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

  • Received : 2011.02.01
  • Accepted : 2011.04.0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condary science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of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a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enhancing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n teaching science. However, they hardly implemented instructions for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 their science lessons. They reported the absence of specialized teaching strategies and assessment tools for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university entrance exam-oriented social and educational atmosphere as major barriers. In addition, the teachers tended to present limite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hich is merely focused on creativity. Considering the results, it was thought that a guide to a clear conception of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needed. Also, many teaching strategies and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adopting and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were required.

중 고등학교 현장 과학 교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현장의 과학 교사들은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많이 적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업에 도입하는 것을 어렵게 느끼고 있었다. 이는 교사들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창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부담감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경쟁 위주의 대학 입시제도와 학력 중심의 사회 분위기와 함께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 상황과 과학 개념 위주의 교과 내용 구성, 부적절한 학교 교육 과정 등을 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제대로 실행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꼽고 있었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교육을 위하여 학급당 인원수 감축과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적절한 교수 전략의 개발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의 개발 등이 시급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 요인들과 시급한 조건들이 산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현장 과학 교사들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중 고등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의 필요성을 확실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교사들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는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형태의 수업전략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며, 동시에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평가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8a). 창의적 사고 지향 교수 모델 개발 및 적용. 제53차 한국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대회.
  2. 강순희 (2008b).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82-494.
  3. 강순희, 김덕희, 박혜진, 윤현정, 이윤하, 이은주, 임정은 (2006). 산과 염기의 반응-고등학교 1학년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5). 서울: 교육인적자원부.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주)서울멀티넷.
  4. 교육부 (1998). 제7차 과학과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9] 과학과 교육 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7.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의 기초-창의적 문제 해결의 개념 모형 탐색-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8. 김영채 (2004a).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9. 김영채 (2004b).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10. 김영철, 한유경 (2004). 학급규모의 교육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3(2), 175-202.
  11. 박승재, 조희형 (1999). 교수-학습 이론과 과학교육(제2판). 서울: 교육과학사.
  12.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방담이, 박지은, 송주연, 강순희 (201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일반화학실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효과(제1보), 대한화학회지, 55(2). 290-303.
  14. 이영만 (2001). 교과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접근 방안 탐색. 초등교육연구, 14(2), 5-26.
  15. 장수명 (2003). 학급규모의 교육재정∙경제적 분석. 연구보고 RR 2003-7. 한국교육개발원.
  16. 조연순, 최경희, 조덕주 (1997). 창의적 문제해결 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연구-현행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현장 분석-. 초등교육연구, 11, 185-211.
  17. 조희형, 최경희 (2001). 과학 교육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18. 조희형, 최경희 (2008). 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제2판>. 서울: 교육과학사
  19. Achinstein, P. (1985). The method of hypothesis: What is it supposed to do, and can it do it?. In P. Achinstein & O. Hannaway (Eds.), Observation, experiment, and hypothesis in modern physical science (pp. 127-145). The MIT Press.
  20. Bauer, H. H. (1992). Scientific literacy and the myth of the scientific method.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1. Betts, J. R., & Shkolnik, J. L. (1999). The behavioral effects of variations in class size: The case of math teacher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1(2), 193-213. https://doi.org/10.3102/01623737021002193
  22. Bradley, A. (1999). Zeroing in on teachers: Quality counts '99. Education Week, 18(17), 46-52.
  23. Brewer, D. J., Krop, C. Gill, B. P., & Reichardt, R. (1999). Estimating the cost of national class size reductions under different policy alternative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1(2), 179-192. https://doi.org/10.3102/01623737021002179
  24. Bybee, R. W., Powell, J. C. & Trowbridge, L. W. (2008).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9th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25. Gale, J. (2005). 편저자 서문. In L. P. Steff & J. Gale (Ed.),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 공학의 인식론 적 기반 (pp. 5-12). 서울: 학지사. (원저 1995 출판)
  26. Gardner, H. (2000). Fostering creativit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교원교육 85주년 국제학술심포지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7. Gruber, H. E., & Davis, S. N. (1988). Inching our way up Mt. Olympus: The evolving-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243-27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29. Harris, D. & Plank, D. (2000). Making policy choices: Is class size reduction the best alternative? Working paper, The Education Policy Center, Michigan State University. http://www.epc.msu.edu/publications/workpap ers/choices.pdf.
  30. Hayes, J. R. (1989).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ity. In J. A. Glover, R. R. Ronning, & C. R. 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pp. 135-146). New York: Plenum Press.
  31.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65-94. https://doi.org/10.1007/BF02299613
  32. Krueger, A. B. (1999). Experimental estimates of education production function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4(2), 497-532. https://doi.org/10.1162/003355399556052
  33. Mosteller, F. (1995). The tennessee study of class size in the early school grades. The Future of Children, 5(2), 113-127. https://doi.org/10.2307/1602360
  34.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5.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36. Watts, M. (1991). The science of problemsolving. London: Cassell Educational Limited.
  37. Weisberg, R. W. (1999).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26-25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Weisberg, R. W. (2009). 창의성 문제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김미선 역.). 서울: 시그마 프레스. (원저 2006 출판)
  39. Wenglinsky, H. (2005). Using technology wisely: the keys to success in school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ited by

  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제III보) vol.55, pp.6,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1.55.6.1056
  2. 서술적 실험 설계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 창의성 탐색 vol.32, pp.1,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129
  3.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vol.32,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10
  4. 탐구 기능의 직접적 수업을 위한 탐구 기능 하위 요소 추출 vol.32,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36
  5. Analysis of the Stud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Approaches Toward Creativity Education vol.24, pp.4, 2011,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4.659
  6.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vol.33,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10
  7.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vol.23, pp.2, 2011, https://doi.org/10.9722/jgte.2013.23.2.133
  8. The Effects of the science teaching strategy using the writing-oriented mind map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vol.17, pp.4,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3.17.4.1343
  9. The Differences Occurring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Creativity Style vol.18,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807
  10.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 for college students in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using the making hypotheses by positives-possibilities-concerns question activities vol.18, pp.4,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077
  11. Teaching strategy of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using the making hypotheses by activities of substituting and combining variables in college vol.18, pp.4, 2014,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201
  12. Teaching strategy of scientific term seeking and substitution or addition term on the making hypotheses of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vol.19, pp.2,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5.19.2.499
  13. An Analysis on the Variable Types of Inquiry Topics and Hypothesis Testing Methods Exhibited in Inquiry Report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vol.54, pp.3, 2015, https://doi.org/10.15812/ter.54.3.201509.393
  14. 고등학생을 위한 생물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vol.45, pp.1, 2011,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92
  15. Exploration of empathy factors in the science and development of related scales vol.5, pp.1, 2011, https://doi.org/10.1080/2331186x.2018.1499477
  16.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HTE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vol.21, pp.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7.488