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 Based on a Case Study of D College

전문대학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D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최길성 (동아방송예술대학 방송통신과) ;
  • 이승희 (동아방송예술대학 공통기초학부)
  • Received : 2011.03.02
  • Accepted : 2011.03.29
  • Published : 2011.04.28

Abstract

A lack of basic academic skills of junior college students has negatively impacted on the quality of vacational education and student dropout prevention, and yet it is true that there still are unclear alternatives or solutions to come up with that concern. As a way to find out the actual levels of basic academic skill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educational efforts to improve these skills, the study investigated prior studies and benchmark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supporting systems operated by ten junior colleges around the nation. Further, the study addressed emerging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basic academic skills, based on the case study of D college.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included literature review, surveys for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and focus-group interviews of faculty members in order to examine the states of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in the area of language, in particular. Accordingly, the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with which educational practitioners could assist in supporting students to acquire improved basic academic skills(such as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reliable diagnosis tools and supporting educational systems for evaluating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and upgrading of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methods).

대학생 기초학습능력 미흡은 대학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전문대학이 안고 있는 주요 이슈 중의 하나이다. 그동안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많은 대학에서 노력해 왔으나 해결책이나 개선방안이 뚜렷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기초학습능력을 개선하려는 선행연구들이 시도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국내 전문대학의 기초학습능력 지원 및 운영사례를 벤치마킹하였다. 또한, D 대학을 대표사례로 선정하고 기초학습능력 수준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 및 학생의 자기진단, FGI(Focus Group Interview) 등을 실시하여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D 대학의 경우에도 기초학습능력(언어영역)에 대한 교수들의 기대 및 현재 수준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학생들의 사전 자기진단 역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교수 기대수준 3.13, 교수 현재수준 2.14, 학생 자기진단 2.37). 본 연구수행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과 시사점을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전공교과와 기초핵심역량과의 연계, 기초핵심역량 습득을 위한 교수법 적용, 기초학습역량 교과목 운영), 기초학습 미흡 학생 지도 개선(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 적용,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개발, 자기주도적 학습법 전파, 전공동아리 활성화) 및 기초학습능력 진단 평가 시스템 구축(타당도 높은 진단도구 개발 및 적용, 긍정적 진단문화 형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문, "전문대학의 기초학습능력 실태와 개선방안", 세무회계연구, 제20권, 제1호, pp.51-78, 2007.
  2. 민선향,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강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연세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73-97, 2004.
  3. 이종성, 정향진, "전문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증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3.
  4. 조은상, 강종훈, "전문대학 학습기초능력 평가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0.
  5. 이용균, "전문대학의 미래 예측 및 구조조정 방향에 관한 델파이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6.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함의", 교육과정연구, 제26권, 제4호, pp.173-197, 2008.
  7.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7권, 제1호, pp.1-20, 2009.
  8. 윤찬근, "전문대학교육의 경쟁력 향상 방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자료집(전문대학교육의 경쟁력 제고 및 국제화 방안), pp.17-51, 2010.
  9. 정태화, 전종호, 홍광표, 이길순, 이병욱, "직업교육 혁신 20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보고서, 2009.
  10. 최길성, "역량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464-478, 2010.
  11. 김주성, "교수.학습법 개발 및 적용",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교수학습과 실제과정, 2010.
  12. 나승일, 정철영, 김주섭, 구자길, 김강호, 장현진,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0권, 제2호, pp.161-188, 2008. https://doi.org/10.23840/agehrd.2008.40.2.161
  13. 이광용, 전명화, 신경숙, "전문대학생 기초학습능력 진단도구 적용 및 목표기준 개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연구보고서, 2008.
  14. 최길성, 이승희, "DIMA 학생의 기초학습능력제고를 위한 중장기 방안", 동아방송예술대학 연구보고서, 2011.
  15. 최길성, 이승희, "기초학습능력 지원 프로그램 운영결과보고서", 동아방송예술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연구보고서, 2011.
  16. 강경종, 김종우, "전문대학 교육과정 모형개발과 운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1.
  17. 강경종, 이건남,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발방안", 농업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pp.79-113, 2003.
  18. 최욱, "기업교육 체계수립 개발 사례: DACUM과 CBC의 비교", 교육공학연구, 제18권, 2호, pp.91-121, 2002.
  19.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제47권, pp.191-213, 2007.
  20. 임언, 최동선, 박민정, "미래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2008.

Cited by

  1.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 : Based on a Case Study of K College vol.14, pp.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