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Elements Related to Territoriality for Apartment Community Design

영역성 측면에서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조성희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최인영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0.10.22
  • Accepted : 2011.01.28
  • Published : 2011.02.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elements to strengthen apartment communities in territoriality perspectives. To this end, the study first identified the functions of territoriality to communities, and examined precedent studies on community planning. Then, looking into actual apartment, the study analyzed design elements of the apartments by territoriality functions, and found significant community-building and community-strengthening element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are as follows: Specific design elements are 1) both individual and shared places from the perspective of possession, 2) both physical boundaries including visible mark and physical demarcation, and emotional boundaries including space arrangement and visual expa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boundary-regulation, 3) both physical proximity, such as providing space for physical encounter and easy access, and emotional proximity such as homogeneity and intimacy from the perspective of proximity 4) design differentiation and adoption of the design concept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proximity personaliz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지명 (1998). 거주행태 지원성 강화를 위한 도시집합주거 공유영역의 디자인방법과 그 과정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 공동주택연구회 (2007). 주거단지계획. 파주: 동녘.
  3. 공동주택연구회 (2007). MA와 하우징 디자인. 파주: 동녘.
  4. 권민수 (2004). 현대 도시공동주택의 영역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5. 남용훈.신중진 (2005). 커뮤니티 개념을 고려한 아파트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논문집, 6(3), 5-18.
  6. 대한주택공사 (1999).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한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대한주택공사.
  7. 박광재.백혜선.서수정 (2001).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연구. 경기도: 대한주택공사.
  8. 박재욱 (2001). 집합주거단지에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계획안.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9. 박태동 (2006). 아파트단지내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서울.
  10. 변희협 (1988). 근린의식 향상을 위한 반사적 영역의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1. 서혜영 (2007). 고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영역성표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12. 손세욱 (1989). 집합주거에 있어서 근린관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전대학교 논문집, 8(1), 243-254.
  13. 양호일 (1990). 환경디자인의 행태학. 경기도: 유림문화사.
  14. 육현일 (2000). 환경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공동주택 주거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경기도.
  15. 이상준.임영배 (1991). 집합주거환경의 영역성 연구 I.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7(6), 61-74.
  16. 이상준.임영배 (1992). 영역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영역개념의 구조적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8(9), 55-67.
  17. 이진환.홍기원 역 (2004). 환경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18. 전남일.박혜선.문은미 (2006). 네덜란드의 건축가 네덜란드의 주거. 서울: 발언.
  19. 정무웅 외 6인 (2009). 건축디자인과 인간행태. 서울: 문운당.
  20. 최종인.이낙운 (2006). 집합주거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에 관한 기초적 연구. 조형예술연구논문집, 7, 59-73.
  21. Edney, J. J. (1975). Territoriality and Control: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6), 189. https://doi.org/10.1037/h0076287
  22. Fitzhugh, J. R. & Anderson, J. R. (1980). Personalization, Control, Secur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Research, 10-16.

Cited by

  1. Planning on the Elderly Space in Pubic Rental Apartments Housing Community Facility Considering Aging in Place vol.28, pp.4, 2017, https://doi.org/10.6107/JKHA.2017.28.4.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