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real-time microblogging activities in offline lecture environments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서 실시간 마이크로블로그 활용 학습활동 효과 사례분석

  • Received : 2011.05.27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person lectures have structural issues that active communications in the classroom are limited because of the environments where the instructor usually delivers learning contents in a unilateral manner. Therefore, microcontents activities using real-time microblogging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lecture in this study. Fourteen students in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ctivity for eight weeks using a microblog during instruc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posit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by producing and collaborating ideas through real-time microblogging.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strategies for the attention to the class, quality management of micro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design should be more studied further.

본 연구는 오프라인에서 실시되고 있는 강의식 수업이 학습내용 전달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기회가 구조적으로 제한되고 있는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이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강의식 수업 현장에서 마이크로블로그를 활용한 실시간 의사소통 환경을 조성하여 의사소통 증진 및 수업 촉진의 가능성이 검증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K대학교 학생 14명이 8주간에 걸쳐 강의식 수업시간에 실시간으로 마이크로블로그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블로그에서 교류되는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들의 아이디어 생성 및 교환, 그리고 협력적 활동이 발견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수업 만족도를 바탕으로 수업에 적극적인 참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언사항으로, 향후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수업집중도 향상, 콘텐츠 질관리, 그리고 온오프라인 병행수업전략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성호, 교수방법론, 학지사, 2006.
  2. 변영계, 김영환, 손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10.
  3. 유승우, 임형택, 권충훈, 이성주, 이순덕, 전희정,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양서원, 2011.
  4. Social network service,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Social_network_service, 2011.
  5. Facebook,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Facebook, 2011.
  6. Twitter,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Tw itter, 2011.
  7. J. Lave & E. Wenger,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8. L. S. Vygotsky, Mind a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9. K. Smith, The twitter experiment [Video file], http:// www.youtube.com/watch?v=6WPVWDkF7U8, 200 9.
  10. K. A. Neuendorf,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Sage publications, Inc., 2002.
  11. NVivo, NVivo Version 8, QSR International PtyLtd., 2008.
  12. 임걸,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사례연구 :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4호, pp.91-114, 2010.
  13. 김상경, 임걸, "ESL 학습자의 문화이해 및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블로그 학습활동 사례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논문지, 제12권, 제 3호, pp.155-174, 2010.
  14. 양형욱,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속 '투명 모니터' 현실로...삼성 투명 LCD 양산", 파이낸셜 뉴스, http:/ /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 p=fnnews&arcid=110331101042&cDateYear=2011& cDateMonth=03&cDateDay=31, 2011.

Cited by

  1. Design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ogramming Language Education vol.13, pp.4, 2012, https://doi.org/10.9728/dcs.2012.13.4.517
  2. Development of Robot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Educational Robot and its Application vol.14, pp.3, 2013, https://doi.org/10.9728/dcs.2013.14.3.333
  3.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vol.15, pp.4,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4.27
  4. 블로그를 사용한 플립러닝 설계 vol.13, pp.2, 2018, https://doi.org/10.13067/jkiecs.2018.13.2.391
  5. The Digital Divide? Analyzing Regional Differences of Tablet PC Use in Korean Middle Schoo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vol.11, pp.18, 2011, https://doi.org/10.3390/su11185054
  6. 콘텐츠 산업에서 나타난 양방향 소통 가상존재 기술 및 특성 분석 vol.25, pp.4, 2011, https://doi.org/10.5909/jbe.2020.25.4.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