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idered by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Demonstrations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 Received : 2010.09.03
  • Accepted : 2010.12.3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t should be done from systematic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ponents considered in planning instruction an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implementing it in PCK held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wenty-seven junio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were asked to perform teaching demonstrations using scientific instruction models. They were also request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ing strategies and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aspects were considered by most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whereas curriculum and assessment were regarded by few of them. For examples, choosing instruction models and organizing instructions were concerned in teaching strategies. They also considered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aspects for selecting experiments as main activities. Only few considered learners' prior-knowledge. Most difficulties encountered in planning instruction and implementing it appeared in teaching strategi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최근 과학 수업에 대한 전문성의 요건 중 하나로 PCK 함양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예비교사교육 과정에서부터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 요소에 대한 이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이들이 수업시연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와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에 대해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의 사범 대학교 3학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모형을 이용한 수업시연을 실시하였고, 수업시연이 끝난 후 수업시연에 대한 반성적 평가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수업 계획 시 교수전략과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고려한 반면 교육과정이나 평가 측면에 대해서는 일부 예비교사들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교수전략 부분에서 예비교사들은 수업모형을 선정하고 이의 특징을 고려한 수업 내용 조직에 대해 많이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수업의 주된 활동으로 실험을 많이 선정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 수준이나 흥미를 많이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오개념에 대해 고려한 예비교사들은 거의 없었다. 수업 계획 및 실행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의 대부분 또한 예비교사들이 수업 계획 시 많이 고려했던 교수전략 측면에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길양숙 (2008). 예비교사가 수업계획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 해결방법 및 기준. 교과교육학연구, 12(2), 493-513.
  2. 김병찬 (2005).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3(4), 49-76.
  3. 김선희 (2005). 초등교사의 실험 학습에 대한 인식 및 예상과 다른 실험 결과에 대한 대처 반응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5. 박현주 (2006). 과학과 교육실습의 SSCS 모델 적용 및 효과. 중등교육연구, 54(3), 95-114.
  6. 배종수, 박만구 (2009). 대학교수의 시연수업을 통한 수업 능력 향상 방안. 한국초등교육, 19(2), 49-69.
  7.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점에서 본교사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8. 손연아, 신종란, 민병미 (2007). 생물 예비 교사의 수업 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 적용 과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9. 윤지현, 강석진, 노태희 (2010).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29(1), 86-92.
  10. 이재천, 김범기 (1998). 과학수업에서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13-325.
  11. 임청환 (2003).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618-632.
  12. 조경원 (2004). 중등 교원 양성 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 35(1), 1-19.
  13. 허숙 (2007). 교원 양성 체제의 발전 방향, 교원양성 체제의 전문화∙내실화 방안 탐색. 2007년 한국 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육평가학회 공동개최 학술세미나 자료집.
  14. Chao, G. T., Walz, P. M., & Gardner, P. D. (1991). An exploration of mentorship functions and outcomes: A cross-situational comparison. Paper presented at the Six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c., St. Louis, Missouri.
  15. Danielson, C., & McGreal, T. L. (2000).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practice.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6.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7.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8. Hattie, J. (2003). Teachers make a difference: What is the research evidence? Paper presented at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Annual Conference on Building Teacher Quality, Melbourne.
  19. Lee, E., Brown, M. N., Luft, J. A., & Roehrig, G. H. (2007). Assessing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PCK: Pilot year resul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7(2), 52-60.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7.tb17768.x
  20.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https://doi.org/10.1002/tea.20007
  21. Magnusson, S., Krajcik, J. S.,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Science Teacher''s Knowledge Bases, The 1994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in Science Yearbook.
  22.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23.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24.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1.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5. Udvarisolner, A. (1996). Examining teacher thinking: Constructing a process to design curricular adaptation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7(4), 245-254. https://doi.org/10.1177/074193259601700407
  26. Wills, J., & Sandholtz, J. H. (2009). Constrained professionalism: Dilemmas of teaching in the face of test-based accountability. Teachers College Record, 111(4), 1065-1114.
  27. Woolnough, B., & Allsop, R. T. (1985). Practical work in scienc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ited by

  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vol.31,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621
  2. A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vol.28, pp.4, 2011, https://doi.org/10.24211/tjkte.2011.28.4.141
  3.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94
  4. 예비교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반성적 논의의 특징 vol.33,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911
  5.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vol.33,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219
  6.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설계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활용 방식 분석 vol.33, pp.7,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12
  7. The Case Study of Self and Peer Evaluation for Pre-serviceBiology Teachers for Teaching Practice vol.42, pp.3,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4.42.3.290
  8.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vol.60, pp.5,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5.342
  9.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Examination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s vol.44, pp.1,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79
  10.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 -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vol.10, pp.2, 20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99
  11. A Study on the Lesson Planning Ability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s vol.46, pp.4,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4.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