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le Beauty Style according to the Anima Archetype of Jungian Theory - Focusing on Men's Cosmetic Advertisements -

융(Jung)의 아니마(Anima) 원형에 따른 남성 뷰티스타일 연구 - 남성 화장품 광고를 중심으로 -

  • 정혜경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8.17
  • Accepted : 2010.10.3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traditional masculinity has been gradually diversified towards the 21th century due to a new social environment. Men embrace his feminine side with heightened aesthetic sense using cosmetic products for better skin, hair, and nails. This diversification of male image and his beauty style proves the addition of feminity to masculinity. C. G. Jung felt that we are all really bisexual in nature. The anima is the female aspect present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men and it is the archetype through which we communicate with the collective unconscious generally, and it is important to get into touch with it for self-realization. This study analyzes subconscious desire based on the anima archetype in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men through the diversity of the gender identity shown in men's cosmetic advertisements, and therefore it aim to help developing a marketing strategy of male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male beauty style in cosmetic advertisements through the Jungian anima theo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ender identity represented in cosmetic advertisements was typified as Retrosexual, Ubersexual, Metrosexual, Cross sexual. Second, the anima archetype stimulates feminity in male beauty style. Cross sexual type has the highest feminine tendency. Third, range of utilization of cosmetic products is articulated with the diverse gender identity. Cross sexual type is most similar to the female beauty style. This feminization of male beauty style is the external expression of collective unconscious and affords human being to reach self-realization.

Keywords

References

  1. 중앙 Sunday (2009. 3. 29). 외모가 경쟁력, 마스카라까지 쑥쑥 크는 남성 화장품 시장. 자료 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sunday.joins.com
  2. 이현지 (2006). 국내 남성패션의 여성화 경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임영실 (2006). 남성복에 나타난 여성적 표현-장식요소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송명진, 채금석 (2001).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성 정체성의 표현 양상. 복식, 36, pp. 327-340.
  5. 서은희 (2004). 남성 패션에 나타난 성 정체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아 (1998).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이미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지은 (2003).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메트로섹슈얼 현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조은주 (2004). 대중문화에 나타난 Metrosexual 현상과 패션 이미지 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한은경 (2000). 광고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 이미지 추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4(2).
  10. 권기영 (2004). 현대패션에서 헤어스타일이 지니는 의미-젠더와 문화 정치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8), p. 74.
  11. 자료검색일 2010. 2. 26, 자료출처 http://www.women-net.net
  12.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2), pp. 155-162. https://doi.org/10.1037/h0036215
  13. 자료검색일 2010. 2. 26, 자료출처 http://classroom.re.kr/uploadfile/content/content03/second04/data03/02/03/02/main_03.html
  14. 임영실. (2006). 남성복에 나타난 여성적 표현-장식요소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7.
  15. Jung, Carl G. (1964). Man and his symbols. 이윤기 옮김 (1996). 인간과 상징. 열린책들, p. 250.
  16. Jaffe, Aniela (1957). Memories, Dreams. Reflections. 이부영 옮김 (2000). C. 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p. 17.
  17. さかもと未明(1999). マンガユンダ心の深層の構造. 노지연 옮김 (1999). 내 생에 처음 만나는 칼 구스타프 융 우리 마음의 심층구조. 현실과 미래사, p. 127.
  18. Hall, Calvin S., & Nordby, Vernon J. (1973). A PRIMER OF JUNGIAN PSYCHOLOGY. 김형섭 옮김 (2004). 융 심리학 입문. 문예출판사, pp. 66-69.
  19. Samuels. Andrew 외 (1986). A Critical Dictionary of Jungian Analysis. 민혜숙 옮김 (2000) 융 분석비평사전. 동문선, p. 177
  20. 노지연 옮김. (1999). 내 생에 처음 만나는 칼 구스타프 융 우리 마음의 심층구조. 현실과 미래사, p. 128.
  21. 김형섭 옮김. (2004). 융 심리학 입문. 문예출판사, p. 79.
  22. 이부영. (2001). 남성 속의 여성, 여성 속의 남성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p. 13.
  23. 이부영. (2001). 남성 속의 여성, 여성 속의 남성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p. 36.
  24. 김형섭 옮김. (2004). 융 심리학 입문. 문예출판사, p. 74.
  25. 민혜숙 옮김. (2000) 융 분석비평사전. 동문선, p. 42.
  26. 노지연 옮김. (1999). 내 생에 처음 만나는 칼 구스타프 융 우리 마음의 심층구조. 현실과 미래사, p. 130.
  27. 민혜숙 옮김. (2000) 융 분석비평사전. 동문선, p. 128.
  28. 김형섭 옮김. (2004). 융 심리학 입문. 문예출판사, p.137.
  29. 데일리코스메틱 (2009, 1. 2). 09년 화장품시장 전망 (2) 유통채널. 자료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www.dailycosmetic.co.kr
  30. 통계청 (2009. 3. 13). 국가 통계에서 찾아낸 2009 블루슈머 10. 자료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www.kostat.go.kr/
  31. 자료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eshop.coreana.com, http://www.somangcos.co.kr/product, http://www.thefaceshop.com
  32. 자료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cafe.naver.com/cosmeticsinfo/2832
  33. 자료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corp.amorepacific.co.kr/prcenter, http://www.ohui.co.kr, http://shop.beautynet.co.kr, http://www.somangcos.co.kr/cyberpr, http://www.vonin.co.kr, http://www.vovhomme.comhttp://imagesearch.naver.com
  34. 위키백과 한국어판, 자료검색일 2010. 1. 28, 자료출처 http://ko.wikipedia.org
  35. 자료검색일 2010. 2. 10, 자료출처 http://www.adic.co.kr, http://corp.amorepacific.co.kr/prcenter, http://www.holikaholika.co.kr, http://itempage.auction.co.kr, http://www.laneige.co.kr, http://www.mdockorea.co.kr, http://www.mjsen.co.kr, http://www.ohui.co.kr, http://www.tonymoly.com, http://www.townbaviphat.com, http://www.von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