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amongst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 김영희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
  •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최정현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1.01.06
  • Accepted : 2011.03.1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for example, gender, grade, and SES) and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 scale measur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s(Harren, 1984) and career maturity(Crites, 1978) was administered to 223 university students around the capital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onbach's ${\alpha}$ tests, means, standard deviations, One-way MANOVAs,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career maturi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 and SES in career maturity. Freshmen and Senior exhibit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attitude than sophomores and juniors. High-SES group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lower career independenc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in career maturity. 51.1% of our samples were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s, 30.0% of our samples were intuitive decision-making styles, and 18.8% of our samples were dependent decision-making styles. Undergraduate students with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s showed more positive career choice behavior and higher career independenc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dependent decision-making styl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3명이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식성숙에서 스스로 진로를 정하는 진로독립성, 진로관여성은 높은데 비해 직업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진로타협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는 2, 3학년에 비해 1, 4학년이 진로결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에서도 상류층은 하류층에 비해 진로결정성이 높았으나 진로독립성은 낮았다.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에서는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집단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집단에 비해 진로독립성이 높고 직업 선택의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의식성숙의 차이를 보여 진로지도에서 의사결정유형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더불어 대학교 취업교육현장에서 진로의식성숙을 함양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Tolbert, E. L..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 Houghton Mifflin Co, 1980.
  2. 통계청,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자료, 2002.
  3. 통계청,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자료, 2010.
  4. 이병호, "대학에 진로지도활동에 관한 분석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5. 김헌수,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5권, 제4호, pp. 139-155, 2001.
  6. 이종극, 동의대학교 진로개발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학생인식 및 수요조사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8권, 제6호, pp.2537-2552, 2006.
  7.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8.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9. 지용근, 김옥희, 양종국, "진로상담의 이해", 서울 : 동문사, 2005.
  10. 이상애, 조현양,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 pp.101-124, 2007.
  11. 김경령, 청소년기의 가정환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 김관용, 중학생의 개인 및 가정특성이 직업적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3. 김상혁, 고등학생의 지역 및 계열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관한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4. 오송남,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가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5. Lawrence, W., & Brown, D, An investigation of intelligence, self-concept, socioeconomic status, race, and sex as predictors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제9권, 제1호. pp.43-52, 1976.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05-1
  16. Phillips, S. D., & Pazienza, N. J, "History and theory of the assess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In W. B. & S. H. Osipow(Eds), Career decision making, Hillsdale, NJ:Erlbarn, 1988.
  17. 이은경,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 및 진로 의식성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Harren, V. A,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Umphlished Progress Repor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76.
  19. 김정은, "남.여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 결정",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0. 이현정,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통제소재 및 불안에 따른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1. 최정윤,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미결 정 및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4.
  22. 박진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미결정 및 자아개념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3. 이은정,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4. 임은미,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분석, "학생상담연구", 제1권, pp.101-113, 2003.
  25. 장범식, "체육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식 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Chen, J. J,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 The mediating role of self-identify, "Chines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18권, 제3호, pp. 372-373, 2010.
  27. Man, W. C, Cultur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and self-efficacy,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제57권, 제3호, pp. 365-378, 2000. https://doi.org/10.1006/jvbe.1999.1745
  28.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서울 : 학지사, 2000.
  29. 이윤성, 동상옥, 정윤아, 강창완, 김규곤, 대학(원)생 졸업직후 취업성공의 배경,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2권, 제3권, pp. 1523-1533, 2010.
  30.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GPOWER: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 Instruments, & Computers", 제28권, pp. 1-11, 1996. https://doi.org/10.3758/BF03203630
  31. Harren, V. A,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Los Angeles ;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 1984.
  32. Crites. J. O, "Career maturity inventory :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Monterey, CA:CBT/ McGraw-Hill, Inc, 1978.
  33. 김정혜,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공회피동기가 진 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34.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 이종은, 고유경,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 383-391, 2004.
  35. 고향자,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및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미결정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권, 제1호, pp. 109-124, 2000.
  36. 유순화, 강승희, 윤경미 (2004)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수준 및 진로성숙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Vol. 5, No. 4, pp. 1111-1123.
  37. 이기학, 송현정, 임희경, 전윤경,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기주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2호, pp. 53-65, 2004.
  38. 양대석, 최영렬, 태권도학과 재학생의 진로의식성숙도와 진로탐색 행동에 대한 연구, "태권도과학", 제2권, 제1호, pp. 21-29, 2009.
  39. 백남석, 이보미,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용인대학교 논문집", 제24권, pp. 1-16, 2006.
  40. Super, D. E., & Nevill, D. D, Work role salience as a determinant of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제25권, pp. 30-44, 1984.
  41. 장지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2. Dillard, J. M,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s of surban and urban middle and urban lower-class preadolescent black mal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제9권, pp. 311-320, 1976.
  43. 오은경, "사회적지지와 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4. Blustein, D. L, Decision-making styles and vocational maturity: An alternativ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제30권, pp. 61-71, 1987. https://doi.org/10.1016/0001-8791(87)90026-1

Cited by

  1. Motivation for Seeking Child Care Teacher Credentials through On-line Educ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Decision-making vol.10, pp.1,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81
  2. Awareness towards employmen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vol.15, pp.4,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613
  3.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vol.22, pp.2,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210
  4. The Effect of Career Barri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Male Nursing Students vol.22, pp.3,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