개인의 음주특성에 따른 음주운전 대책 부분을 보완 할 수 있었다. 또한, 음주운전 2회 이상 전력자를 상습 음주 운전자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권(1994), "방어기제에 관한 고찰". 강남대논문집 신학인문사회, 25, pp.273-304.
  2. 김재은.이근후.김정규.박영숙(1991), "이화방어기 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 하나 의학사.
  3. 도로교통공단(2008), "음주운전의 심리사회적 결정 요인과 대책연구I, II".
  4. 도로교통공단(2010), "2009년 도로교통 사고비용의 추계화 평가".
  5. 박원범(2007), "규제정책의 순응 및 불응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음주운전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여광응(외 1992),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양서원.
  7. 이순우(2011), "음주운전 규제정책이 규제순응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장석용.정헌영.고상선(2011), "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과 운전태도 변화 메커니즘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57-62.
  9. 장석용.정헌영.이원규.고상선(2008), "Q 분석 방법을 이용한 운전자 운전성향별 유형화에 관한 연구(교통법규 위반자 및 교통사고 야기자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65-180.
  10. 전영실(2009), "음주운전의 억제요인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1호, pp.257-277.
  11. 정채기(2003), "교육심리학", 학문사.
  12. 최재원.정헌영.장석용.김광욱(2010),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내버스 교통사고 및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3-83.
  13. Brenner, C.(1976), "Psychoanalytic technique and psychic conflic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4. Ihilevich, D., & Glaser, G. C.(1986), "Defense mechanism: Their classfication, correlate and measurement with the defense mechanism inventory", Owosso, MI: DMI Assoc.
  15. Ng, R.(1993), "The construction of true and false selves in adolescence, Paper presented at the viennial meeting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LA.
  16. Rosenberg, M.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y well-being in adolescence", In R, L, Leahy(Ed.), The development the self (pp.205-246), New York: Academic press.
  17. Slagel, S. J.(1965), "Self esteem and patterns of defense", Unpublished doctro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