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의 주상복합건축물 계단폭과 수용인원 산정기준에 따른 피난효율의 비교

Comparison of Evacuation Efficiency for Stair Width and Code for Occupant Load Calculation in High-rise Buildings

  • 투고 : 2010.07.27
  • 심사 : 2011.02.11
  • 발행 : 2011.02.28

초록

고층건축물에서의 피난효율과 수용인원 산정기준의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지상 39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계단폭이 각각 1.2m, 1.5m, 1.8m일 때, 피난시간과 피난자수를 Simulex로 계산하였다. 소방법 기준으로 산정한 총수용인원은 실거주자의 2.3배, NFPA 101 인명구조코드 기준의 2.6배였다. 소방법 기준의 경우, 계단폭이 작을수록 증간층에서의 병목현상으로 인해 피난효율이 낮았지만, 실거주나 NFPA 기준에서는 피난효율이 높고 계단폭이 피난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소방법 기준을 적용할 때 계단폭이 1.8m에서도 병목현상이 일어나지만, 실거주 또는 NFPA 기준을 적용할 때는 계단폭 1.2m에서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 남에 따라 수용인원 산정관련 소방법 기준의 완화가능성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An evacuation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confirm evacuation efficiency for stair width and problems in calculation of occupant load for high-rise buildings. The evacuation time and number of evacuated persons from a 39 story condominium-mercantile building were calculated by using Simulex for stair widths of 1.2 m, 1.5 m, and 1.8 m. The total occupant load based on the Korean code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actual residents by 2.3 times, and that based on the NFPA 101 Life Safety Code by 2.6 times, respectively. For the occupant load based on the Korean code, smaller stair width resulted in lower evacuation efficiencies due to bottlenecks in egress. For the actual residents and NFPA code-based occupant load, a high evacuation efficiency and negligible effects of the stair width on evacuation efficiency were confirme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bottleneck even at the stair width of 1.8 m for the Korean code-based occupants, while the stair width of 1.2 m provided safe egress to the actual residents or NFPA code-based occupants. This recommended further studies on possibility of lowering the level of the Korean code in calculation of the occupant load.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준호, 전규엽, 홍원화, "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피 난 안전을 위한 국내외 법규 사례 분석 및 개선방향 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 회 논문집, pp.203-208(2006).
  2. 이용재, 이범재,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특성 및 관련 법규정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4, No.1, pp.13-21(2000).
  3. 오혁진, 백승태, 김우석, 이수경, 강계명, "피난의 적 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 논문발표회 논문집, pp.375-381(2002).
  4. Simulex User Guide, v5.4, IES (2003).
  5.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04).
  6. NFPA 101-2006 Life Safety Code, NFPA, MA, U.S.A.(2006).
  7. 박창영, 최창호, "신체 특징이 피난시간과 흐름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Vol.22, No.12, pp.283-290(2006).
  8. 김대희, 윤인식, 황은경, "건축물 피난관련 연구동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 논문발표회 논문집, pp.3-8(2007).
  9. 김우석, 이수경, 백승태, "숙박용도에 대한 피난 적정 성 검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 논문발표회 논문지, pp.59-65(2003).
  10. 박재성, "건축물 화재시 피난행동을 고려한 피난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