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Style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자료해석 특성 분석

  • Received : 2010.09.03
  • Accepted : 2011.01.04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styl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tudents in sixth grade who can use integrated inquiry process skill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alytic cognitive style and wholistic cognitive style according to their response to Cognitive Style Analysis. They performed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data activity.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recorded the result on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data activity paper and researcher recorded the situation on videotape and interviewed with participants after the end of interpretation of data to get additional data.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by the operator regarding different situations of interpreting data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For example, in the intermediate state, analytic-cognitive style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in identifying variables, and wholistic-cognitive style students were active in using prior knowledge to interpret data.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irection of interpreting data and preference for data types in interpreting data activities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are as follows: Wholistic-cognitive sty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 per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top-down approach. On the other hand, analytic-cognitive style students usually used the bottom-up approach gradually expanding detailed information to the scientific question-related answer and showed a preference data of the table type. Through the result, this study aimed to help establish a data interpretation strategy for learners to solve problems based on understanding of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purposed the instruction design suggesting the data requiring various data interpretation strategies to develop learners' data interpretation 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자료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으로 인지양식에 주목하고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자료해석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통합탐구가 가능한 형식적 조작기에 접어드는 초등학교 6학년을 선택하였으며 인지양식 검사를 통해 전체적 인지양식과 분석적 인지양식으로 집단을 분류한 후 과학적 자료해석 과제를 투입하여 이들의 자료해석 활동을 촬영하고, 사후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하였으며, 피험자들이 작성한 자료해석 활동지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따른 결과를 보면, 첫째, 자료해석에서 학습자들은 자료해석의 초기 상태에서 중간 상태를 거쳐 목표 상태에 이르는 동안 다양한 조작자를 활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는 자료 확인, 변인 인식, 불확실한 자료의 처리, 수학적 조작, 표지의 사용, 사전지식의 이용, 관계 분석, 패턴 분석, 예상이 분석되었다. 인지 양식에 따라 자료해석의 초기 상태에서 자료를 확인하는 양상에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라 자료해석의 방향성과 선호하는 자료의 형태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전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일반적인 원리나 과학적 문제에 대한 답을 도출한 후 자료를 통해 세부적인 정보를 분석하는 하향식 접근과 연역적 기술의 특성을 보이며, 분석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들은 자료의 전체적인 양상에 집중하기보다 제시된 자료의 연속적인 세부 항목과 절차에 따라 정보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여 기술해 나가는 일차적이고 연대기적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해 낸 세부 정보를 바탕으로 귀납적인 방법으로 과학적 문제에 대한 답을 얻는 상향식 접근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인지양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교수 설계 전략을 고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심원, 우종옥(1995).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04-416.
  2.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 과학 탐구과정 요소별 지도자료 사다리 타고 오르는 통합 탐구 여행.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 교육인적자원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 IV.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5. 김민경 (2009).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생물과제의 관찰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성완, 황경현(2004). 하이퍼미디어 학습 프로그램 구조와 학습자 인지양식이 초등학생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7(3), 57-66.
  7. 김승화(1996). 공변량 구조 분석에 의한 과학탐구 능력과 학습자 특성과의 인과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8. 김영신, 조은숙, 정완호(2002). 학습환경 변인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1.
  9. 김재우, 오원근(1998).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 나타난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35-42.
  10.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11. 김준태, 권재술(1994). 학습자의 인지 특성에 따른 학습 지속 효과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70-84.
  12. 김태선, 김범기(2002).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68-778.
  13.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2002). 중학생의 그래프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25-739.
  14. 신애경, 최병순(2000). 초등학교 학생의 정보 처리 유형과 인지 양식에 따른 과학 문제 해결. 과학교육논문집, 10(1), 203-213.
  15. 양일호, 권용주, 김영신, 장명덕, 정진우, 박국태 (2002). Effects of students'prior knowledge on scientific reasoning in density.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14-335.
  16.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17. 우종옥, 김범기, 한안진, 허명(1998). 국가 수준의 과학탐구능력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617-626.
  18. 임청환, 남진수(1999). 초등학생의 정신용량과 인지양식에 따른 과학탐구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41-447.
  19. 임채성, 이선경, 장남기(1990). 중학생의 인지양식, 성별과 과학성취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논총, 15(1), 69-76.
  20. 임채성, 김남일, 김재영, 배진호, 장남기(1993). 고등학교 학생의 인지기능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1(2), 127-133.
  21. 최영재, 고영신, 이재희(2001). 초등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27권, 69-88.
  22. 황현미, 방정숙(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학교수학, 9(1), 45-64.
  2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0). SAPA II. New Hampshire: Delta Education, INC.
  24.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https://doi.org/10.1023/A:1015171124982
  25. Colburn, A.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 Scope, 23(6), 42-44.
  26. Duggan, S., Johnson, P., Gott, R. (1996), A critical point in investigative work: defining variabl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61-47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61::AID-TEA1>3.0.CO;2-P
  27. Jonassen, D. H. & Grabowski, B. L. H.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Gotwals, A. W. (2006). The nature of students'science knowledge base: Using assessment to paint a pictur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2004).
  29. NRC (National Research Cou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Education.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30. Riding, R. (1991). Cognitive styles analysis users' manual. Birminham, England: Learning & Training Technology.
  31. Roadrangg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Dallas, Texas.
  32. Witkin, H. A., Moore, C. A., Goodenough, D. R., & Cox, P. W. (1977a). Field dependent and 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s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7(1), 1-64. https://doi.org/10.3102/00346543047001001

Cited by

  1. 대학생들의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에서의 안구 운동 분석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78
  2.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안구운동기반 생물분류 사고과정 모형 개발 vol.45, pp.2, 2017,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