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가족의 기능적 결손 정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Sa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
  • Lee, Mi-So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
  • Moon, Jae-Wo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 Received : 2011.12.01
  • Accepted : 2011.12.24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deficiency of Family and self-esteem, depression,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in this study came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N=3,449) for 2005~2007.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arried out by using AMOS 7.0. And 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function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Second, the severe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appea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uicidal inclination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Third, the higher the adolescents' self-esteem, the lowe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more severe the depression, the higher occurrence of suicidal inclin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functional deficiency in adolescents' family impacted negatively on self-esteem, and this contributed to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and to suicidal inclination finally.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strength of family function, the closeness with parents, forming a stable relationship and strength of the emotional bond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form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희(2001). 초등학교 결손가정아동과 정상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건강행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 고기평(2009). 가정의 형태와 사회적 지지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고성혜, 한유진(1995). 편모가정 청소년의 가정환경에 대한 지각. 한국청소년연구, 20, 60-73.
  4. 국기연(2010). 청소년에겐 아버지 있는 가정이 필요. 세계일보.2010. 6. 21.
  5. 권대희(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권정연(2005).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정서 상태와 청소년 문제행동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김 희(2004). 중학생의 결손가정유형과 자기존중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8. 김광수, 김영진(2006).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논총, 7, 1-29.
  9. 김영모, 이용교(1987). 가족구조의 변화와 가족복지정책의 기본구상. 사회정책연구, 9, 19-23.
  10. 김태준(1992). 정상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동의 결손 유형에 따른 성격 특성, 적응요인 및 일탈행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춘천.
  11. 김희화, 김정연(1998).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 (2), 47-60.
  12. 박미자(2004).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 관련 태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13. 박순영(2008). 시설청소년의 정보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4. 박인숙(2005). 집단미술치료가 복지시설아동의 우울과 자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박정옥(2003).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16. 박현숙(2005).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심리적 부작용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7. 박효정(2007). 기능적 결손가정아동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8. 백지숙(2000).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자아존중감, 대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 (1), 127-137.
  19. 서영미(2004). 아동이 지각한 가족기능성,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석소현, 신성희(2010).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40 (3), 367-377.
  21. 손광민(2009). 가정의 구조적, 기능적 결손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남.
  22. 신효식, 김근화(2004). 중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학회지, 7 (2), 47-58.
  23. 안민주(2004). 결손가정아동과 정상가정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4. 양영순(1994).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및 성격 특성 비교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5. 오승환(2001).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2, 77-107.
  26. 윤연정(2007).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7. 이미리(2005).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변인들의 관계: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6 (2):263-293.
  28. 이애재(2000). 편부모가족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심리 ․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양부모가족 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청소년학연구, 7 (1), 69-93.
  29. 이창한, 강민완(2010). 결손가정의 기능적 특성와 적응유연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12 (1), 175-200.
  30. 전영주(2001). 우울증을 매개로 한 청소년의 자살구상에 관한 가족 및 학교환경의 경로분석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39 (1), 151- 167.
  31. 전영주, 이숙현(2000). 청소년의 자살 구상과 관련 변인분석. 청소년학연구, 7 (1), 221-246.
  32. 전용철(1992). 중고등학생의 욕구수준과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충북.
  33. 조미숙(2002). 기능적 결손가정 청소년의 비행행동 예방을 위한 중재요인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13 (3), 131-165.
  34. 조홍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1997).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35. 최인재(2010). 청소년기 자녀의 자살생각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 (9), 105-130.
  36. 추영미(2005).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37. 통계청(2011). 2010년 혼인 ․ 이혼통계. 보도자료 2011. 4. 19.
  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사회통합을 위한 과제 및 추진전략.
  39. 홍윤경(2008). 가족의 기능적 결손이 청소년 약물남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0. Ayyash-Abdo, H. (2002). Adolescent suicide: An ecological approach. Psychology in the Schools, 39 (4), 459-475. https://doi.org/10.1002/pits.10042
  41. Berk, L. B. (2003). Child Develpment. New York: Allyn & Bacon.
  42. Cole, D. A., & Mcpherson, A. E. (1993). Relation of family subsystems to adolescent depression: Implementing a new family assessment strateg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 119-135. https://doi.org/10.1037/0893-3200.7.1.119
  43. Greening, L., & Stoppelbein, L. (2002). Religiosity, attributional style and social support as psychosocial buffers for African American and White adolescents' perceived risk for suicide. Suicide & Life-Threating Behavior, 32 (4), 404- 417. https://doi.org/10.1521/suli.32.4.404.22333
  44. Kernis, M. H. (2005). Measuring self-esteem in context: The importance of stability of self-esteem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73, 1569-1609. https://doi.org/10.1111/j.1467-6494.2005.00359.x
  45. Strivers, C. (1988).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proneness. Adolescence, 23 , 291-295
  46. Wright, L. S. (1985). Suicidal thoughts and their relationship to family stress and personal problems among high school seniors and college undergraduates. Adolescence, 20 , 575-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