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Effect of Different motivations on the Participation in SNSs

SNS 이용동기가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Received : 2011.09.18
  • Accepted : 2011.09.2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jor motivations for using SNSs and the effect of them on SNS particip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25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yworld was mainly used followed by Facebook and Twitter. Most of the respondents had access to SNSs via smart devices. The average frequency of SNS use was 1-3 times a day and they used them less than 30 minutes a time. The reasons why they started to use SNSs were mainly to follow current trends, maintain friendship, and accept acquaintances recommendations. Second, the result of component analysis derived four primarily underlying dimensions related to SNS use; self-satisfaction, social interaction, recreation, and information seeking. Third, both self-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NS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 motivation was more influential on active participation than soci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원)생들의 전반적인 SNS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SNS의 주된 이용동기 및 이용동기가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SNS를 사용하는 서울 소재 Y 대학(원)생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 사용하는 SNS는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순이었고, 대부분의 응답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SNS에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하루 평균 이용횟수는 1-3회, 1회 접속 시 평균 이용시간은 30분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SNS 가입 동기는 유행, 친목 도모, 지인 추천 순이었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SNS 이용동기는 크게 자아적 동기, 상호작용적 동기, 오락적 동기, 정보추구적 동기 4 가지로 추출되었다. 셋째, 자아적 동기 및 상호작용적 동기가 SNS 참여활동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적 동기, 상호작용적 동기, 정보추구적 동기 순으로 SNS의 적극적 참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함유근, "SNS에 대한 4가지 오해", SERI 경영노트, 제 103호, 2011.
  2. 구현옥, "엔터프라이즈 2.0기반 SNS 사례 연구",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 한영석.최종규.지용구, "SNS 사용자의 Bridging Social Capital 향상을 위한 시각화 방안 제시", 대한 인간 공학회 추계 학술대회, pp.1-301, 2010.
  4. 조산구, "웹 2.0패러다임과 의미", TTA Journal, 제111호, 2007.
  5. 송경재,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특성과 정치참여", 한국과 국제정치, 제26권, 제3호, pp.129-157, 2010.
  6. Boyd, D. M. and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pp.210-230,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7. 최환진, "대학생 블로그 미니홈피 이용동기와 이용 과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7권, 제3호, pp.225-248, 2006.
  8. Blumler, J. G., "The role of theory in uses and gratification studies", Communication Research, Vol. 6, No.1, pp.63-75, 1979.
  9. Katz E., Blumner, J. and Gurevitch, M.,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10. Flanagin, A. J. and Metzger, M. J., "Internet Use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27, No.1, pp.153-181, 2001. https://doi.org/10.1093/hcr/27.1.153
  11. Papacharissi, Z. and Rubin, A. M.,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75-197,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2
  12. 권상희.우지수, "블로그 이용 및 만족과 인지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419-460, 2005.
  13. 황상민.김지연.조희진, "사이버공간 속의 관계 맺기: 싸이월드 이용행동에 나타난 소셜 네트워크 활동 양상에 대한 탐색, 한국 심리학회지, 제9권, 제2호, pp.285-303, 2008.
  14. 김선진, "웹 2.0의 등장으로 인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함의", 정보과학지, 제25권, 제10호, pp.12-15, 2007.
  15. 송영화.박선영, "소비자학의 새로운 연구주제: 디지털 컨버전스 시장환경의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소지바문화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07.
  16. 문현선, "1인 미디어를 이용한 마케팅의 효과에 관한 연구-블로그와 미니홈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7. 강신욱.김상원, "주부의 여가태도와 여가활동 참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4호, pp.457-462, 1996.
  18. 김준석.이해승, "시스템 개발 시 사용자 참여와 태도가 시스템의 실행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 연구, 제4권, 제2호, 1994.
  19. Gremillion, L. L., "Managing the Implementation of Standardized Computer Based Systems", MIS Quarterly, Vol. 51, 1980.
  20. Tait, P. and I. Vessey, "The Effect of User Involvement on System Success: A Contingency Approach", MIS Quarterly, pp. 91-108, 1988.
  21. 고상민, "사회적 자본 이론에 기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2. 박광순.조명휘, "인터넷의 웹블로그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70-294, 2004.

Cited by

  1.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Social Learning in Workforce Education vol.16, pp.4, 2015, https://doi.org/10.9728/dcs.2015.16.4.523
  2.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Propensity, Social Capital, Participation Activity of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on Fashion Brands Relationship Orientation vol.19, pp.2, 2017, https://doi.org/10.5805/SFTI.2017.19.2.194
  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viewer rating of"My Little Television": Focusing on SNS Big Data vol.17, pp.1, 2016, https://doi.org/10.9728/dcs.2016.17.1.1
  4.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advertising application(App) through SNS service analysis vol.16, pp.2, 2015, https://doi.org/10.9728/dcs.2015.16.2.325
  5. A Study on Metaphor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Service vol.15, pp.5, 2014, https://doi.org/10.9728/dcs.2014.15.5.621
  6. Social Media Use and the User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vol.15, pp.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407
  7. Narcissistic Self-Presentation on Facebook vol.16, pp.4, 2015, https://doi.org/10.9728/dcs.2015.16.4.503
  8. 행정기관 SNS 이용의 결정요인 vol.24, pp.3, 2015, https://doi.org/10.5859/kais.2015.24.3.95
  9. 청년층 직장인의 SNS 이용동기에 따른 사용시간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vol.15, pp.12, 2011,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147
  10. Study on Users’ Responses to Facebook Messages from Dental Clinics vol.22, pp.1, 2018, https://doi.org/10.12972/implantology.20180003
  11. 대학 페이스북에 대한 재학생 이용동기의 탐색적 연구 vol.18, pp.1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111
  12.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Alienation and Degree of using SNS on Work Disturbance Caused by SNS vol.20, pp.10, 2011, https://doi.org/10.9728/dcs.2019.20.10.1987
  13. A Comparative Analysis of SNS Usage Motivation, SNS Ad Acceptance, and eWOM According to Valu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NS Users vol.22, pp.1, 2011, https://doi.org/10.9728/dcs.2021.22.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