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Disposi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leading Learning Trait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 Received : 2011.02.08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e if there are any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disposi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leading learning trait among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 reading disposition,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t reading interest and reading experience, but were not different in reading environment. Also,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determination, purposes, assurance, but were not different in readiness and independence. Additionally,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esults at self-directed learning in 8 sub-categories, which are openness to learning, self notion, taking-initiative ability, responsibility, learning zeal, future-oriented self-knowledge, creativity, and self assessment. In addition, the research indicates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is correlated with reading interest, reading experience and reading environment. Also, self-leading learning is correlated with reading interest, reading experience and reading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s. Hence, the research needs to be extended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n order to guide students' careers and improve students'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those results need to be applied to real educational situations. In addition, research need to be done to find out what kind of books have mor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trai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와 일반 초등학교 학생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 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해보고 그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서흥미, 독서경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독서수준이 높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진로태도성숙을 비교한 결과 진로태도성숙 하위 요인 중에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은 영재아가 일반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독서 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또 독서성향과 자기 주도적 학습 특성 사이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환 (2001). 초등학교 독서 교육과 자기주도적학습의 연계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 김재호 (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화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충기 (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4. 양운택 (1999). 평생학습사회와 자기주도적학습. 교단 가꾸기, 96.
  5.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6. 이단순 (2006).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변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7. 이진기 (2008).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8. 전유진 (2006). 아동의 독서성향과 진로인식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9. 정동화 (1991). 국어과 교육론. 서울: 조일문화사.
  10. 정자영 (2009).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1. 조경옥 (2003).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12. 조미랑 (2005).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13. 지용근 (2004). 성역할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4. 허재환 (2002).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관과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5. Cochran, L. (1994). What is a career problem? The Career Developmental Quarterly, 42, 204-205.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4.tb00935.x
  16. Guglielmino (1977).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7. Herr, E. L., Cramer, S. H., & Niles, S. G. (2004).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through the life span: Systematic approaches (6th ed.), Voston, MA: Allyn & Bacon.
  18.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g a definition. Phi Detal Kappan, 60(3), 180-184,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