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Operational System for Oil Spill Prediction Model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ye-Jin (Marine Safety & Pollution Response Research Department, KORDI) ;
  • Lee, Moon-Jin (Marine Safety & Pollution Response Research Department, KORDI) ;
  • Oh, Se-Woong (Marine Safety & Pollution Response Research Department, KORDI) ;
  • Kang, Joon-Mook (Division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혜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안전방제기술연구부) ;
  • 이문진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안전방제기술연구부) ;
  • 오세웅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안전방제기술연구부) ;
  • 강준묵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10.25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re is no system to obtain the basic data and proceed data and user input interface is complex, thus there are some limitation to utilize the oil spill prediction model. It is difficult to build the scientific response strategy in order to respond oil spill accident rapidl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operate the oil spill prediction model any time. In this study, the optimum operational system for oil spil prediction model has been developed considering the present system. External real time data has been linked because of impossibility of building all basic data and minimum database has been build in this study. Through this data system, real time oil spill prediction model can be utilized. And the user interface has been designed to reduce the error of the interface between user and model and the output interface has been proposed to analyze the result of modeling at multidimensional aspect. While the system for oil spill prediction model a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ome uncertainties because of depending on external data, the thing that we can predict oil spill using operate the model rapidly as soon as the accident occurred can be meaning in the response field.

기초자료의 획득 체계 및 가공 체계의 부재와 복잡한 사용자 입력 체계로 인해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활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류오염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방제 전략 수립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정을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 구동을 위한 최선의 상시 활용 체계를 수립하였다. 모든 기초자료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기관의 실시간 동적 자료를 연계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만을 직접 구축하여 실시간 유출유 확산 예측의 상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모델간 인터페이스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모델 연산 결과를 시공간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결과 표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구축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는 외부 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델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유류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모델을 구동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제 방제 현장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방제부문 백서, p. 315.
  2. 김기철, 이중우, 강신영, 도덕희(1999), 해양유출기름의 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II), 한국항해항만학회, 제13권, 제2호, pp. 1-9.
  3. 김탁겸(2011), 유출유 확산모형의 실해역 적용,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2.
  4. 남형근(2007), 지리공간자료의 경제적 갱신과 교환체계 모형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 15.
  5. 서승원(2008), 태안 누출유 확산의 수리학적 특성과 예측 기술,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해안과 해양, 제1권, 제2호, pp. 53-64.
  6. 양찬수, 김도연, 오정환(2009), 인공위성 원격탐사 데이터와 수치모델을 이용한 해상 유출유 예측 향상 연구: Hebei Sprit호 기름 유출 적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제25권, 제5호, pp. 435-444. https://doi.org/10.7780/kjrs.2009.25.5.435
  7. 이문진, 김혜진(2009), 해양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24-30.
  8. 이문진, 강용균(2000), 해양 표면취송류(skin drift)의 라그랑쥐안 측류 및 모델링,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9권, pp. 115-124.
  9. 이종섭, 윤은찬(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확산 수치 예측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pp. 132-135.
  10. 정연철(1997), 실시간 유출유 확산모델링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2-4.
  11. Al-Rabeh, A.H., H.M. Cekrige and N. Gunay(1989). A stochastic simulation model of oil spill fate and trasport, Apply Math. Modelling, 13, pp. 323-324.
  12. Fingas, M.(2011), Oil Spill Science and Technology, pp. 275-299.
  13. Reed, M. and W. Knauss(1988), User's manual for coastal zone oil spill model, Applied Science Associates, p. 99.
  14. Shepherd, I. D. H.(1991), Information Integration and GIS, pp. 337-360.
  15. Spaulding, M. L., E. Anderson and K. Jayko(1992), OILMAP:A global approach to spill modeling, 15th Arctic and Marine Oil spill Program, Technical Seminar, pp. 15-21.

Cited by

  1. Overview of Major Oil Spill at Sea and Details of Various Response Actions -1. Number and Volume of Marine Oil Spills in Korea and in the World vol.19, pp.2, 2013, https://doi.org/10.7837/kosomes.2013.19.2.129
  2. 위험도기반 해양사고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유조선 좌초사고를 중심으로 vol.40, pp.6, 2011, https://doi.org/10.5394/kinpr.2016.40.6.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