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Korean Retirees

은퇴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 Jang, Youn-Ju (Dept. of Consum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Ji-Won (Dept. of Home Econom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장연주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
  •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Received : 2011.01.01
  • Accepted : 2011.01.28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Social capital theory provides a robust framework for analyzing economic well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retirees in Korea.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used(n=1,628). SPSS 1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region, housing tenure, and personal income, the social capital of the retirees, including cognitive social capital(trust and reciprocity) and structural social capital(emotional and economic familial support, and a well-developed social network), contributes to increases in their economic well-being. Second, the degree of effect social capital has on well-being varied by gender and age; the effect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regardless of the person's age. These empirical results provide a basis for the institution of policies that help bolster economic wellbeing for retirees by creating condition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in this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 김영신, 허경옥(2006). 알기 쉬운 가계경제학. 서울: 신정.
  2. 강인(2007). 은퇴 남성 노인의 어려움과 적응에 관한 연구-자아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59-283.
  3. 강지숙(2008).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8(3), 477-496.
  4. 강혜원(2008). 한국 중노년 여성의 일, 가족, 그리고 은퇴. 국민노후보장 패널조사 제1회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301-315.
  5. 구혜정(2002). 전환기의 평생교육: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만남. 한국교육학연구 8(2), 275-296.
  6. 김미령(2006). 전기.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7-222.
  7.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지 20(3), 61-76.
  8. 김숙경(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 179-202.
  9. 김승현(2008).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2(2), 67-89.
  10. 김지경, 송현주(2009). 조기은퇴남성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31-43.
  11. 김현정, 고수연, 정희원, 이지선, 임지영(2009).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253-280.
  12. 나영선, 이재열, 한준상, 이경욱, 한성안(2005). 사회자본과 인적자본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박세경, 김형용, 강혜규, 박소현(2008). 지역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형성의 실태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박찬웅(1999). 경쟁의 사회적 구조. 한국사회학 33, 789-817.
  15. 박희봉(2002). 사회자본과 행정: 사회자본 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 정부학연구 8(1), 5-45.
  16. 백만기, 우재룡(2005). 은퇴설계와 종업원 복리후생. 한국FPSB.
  17. 백은영(2009). 은퇴자의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44, 345-372.
  18. 서지원(2006). 사회자본으로서의 가족자원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14.
  19. 서지원(2008a). 노년기 경제적 복지를 위한 사회투자정책의 방향: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31-55.
  20. 서지원(2008b). 중년기의 경제적 복지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315-332.
  21. 성영애(1994). 미국 은퇴가계의 경제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4), 31-43.
  22. 손종칠(2010).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노동정책연구 10(2), 125-153.
  23. 안성호, 곽현근(2004). 동네수준의 사회자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정체성과 사회자본. 서울: 다운샘,
  24. 안우환, 김경식(2005).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한 학부모의 교육열 탐구. 중등교육연구 53(1), 29-50.
  25. 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2003). 사회적자본: 이론과 쟁점. 서울: 그린.
  26. 이가옥, 이지영(2005).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회복지학 57(1), 93-120.
  27. 이지영, 최현자(2009).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215-230.
  28. 임채원(2006). 신자유쥬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 파주: 한울.
  29. 장충권(2005). 건설일용근로자의 사회자본: 연결망, 신뢰, 호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30. 통계청(2005), 청년층.고령층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31. 통계청(2009), 2009 생명표.
  32. 한국노동연구원(2004). 노동패널 중고령자 부가조사.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보지포럼 147.
  34. 한형수(2008).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347-372.
  35. 홍영란, 김태준, 현영섭, 소진광, 이승희(2007).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6. Bourdieu(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37. Burt, R. S.(1997). The contingent value of social capital.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2.
  38. Coleman, J.(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4-121.
  39. Edin, K. (1991). Surviving the welfare system: How welfare recipients make ends meet. Social problems 38, 301-312.
  40. Emerson, R. M.(1981). Social Exchange Theory, in M. Rosenberg and R Turner (eds.),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Academic Press.
  41. Field. J.(2004). Social Capital. New York: Routledge.
  42. Fukuyama, F.(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43. Hao, L., & Brinton, M. C. (1997). Productive activities and support systems of single mother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2, 1305-1344.
  44. Lin, Nan.(1982). 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 in P. Marden and N. Lin (eds.),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Sage.
  45. Lin, Na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46. OECD(2000). Human & social capital & sustained growth & development, reconciling new economics & societies: the role of human & social capital. Paris.
  47. OECD(2001). Cities and regions in the new learning economy. Paris.
  48. Packard, M. D., & Reno, V. P.(1989). A Look at Very Early Retirees. Social Security Bulletin 52(30), 16-29.
  49. Pavetti, L. (1993). the dynamics of welfare and work: Exploring the process by which women work their way off welf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vard University.
  50. Portes, A.(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e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24.
  51. Putnam, R. D.(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 35-42.
  52. Putnam, R. D.(2009). 나홀로 볼링(Bowling Alone). 서울: 페이퍼로드.
  53. Rander, D. B.(1987). Money Incomes of Aged and Non-aged Family Units, 1967-84. Social Security Bulletin 50(8), 9-28.
  54. Ross, C. M., Danziger, S., & Smolensky, E. (1987), Interpreting Changes in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1949-1979. Contemporary Policy Issues 5, 98-112.
  55. Weicher, J. C. (1999). Some income measurement issu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89, 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