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how to vitalize the historical record management of the provinces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 손동유 (명지대 국제한국학연구소)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how to vitalize the record management of the province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issues and by identifying the univers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cord management in local agencies. However, it only deals with the system of the record management, focusing on the history of the provinces. Although the related projects conducted by the provinces of Korea consist of various types, including publishing the local history, creating the activities of local cultural institutes, and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historical records, these have not been active in many regions with in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is regard, local self-governing bodies need to actively fulfill the duty of the management not only for the administrative archives but also for the historical archives by aggressively interpreting the associated parts suggested by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 Ultimately, it is proper to integrate theses two functions. Moreover, an effective collection is the core part of the record management of history. Therefore, a 'committee' with experts should provide in-depth views from planning to post-processing stages. Meanwhile,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historical archive management between owners and concerned parties should be formed during the collection process. In conclusion,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should make sure of the active record management of history through establishing their own mid to long-term development plans, securing experts in archive management, as well as providing the service for record contents.

이 연구는 지방 기록관리의 현재 상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지방 기록관리가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하여 파악한 뒤, 기록관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 것이다. 단, 역사기록중심의 관리체계를 주요 논제로 하였다. 우리나라 지방의 역사기록과 관련한 사업을 추진하는 몇 가지 유형은 지역사 발간사업, 지방문화원의 활동, 역사기록수집 및 정리사업 등으로 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는 많은 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못하며, 그 성과도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록관리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련 내용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각 지방에서는 행정기록의 관리는 물론이고 역사기록의 관리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양자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은 역사기록관리 업무의 관건이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두어 기록의 수집계획부터 수집된 이후 프로세스까지 심도있게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수집과정에서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사람들과 역사기록 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공감대를 최대한 형성하면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지방에서는 저마다의 기록관리 장단기발전계획 수립, 기록관리 전문가 확보,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 등을 통해 지역의 역사기록관리가 활성화되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2. 일본의 지방 아카이브 연구 나가노 지역의 기초 자치체 아카이브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vol.64,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20.64.093
  3. 민간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vol.69,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21.69.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